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 매출액 | 영업이익(손실) | 순이익(손실) |
---|---|---|---|
2022. 12. 31. | 12,682) | 1,649) | 698) |
2021. 12. 31. | 11,888) | 1,199) | 1,041) |
2020. 12. 31. | 9,913) | (80) | (82) |
2019. 12. 31. | 10,735) | 1,518) | 4,700) |
2018. 12. 31. | 9,823) | 1,506) | 1,671) |
2017. 12. 31. | 9,048) | 1,285) | 104) |
2016. 12. 31. | 8,386) | 447) | 347) |
2015. 12. 31. | 7,477) | (327) | (239) |
2014. 12. 31. | 7,380) | (301) | (119) |
2013. 12. 31. | 7,143) | 120) | (121) |
2012. 12. 31. | 7,249) | (3,868) | (4,068) |
2011. 12. 31. | 7,622) | 904) | 441) |
2010. 12. 31. | 7,806) | (656) | (1,065) |
2009. 12. 31. | 8,188) | (894) | (1,025) |
2008. 12. 31. | 8,050) | (1,505) | (2,036) |
2007. 12. 31. | 8,357) | (14) | (495) |
2006. 12. 31. | 7,821) | (2,949) | (3,577) |
2005. 12. 31. | 6,283) | 968) | 62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매출액 추세
-
2005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매출액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6,283백만 달러에서 출발하여 2016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8,477백만 달러에 이르렀으며, 이후에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2022년에는 12,682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연평균 성장률이 양호하며, 특히 2017년 이후 큰 폭의 상승이 관찰된다.
이러한 매출 증가는 시장 확장이나 제품 라인업의 강화를 시사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영업 기회 확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간주된다.
- 영업이익(손실) 추세
-
영업이익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2005년에는 968백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으나, 2006년부터 2011년까지는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였다. 특히 2006년과 2008년에는 각각 -2,949백만 달러, -1,505백만 달러로 큰 적자를 나타냈다. 이후에는 일부 회복세를 보이나, 2012년까지 다시 적자를 기록하였고, 2013년부터 흑자 전환을 이루는 모습을 보인다. 2014년 이후에는 흑자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주었으며, 2022년에는 1,649백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다.
영업이익의 변동은 비용 구조의 변화, 연구개발 투자, 시장 환경 혹은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2013년 이후 흑자 전환 이후 다시 흑자를 유지하는 점은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다.
- 순이익(손실) 추세
-
순이익 역시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주며, 2005년에는 628백만 달러의 순이익이 발생하였으나, 이후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지속적인 손실이 나타났다. 특히 2006년과 2008년에는 각각 -3,577백만 달러, -2,036백만 달러로 큰 적자를 기록하였다. 2012년까지 손실 상태가 지속되다가 2013년 이후에는 순이익이 다시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2014년에는 4700백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이후 일시적인 적자와 흑자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였다. 2022년에는 698백만 달러의 순이익을 나타내며, 다시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전반적으로 손익의 변동성은 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 및 내부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2013년 이후의 흑자 지속은 경영 안정성과 시장 경쟁력의 강화를 시사한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2. 12. 31. | 5,760) | 32,469) |
2021. 12. 31. | 6,317) | 32,229) |
2020. 12. 31. | 6,694) | 30,777) |
2019. 12. 31. | 4,699) | 30,565) |
2018. 12. 31. | 4,003) | 20,999) |
2017. 12. 31. | 3,822) | 19,042) |
2016. 12. 31. | 3,239) | 18,096) |
2015. 12. 31. | 3,471) | 18,133) |
2014. 12. 31. | 3,606) | 17,042) |
2013. 12. 31. | 3,011) | 16,571) |
2012. 12. 31. | 3,022) | 17,154) |
2011. 12. 31. | 3,105) | 21,290) |
2010. 12. 31. | 3,615) | 22,128) |
2009. 12. 31. | 4,061) | 25,177) |
2008. 12. 31. | 5,452) | 27,139) |
2007. 12. 31. | 5,921) | 31,197) |
2006. 12. 31. | 4,901) | 31,096) |
2005. 12. 31. | 2,631) | 8,196)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유동 자산의 추세
- 2005년부터 2016년까지는 유동 자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2006년에서 2007년 사이 강한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이후 2008년 금융 위기의 영향으로 잠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009년 이후 다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여 2014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2014년 이후에는 2015년과 2016년을 제외하고 다시 상승하는 추세이며,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약 6,317백만 달러와 5,760백만 달러로 집계될 정도로 규모가 커졌습니다. 전반적으로 유동 자산은 최근 수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유동성 확보와 단기자산운용의 확장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총 자산의 추세
