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Edwards Lifesciences Corp.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매출액 추이와 성장
-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 동안, 순 매출액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11년 이후로 매출액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2014년 이후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가 나타납니다. 2019년에는 5,232,500천 달러로 정점에 도달하며, 전년 대비 큰 폭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였습니다.
- 이익률과 수익성 변화
- 영업이익과 순수익 모두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특히 2011년 이후 상당한 성장세를 보입니다. 2011년 이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증가 속도를 높이면서, 회사의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2018년과 2019년 각각 1,146,800천 달러와 1,503,100천 달러의 순수익은 회사의 수익창출력이 크게 향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 성과의 변동성과 안정성
- 전체 기간 동안 매출액과 순수익의 증가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다만, 2008년에서 2009년 사이의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어 수익성 변화의 상세한 패턴은 파악하기 어려우며, 2008년 이후로는 강한 상승세가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이는 시장의 수요 확대와 제품 판매 증가, 또는 내부 운영 효율성 향상에 따른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종합적 관찰
- 전체적으로 매출액과 이익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회사의 성장성과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습니다. 매출액의 꾸준한 증가는 영업성과를 뒷받침하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성장세는 비용 효율성과 수익성 강화의 신호로 보입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향후 시장확장 및 신제품 개발 등의 전략적 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유동 자산
-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유동 자산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대체로 성장을 지속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2005년의 약 514,200천 달러에서 2021년에는 3,181,700천 달러로 약 6배 상승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증가는 회사의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운영 자본의 확충과 재무 안정성을 시사한다.
특히, 2008년 이후 글로벌 경제 위기와 관련된 기간을 제외하고도 전반적인 성장 추세를 유지한 점이 관찰되며,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2014년 이후에는 상당한 성장세를 기록하며, 2012년의 약 1,291,900천 달러에서 2014년에는 약 2,295,600천 달러까지 상승하였다. 2018년 이후에는 3,181,700천 달러에 달하는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05년 약 1,229,100천 달러에서 2021년 약 8,503,600천 달러로, 거의 7배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가 자산 규모를 크게 확장하며, 투자, 운전자본, 장기 자산 확보 등 다양한 영역에서 대규모 자산 증대를 이룬 결과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기간 동안 일시적 정체 또는 증가률 둔화를 나타내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회복하며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특히, 2010년대 후반에는 상당한 증폭을 보여 2014년 약 3,524,300천 달러에서 2021년에는 8,503,600천 달러에 달하는 등, 자산 규모의 확장을 통한 재무구조 강화를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두 항목 모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어, 회사가 운전자본과 총 자산을 확충하며 장기적인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주주의 자본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유동부채
- 2005년부터 2011년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2년 이후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3년 이후 급격한 증가를 기록했으며, 2017년 이후의 수치는 2013년과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단기 부채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 총 부채
- 2005년과 2006년에는 감소세를 보였으며, 2008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가 관찰된다. 특히 2013년을 전후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상을 보여, 전반적인 부채 부담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014년 이후에는 2017년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년 이후 뚜렷한 상승세를 기록하였다.
- 주주의 자본
-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 이후 가속화되어 2019년에는 5백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성장세가 뚜렷하다. 전체적으로는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자기자본의 증대를 보여, 재무 안정성과 성장 잠재력을 모두 시사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흐름
- -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일정한 성장세를 보이며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10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3,145만 달러와 4,727만 달러의 현금이 영업활동에서 유입되었고, 이후 2013년 2014년에도 강한 흐름이 유지되었다. 2015년 이후로는 부침이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2021년에는 약 17억 달러의 순현금이 영업활동에서 생산되었다.
- 투자 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흐름
- - 투자 활동 명목의 흐름은 2005년부터 큰 변동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2007년 특히 큰 폭으로 감소하여 약 -14만 4500달러를 기록했으며, 이후 2008년과 2014년에는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러나 대체로 연결된 추세는 투자활동에서 현금이 유출되는 게 일반적이며, 2018년 이후에는 지속적인 유출이 관찰된다.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약 -17만 2250달러와 약 -35만 6300달러로, 대규모 투자로 인한 현금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흐름
- - 재무 활동에서의 현금 흐름은 각각의 연도별로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준다. 2006년과 2007년, 2008년에는 상당한 유입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꾸준히 유출이 심화되는 모습이 뚜렷하다. 특히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1억 3백만 달러와 -1억 5백만 달러의 유출이 발생했으며, 2018년 이후로는 유출 규모가 더욱 확대되어 2021년 기준 약 -3억 5천만 달러에 달한다. 이러한 흐름은 채무 상환, 주주 배당 또는 자본조달 활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종합적 평가
- - 전반적으로 기업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영업 현금 흐름을 유지하며 성장하였다. 투자 활동에서는 일부 시기에 대규모 유입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투자에 대한 지출이 상당한 수준으로 지속되며, 이는 성장 또는 전략적 투자를 복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재무활동 흐름은 주로 유출이 강세를 보이며, 자본구조 조정 또는 부채 상환 등의 재무 전략이 수반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패턴은 기업의 성장과 재무 건전성 관리의 균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부터 2010년까지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특히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다소 뚜렷한 증가가 관찰된다. 이후 2011년부터 2015년까지는 주당순이익이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2015년과 2016년 사이에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2017년 이후에는 비교적 빠른 증가세가 지속되어 2021년에는 매우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강하게 향상된 추세를 나타내며, 영업이익률 또는 수익 구조의 개선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희석된 주당순이익 역시 기본 주당순이익과 유사한 패턴을 따르고 있으며,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2011년부터 2015년까지는 지속적인 상승이 유지되었으며, 2016년을 기점으로 더욱 빠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과 2021년에는 각각 최고치를 기록하며, 순이익의 희석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수익성 강화와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된 것으로 보여진다. 전반적으로 희석된 주당순이익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수익성과 투자수익률의 향상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 주당 배당금
- 이 데이터에는 배당금 관련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 구체적인 배당 정책이나 배당 확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배당금 변동이나 지급 실적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지급 여부 또는 정책의 변화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기는 불가능하다. 다만, 주당순이익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와 연관이 있다면, 배당금 정책도 개선 또는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