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Schlumberger Ltd.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SLB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기간의 연도별 수익과 순이익(손실)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부 보고서 수준의 추세와 패턴을 중립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 수익
- 2005년 14,309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2008년 27,163백만 달러로 상승하는 등 초기 기간에는 지속적인 성장 흐름이 관찰된다. 2011년 39,540백만 달러, 2012년 42,149백만 달러, 2013년 45,266백만 달러를 거쳐 2014년에는 48,580백만 달러로 연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 이후 2015년 35,475백만 달러로 급격히 감소했고, 2016년 27,810백만 달러로 바닥을 찍은 뒤 2017년 30,440백만 달러, 2018년 32,815백만 달러, 2019년 32,917백만 달러로 재차 소폭 회복했다. 2020년에는 23,601백만 달러로 하락했고 2021년에는 22,929백만 달러로 더 낮아졌다가 2022년 28,091백만 달러, 2023년 33,135백만 달러, 2024년 36,289백만 달러로 점진적으로 회복되었다. 전체적으로는 2005년 이후 장기적으로 상승 흐름이 나타났으나, 2014년의 정점 이후 일부 연간 하락과 변동성이 확대되었다가 2021년 이후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2024년까지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
- SLB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2005년 2,207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06년 3,710백만 달러, 2007년 5,177백만 달러, 2008년 5,435백만 달러로 증가하며 2013년 6,732백만 달러로 정점에 이른다. 2014년에는 5,438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고, 2015년에는 2,072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하락한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1,687백만 달러, -1,505백만 달러로 손실이 지속되며 부진한 흐름이 이어진다. 2018년에는 2,138백만 달러의 흑자를 회복하였으나 2019년에는 대폭 감소해 -10,137백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하고, 2020년에도 -10,518백만 달러로 악화된다. 이후 2021년 1,881백만 달러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2022년 3,441백만 달러, 2023년 4,203백만 달러, 2024년 4,461백만 달러로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이 기간의 이익은 원가 구조와 시장 사이클에 따른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며, 2019-2020년의 대규모 손실 이후 회복 구간으로 진입한 것이 특징이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도별 재무 데이터에서, 단위는 US$ 백만 달러로 보이며 두 자산 항목 간의 흐름은 서로 관련된 시점에서 비슷한 방향성을 보이지만 구간별 강도에는 차이가 나타난다. 201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두 항목 모두 확대 기조를 보이다가, 총 자산은 2016년 정점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반면 유동 자산은 2013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뒤 2014년 이후 하락세가 두드러져 2017년대에 크게 낮아진 후 2020년대에 이르러 점진적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전년 대비 변화의 방향과 폭이 시점에 따라 달라지며, 2022년 이후 회복세를 보이는 경향이 확인된다.
- 유동 자산
- 2005년 8,554에서 2013년 26,225로 꾸준히 증가했고, 2014년 24,694로 소폭 감소한 뒤 2015년 26,912로 다시 상승했다. 2016년 23,927로 하락을 시작했고 2017년 18,497, 2018년 15,731, 2019년 15,530으로 큰 폭 감소했다. 2020년 12,919, 2021년 12,654로 낮은 수준이 지속되었으며 2022년부터 15,003, 2023년 17,718, 2024년 18,570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총자산 대비 유동 자산의 비중은 2010년대 중반 약 35%대에서 2017년에는 약 25%대까지 감소한 뒤, 2020년대 들어서는 30%대에서 2024년 말 약 38%까지 회복되었다.
- 총 자산
- 2005년 18,077에서 2010년 51,767로 크게 증가했고, 2010년대 중반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되다 2016년에는 77,956로 정점을 기록했다. 이후 2017년 71,987, 2018년 70,507, 2019년 56,312로 감소폭이 커졌고 2020년 42,434, 2021년 41,511로 하락이 이어졌다. 2022년 43,135로 반등했고 2023년 47,957, 2024년 48,935로 소폭 상승하며 2016년의 정점 대비 하락된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흐름을 보였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단기 차입 및 장기 부채 | SLB 주주 자본 합계 |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찰된 패턴과 변화에 초점을 맞춘 중립적 해석이다. 모든 항목은 US$ 단위로 백만 달러이며, 빈 값은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간주된다.