- 총 자산은 2005년 약 8,196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강한 증가세는 2006년과 2007년 사이 나타났으며,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로 일시적인 하락 또는 정체가 있었으나, 즉시 회복되어 2010년대 초반부터 다시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3년 이후에는 상당한 폭의 증가를 보여 2018년에는 약 30,469백만 달러에 달했고, 이후 2022년까지 계속 상승하여 총 자산이 약 32,469백만 달러에 도달하였습니다. 이는 자산 전반에 걸쳐 규모가 확장되었음을 의미하며, 기업의 성장과 재무적 안정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주주의 자본 | |
---|---|---|---|
2022. 12. 31. | 3,803) | 8,935) | 17,573) |
2021. 12. 31. | 4,274) | 9,065) | 16,622) |
2020. 12. 31. | 3,681) | 9,143) | 15,326) |
2019. 12. 31. | 4,866) | 10,008) | 13,877) |
2018. 12. 31. | 5,260) | 7,056) | 8,726) |
2017. 12. 31. | 5,654) | 5,616) | 7,012) |
2016. 12. 31. | 3,587) | 5,484) | 6,733) |
2015. 12. 31. | 2,430) | 5,677) | 6,320) |
2014. 12. 31. | 2,846) | 4,262) | 6,457) |
2013. 12. 31. | 1,824) | 4,240) | 6,539) |
2012. 12. 31. | 1,772) | 4,256) | 6,870) |
2011. 12. 31. | 1,807) | 4,261) | 11,353) |
2010. 12. 31. | 2,609) | 5,438) | 11,296) |
2009. 12. 31. | 3,022) | 5,918) | 12,301) |
2008. 12. 31. | 3,233) | 6,745) | 13,174) |
2007. 12. 31. | 3,250) | 8,189) | 15,097) |
2006. 12. 31. | 2,630) | 9,124) | 15,298) |
2005. 12. 31. | 1,479) | 2,020) | 4,28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유동부채
- 2005년부터 2022년까지 유동부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1,479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0년경까지 상당한 증가가 관찰되며, 이후 2011년의 1,807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도 보이지만, 이후 다시 상승세를 나타내며 2014년 2,846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이후 2015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며 2016년 5,260백만 달러, 2017년 5,65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18년 이후 평탄한 흐름을 보이다가 2020년 4,866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일시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2021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4,27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유동부채는 기업의 유동성 관리 변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 총 부채
- 총 부채는 2005년 2,020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2010년에 5,438백만 달러까지 확대되었다. 이후 2011년 4,261백만 달러로 다소 축소된 후 다시 증가세를 보여, 2014년 10,008백만 달러에 정점에 달하였다. 이후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일정 수준의 유지가 지속되었으며, 2019년과 2020년 크게 상승하여 각각 8,935백만 달러와 10,00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1년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또 다시 약간 하락하여 8,935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기업이 차입 규모를 확대하는 동안, 상당 기간에 걸쳐 부채가 증가하는 방향성을 보이고 있다.
- 주주의 자본
- 주주의 자본은 2005년 4,282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06년과 2007년 동안 급증하며 각각 15,298백만 달러와 15,097백만 달러에 도달했고, 그 이후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2012년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어 2013년 6,457백만 달러, 2014년 6,320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6년 13,877백만 달러, 2017년 15,326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특히 2018년 이후에는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여 2019년 17,573백만 달러, 2020년과 2021년 각각 13,877백만 달러와 15,326백만 달러를 유지했고, 2022년에는 17,573백만 달러로 정점에 달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자기자본 증대와 관련된 재무적 성과가 긍정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제공되는 현금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되는 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현금 |
---|---|---|---|
2022. 12. 31. | 1,526) | (2,011) | (548) |
2021. 12. 31. | 1,870) | (1,597) | (95) |
2020. 12. 31. | 1,508) | (411) | 293) |
2019. 12. 31. | 1,836) | (5,041) | 2,973) |
2018. 12. 31. | 310) | (1,921) | 1,432) |
2017. 12. 31. | 1,426) | (1,010) | 110) |
2016. 12. 31. | 972) | (887) | (206) |
2015. 12. 31. | 600) | (2,186) | 1,322) |
2014. 12. 31. | 1,269) | (745) | (150) |
2013. 12. 31. | 1,082) | (475) | (596) |
2012. 12. 31. | 1,260) | (579) | (744) |
2011. 12. 31. | 1,008) | 769) | (1,721) |
2010. 12. 31. | 325) | (480) | (496) |
2009. 12. 31. | 835) | (793) | (820) |
