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10-29), 10-Q (보고 날짜: 2022-07-30), 10-Q (보고 날짜: 2022-04-30),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Q (보고 날짜: 2021-10-30), 10-Q (보고 날짜: 2021-07-31), 10-Q (보고 날짜: 2021-05-01),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Q (보고 날짜: 2020-10-31), 10-Q (보고 날짜: 2020-08-01), 10-Q (보고 날짜: 2020-05-02),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Q (보고 날짜: 2019-11-02), 10-Q (보고 날짜: 2019-08-03), 10-Q (보고 날짜: 2019-05-04),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Q (보고 날짜: 2018-11-03), 10-Q (보고 날짜: 2018-08-04), 10-Q (보고 날짜: 2018-05-05),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Q (보고 날짜: 2017-10-28), 10-Q (보고 날짜: 2017-07-29), 10-Q (보고 날짜: 2017-04-29), 10-K (보고 날짜: 2017-01-28), 10-Q (보고 날짜: 2016-10-29), 10-Q (보고 날짜: 2016-07-30), 10-Q (보고 날짜: 2016-04-30).
-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변화
-
전체 기간에 걸쳐 유동자산이 전반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대체로 안정된 구간을 유지하였으나, 2020년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는 유동자산 비중이 54%에서 58%를 넘나들며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관찰된다. 이는 단기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산 구조 조정을 시사할 수 있다.
반면, 비유동자산은 기간 중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2016년에서 2019년까지는 약 24%에서 28% 범위 내였으며, 이후 2020년대를 거치며 점차 낮아지고 있다. 특히 2022년 말에는 35%선을 넘어서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어, 장기 자산의 비중이 조정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 현금 및 단기 투자 비중의 변화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2016년 이후 상당히 변동성을 보였다. 특히 2020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0년 말에는 총 자산의 25% 이상에 달하는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단기 유동성 확보와 투자 여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
단기 투자 역시 비중이 2016년 9.46%에서 2020년 15% 이상까지 상승했으며, 2022년 말에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자산은 회사의 유동성 확보와 관련된 전략적 판단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상품 재고의 무게와 변화 추이
-
상품 재고는 기간 동안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준다. 2016년 36.58%에서 시작해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다소 증가했으며, 2019년 이후 다시 급증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특히 2019년 54.45%까지 치솟았으며, 이후 2021년에는 23.75%로 낮아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동은 판매 전략 또는 재고 관리 정책의 변화, 또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몇 년간 재고 비중이 높은 시점에서는 재고의 과잉 또는 축소 전략이 병행된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매출회전율이나 재고관리 효율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일 수 있다.
- 기타 자산 및 친선자산 비중의 변화
- 기타 자산과 친선자산은 기간별로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재산의 구조에 큰 변동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친선자산은 2016년 3%대 후반에서 시작하여 2022년에는 8%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증가하는 모습이다. 이는 부가적인 자산 확보 또는 브랜드 및 고객 관계 자산 등 특별한 자산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