- 유동부채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5,515에서 시작해 2008년 8,125까지 상승한 뒤 2009년 소폭 감소, 2010년 10,865로 급등하며 상승 기조를 이어갔다. 2011년 10,538로 소폭 하락했고 2012년 12,368, 2013년 13,525, 2014년 14,176으로 계속 증가했다. 2015년 14,121로 약간 감소했고 2016년 15,059, 2017년 15,282로 정점을 형성했다. 이후 2018년 13,486, 2019년 13,098로 감소했고 2020년 10,491로 큰 폭 하락했다가 2021년 10,359로 소폭 감소했다. 2022년 12,018, 2023년 13,395로 반등했고 2024년 12,811로 마감했다. 전 기간에 걸쳐 변동성이 있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정점 형성 이후 하방 압력이 나타났고 2020년대 들어서는 다시 상승과 하락이 교차하는 흐름을 보였다.
- 총 부채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9,981에서 시작해 2010년 20,323, 2011년 23,809, 2012년 26,689, 2013년 27,465, 2014년 28,855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5년 32,100, 2016년 36,427로 정점을 찍은 뒤 2017년 34,726, 2018년 33,921, 2019년 32,136, 2020년 29,945로 서서히 감소했다. 2021년 26,225, 2022년 25,146으로 추가 하락했고 2023년 26,598으로 소폭 반등, 2024년 26,585로 소폭 하락하며 비교적 안정된 범위 내에서 움직였다. 전반적으로는 2010년대 중반까지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6년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단기 차입 및 장기 부채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4,388에서 시작해 2006년 5,985로 상승했고 2007년 5,466, 2008년 5,291로 소폭 하락했다. 2009년 5,480, 2010년 8,112로 큰 폭 증가하며 상승 기조를 이어갔고 2011년 9,933, 2012년 11,630, 2013년 13,176, 2014년 13,330까지 계속 증가했다. 2015년 18,999로 급격히 상승했고 2016년 19,616로 정점을 찍은 뒤 2017년 18,199, 2018년 16,051, 2019년 15,294로 하락했다. 2020년 16,886로 반등했고 2021년 14,195, 2022년 12,226, 2023년 11,965로 다시 감소하다가 2024년 12,074로 소폭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2010년대 중반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2017년 이후 하락 흐름이 두드러지며, 2020년 이후에는 다시 다소 반등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 주주 자본 합계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7,592에서 시작해 2006년 10,420, 2007년 14,876, 2008년 16,862, 2009년 19,120로 꾸준히 증가했다. 2010년 31,226, 2011년 31,263, 2012년 34,751, 2013년 39,469로 증가했고 2014년 37,850로 소폭 하락, 2015년 35,633으로 더 내려갔다. 2016년 41,078로 최고치에 도달한 뒤 2017년 36,842, 2018년 36,162로 하락했다. 2019년 23,760으로 큰 감소를 보였고 2020년 12,071로 급락했다. 이후 2021년 15,004, 2022년 17,685, 2023년 20,189, 2024년 21,130으로 점진적 회복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는 200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까지 강한 증가를 보였으나, 2019-2020년대 초에 급격한 감소를 겪은 뒤 2021년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2024년 말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본 분석은 주어진 연간 현금흐름 표를 기반으로 내부 보고서용 관점에서 추세를 해석한다. 표의 항목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연도는 2005년 말부터 2024년 말까지의 값을 미국 달러 단위의 백만 달러로 제시하고 있다. 빈 값은 누락으로 판단된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OCF)
- 요약: 값은 전반적으로 양의 흐름을 보이며, 2005년 3004에서 시작해 2008년 6898까지 증가했다. 2009년~2012년에는 5311~6814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2013년 9788, 2014년 11195로 정점에 도달했다. 이후 2015년 8805로 감소했고, 2016년 6261, 2017년 5663, 2018년 5713, 2019년 5431로 단계적으로 하락했다. 2020년 2944로 큰 폭으로 하락한 뒤 2021년 4651로 일부 회복했고, 2022년 3720으로 다소 하락한 다음 2023년 6637, 2024년 6602로 재차 반등했다. 전반적으로는 영업창출력이 경기 및 산업 사이클의 영향을 크게 받되, 2013~2014년에 정점을 찍고 이후에도 변동성을 보이며 회복 구간과 하락 구간이 교차하는 패턴으로 해석된다.