2008. 12. 31. | 1,216) | 324) | (1,350) |
2007. 12. 31. | 934) | (474) | (680) |
2006. 12. 31. | 1,845) | (9,312) | 8,439) |
2005. 12. 31. | 903) | (551) | (95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 현금 흐름
- 2005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활동에서 생성된 현금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현금 유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6년, 2012년, 2014년, 2017년, 그리고 2021년과 2022년에 큰 폭의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영업 활동에서의 수익성과 운영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합니다. 2006년에는 특히 1,845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며 눈에 띄는 성장을 나타냈고, 이후도 대부분의 기간 동안 꾸준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 2009년과 2013년에는 일부 축소된 수치를 기록하며 일정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현금(사용)
- 2005년 이후 2022년까지 투자 활동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은 다소 변동성이 큰 편입니다. 특히 2006년, 2018년, 그리고 2020년에는 상당한 적자를 기록했고, 2006년의 9,312백만 달러와 2018년의 5,041백만 달러는 투자 활동에서의 대규모 자금 유출을 의미합니다. 반면, 2008년, 2010년, 2012년, 그리고 일부 해에는 투자에서의 현금 유입이 나타나며 투자 전략의 일시적 변화 또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자산 매각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2019년 이후에는 적자 폭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여, 일부 회수 또는 투자 재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재무 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현금
- 재무 활동에 따른 현금 흐름은 2005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적으로 비교적 변동이 크며, 일부 기간에는 유의미한 자본 조달 또는 배당, 부채 상환 활동을 반영합니다. 2006년과 2014년, 2017년, 2020년에는 각각 8,439백만 달러, 1,432백만 달러, 2,973백만 달러, 그리고 2,973백만 달러의 현금 유입이 있었으며, 이는 기업이 자본 재조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금융활동을 수행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2005년, 2008년, 2009년 등 일부 연도에는 부채 상환 또는 배당 지급 등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2014년, 2017년, 2020년에 다시 큰 폭의 유입이 관찰되면서 회사의 자본 구조 전략이 다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2. 12. 31. | 0.45 | 0.45 | 0.00 |
2021. 12. 31. | 0.69 | 0.69 | 0.00 |
2020. 12. 31. | -0.08 | -0.08 | 0.00 |
2019. 12. 31. | 3.38 | 3.33 | 0.00 |
2018. 12. 31. | 1.21 | 1.19 | 0.00 |
2017. 12. 31. | 0.08 | 0.08 | 0.00 |
2016. 12. 31. | 0.26 | 0.25 | 0.00 |
2015. 12. 31. | -0.18 | -0.18 | 0.00 |
2014. 12. 31. | -0.09 | -0.09 | 0.00 |
2013. 12. 31. | -0.09 | -0.09 | 0.00 |
2012. 12. 31. | -2.89 | -2.89 | 0.00 |
2011. 12. 31. | 0.29 | 0.29 | 0.00 |
2010. 12. 31. | -0.70 | -0.70 | 0.00 |
2009. 12. 31. | -0.68 | -0.68 | 0.00 |
2008. 12. 31. | -1.36 | -1.36 | 0.00 |
2007. 12. 31. | -0.33 | -0.33 | 0.00 |
2006. 12. 31. | -2.81 | -2.81 | 0.00 |
2005. 12. 31. | 0.76 | 0.75 | 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회사의 주당순이익이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으나, 2006년과 2008년에는 적자를 기록하며 손실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06년과 2008년에는 -2.81달러, -2.89달러의 큰 적자가 나타나 전체적인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후 2010년 이후에는 점차 수익성이 개선되었으며, 2017년과 2018년을 기점으로 양호한 수익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다시 일부 변동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0.45달러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기본 주당순이익과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며, 확대된 배당주주 권리로 조정된 희석 주당순이익 역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적자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0년부터는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2017년까지는 긍정적인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17년, 2018년, 2021년 등 일부 연도에는 3달러 내외의 높은 수익을 기록하여 수익성 회복의 신호를 보여줌과 동시에, 2022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희석 주당이익은 회사의 수익성 증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환율 변동이나 운영 효율성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반영한다.
- 주당 배당금
- 해당 데이터 내에서는 배당금 지급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배당 정책이나 배당 성향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배당 정책이 일정하지 않거나, 배당금 지급이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회사의 배당 정책이 안정적이지 않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추가적인 재무자료 또는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