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손익계산서
포괄 소득은 일정 기간 동안 사업체의 자본 (순 자산)이 비 소유자 출처의 거래 및 기타 사건 및 상황으로 인한 변화입니다. 여기에는 소유자의 투자 및 소유자에 대한 분배로 인한 변동을 제외한 일정 기간 동안의 모든 지분 변동이 포함됩니다.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순수입
-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순수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 왔으며, 특히 2019년에 큰 폭으로 증가하여 1,046,900천 달러를 기록하였고 이후 2021년에는 1,503,100천 달러로 정점에 이르렀다. 이 기간 동안 성장률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며, 2020년의 일시적 감소 이후 다시 강한 회복세를 나타내었다.
- 외화 환산 조정
- 이 항목은 변동성이 크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는 대체로 부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2018년에는 3만 8600천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고, 2019년과 2020년에는 손실 규모가 다소 축소되었다가 2021년에 다시 손실이 나타나 5만 1000천 달러에 달하였다. 이는 환율 변동성과 환위험 관리의 효과에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 헤지의 미실현 이익(손실)
- 헤지 관련 손익은 변동성이 크며,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손실과 이익을 번갈아 기록하였다. 2018년에 큰 이익이 발생했으나, 2020년에 다시 손실로 돌아섰다가 2021년에는 다시 5만 7400천 달러의 미실현 이익을 나타내어 헤지 전략에 따른 위험 조정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미실현 연금 세액공제(비용)
- 이 항목은 변동이 심하며, 2017년과 2018년에는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2019년과 2020년에는 부정적인 조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2021년에는 1만 1600천 달러의 세액공제 효과가 나타나 회사의 연금 계획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판매 가능한 투자에 대한 미실현 이익(손실)
- 이 항목은 상당한 변동성을 띄며, 2017년과 2018년에는 손실이 있었으나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이익을 보여주었으나 2021년에는 상당한 손실로 돌아섰다. 이렇듯 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치 평가 변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른 투자 평가의 민감도를 보여준다.
- 순 실현 투자 손실을 수익에 대한 재분류
- 이 항목은 해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2021년에 급증하여 8,600천 달러에 이르렀다. 이는 실현된 투자 손실의 재분류가 회사의 수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 기타포괄손익(손실), 세무 순이익
- 이 항목은 일정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2017년과 2018년에는 상당히 양호했으나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큰 적자가 나타났다. 2021년에는 다시 일부 회복되어 일부 긍정적 기여를 보여주고 있으며, 포괄적 소득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 포괄적 소득
- 포괄적 소득은 전체 재무성과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인 상승세가 관찰된다. 2019년과 2020년에는 일시적인 정체 또는 감소가 있었으나, 2021년에는 다시 강한 성장을 보여, 총 1,506,500천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의 전반적인 재무 성과와 각종 기타 포괄손익 항목의 영향을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