-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투자현금흐름, 음수)
- 요약: 연간 투자활동의 현금흐름은 지속적으로 음수로 나타나며, 자본지출이나 인수·합병 등으로 사용된 현금이 주요 요인이다. 특히 2012년(-7174), 2013년(-5977), 2014년(-5580), 2015년(-10252)처럼 대규모 자본지출이 집중되었던 구간이 뚜렷하다. 그 이후로는 2016년(-624), 2017년(-1779), 2018년(-1040), 2019년(-2011) 등으로 감소가 부분적으로 나타났으나, 2020년(-2353)과 2023년(-2783), 2024년(-3145)처럼 재차 큰 지출이 나타났다. 이로써 자본배분의 주기가 2012~2015년 집중→ 2016~2019년 완화→ 2020년 이후 재차 재원투입 재개로 변화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재무활동 현금흐름)
- 요약: 재무활동은 대체로 음수 흐름으로 나타나며, 자금조달 활동에 따른 순유입보다는 차입금 상환, 배당지급, 자사주 매입 등으로 인해 순현금이 유출되는 경향이 크다. 2014년 대규모 음수(-5896)가 관찰되어 재무적 재조정의 시기를 시사하고, 2015년에는 소폭의 양수(1374)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후 2016년(-5428), 2017년(-5033), 2018년(-5020) 등 연속적인 음수 흐름이 나타났으며, 2019년(-3718), 2020년(-873), 2021년(-2824), 2022년(-2382), 2023년(-2512), 2024년(-2772)까지 지속적으로 음수로 마감되었다. 전반적으로 외부로의 현금유출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운영현금창출의 변동성과 투자활동의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한 재무조달의 부담이 꾸준히 존재하는 양상으로 보인다.
- 자유현금흐름(FCF) 추정 현황
- 요약: 자유현금흐름은 운영활동으로 인한 현금창출에서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을 차감한 값으로 간주할 때, 연도별로 양수와 음수의 변동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2005년에는 약 960백만 달러의 양의 FCF가 나타났고, 2012년은 약 -360백만 달러로 음수로 전환됐다. 2014년에는 약 5615백만 달러의 양의 FCF를 보였으며, 2015년은 약 -1447백만 달러로 약화됐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약 5637백만 달러, 3884백만 달러의 양의 FCF를 기록했고, 2020년은 591백만 달러, 2023년은 약 3854백만 달러, 2024년은 약 3457백만 달러의 양의 FCF로 마무리되었다. 전반적으로는 운영창출력이 강한 해에 투자지출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더라도 FCF가 양수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2012년과 2015년과 같은 해에는 FCF가 음수로 전환되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주어진 연간 데이터는 기본 주당순이익, 희석된 주당순이익, 주당 배당금의 흐름을 2005년 말부터 2024년 말까지 제시한다. 전체적으로 수익성 지표에서 상승과 급격한 변동이 반복되었고, 배당 정책은 장기간 상승 흐름을 보이다가 2020년대 초의 충격 이후 재조정을 거쳤다. 데이터는 일정 기간에 걸쳐 양호한 상승 followed by 큰 감소와 그 후의 회복을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 1.88에서 2008년 4.54로 상승한 후 2009년 2.62로 하락했다. 2010년대 초반에는 3.41에서 2013년 5.09까지 회복 및 상승했으나, 2014년 4.2로 약화되었다. 2015년에는 1.63으로 급락하고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1.24, -1.08로 손실이 기록되었다. 2018년에는 1.54로 되살아났으나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7.32, -7.57로 대폭적인 손실이 발생했다. 2021년 1.34로 반등했고 2022년 2.43, 2023년 2.95, 2024년 3.14로 점진적 회복을 이어갔다. 전반적으로는 2013년의 정점을 넘어서지 못하는 흐름과 2019–2020년대의 큰 손실 구간이 두드러진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기본 EPS와 유사한 궤적을 보이며, 2005년 1.82에서 2008년 4.45로 상승하고 2009년 2.59로 감소했다. 2010년대 초반에 다시 상승해 2013년 5.05를 기록했고, 2014년 4.16으로 소폭 하락했다. 2015년 1.63으로 급락하고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1.24, -1.08의 손실이 이어졌다. 2018년 1.53, 2019년 -7.32, 2020년 -7.57로 큰 감소를 보인 뒤 2021년 1.32, 2022년 2.39, 2023년 2.91, 2024년 3.11로 회복되었다. 기본 EPS와 마찬가지로 2019–2020년대의 대폭적인 손실 구간이 두드러진다.
- 주당 배당금
- 2005년 0.42에서 시작해 2015년 2.0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2.0을 안정적으로 유지했고, 2020년에는 0.88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2021년에는 0.5로 추가 하락했고, 2022년 0.65, 2023년 1.0, 2024년 1.1로 점진적으로 회복되었다. 전반적으로 초기의 강한 증가를 거쳐 2019년까지 유지되다가 2020년의 충격으로 배당 규모가 축소되었고, 이후 단계적으로 재정비되며 회복세를 나타냈다.
요약하면, 기간 내 수익성은 강한 사이클성으로 흔들렸고, 특히 2019–2020년대의 손실 구간이 이후의 재정정책과 배당 정책의 방향에 큰 영향을 주었다. 회복 국면에 들어선 2021년 이후 수익성의 개선과 함께 배당도 재개되었으나 2013년 중반의 최고점 수준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