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22년 이후 일부 회복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20년에는 전체 자산의 약 68.39%에 달했으나, 2022년에는 20.2%로 낮아졌고, 2024년에는 31.29%로 전반적인 회복이 관찰됩니다. 이는 현금보유액이 기업의 유동성 관리 전략에 따라 조정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단기 유가증권
- 단기 유가증권의 비중은 2020년 8.09%에서 2021년 18.4%로 급증한 이후 2022년 15.77%, 이후 2024년 10.29%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기 투자자산에 대한 비중 조정 또는 보유 전략 변경의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 장기 유가증권
- 장기 유가증권은 2021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2022년 4.06%, 2023년 5.38%, 2024년 6.5%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기업이 장기 투자 또는 자산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유동 자산과 기타 유동 자산
- 2020년에는 유동자산의 비중이 86.84%로 매우 높았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2년에는 48.22%, 2024년에는 57.5%로 회복되었으며, 특히 선불 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이 증가하는 등 유동성 확보와 관련된 조치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은 2020년 13.16%에서 2022년 51.78%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후 약간 감소하며 2024년 42.5%에 이릅니다. 특히 무형자산이 2022년 7.81%에 달하는 등 지적 재산권이나 브랜드 가치와 관련된 자산이 확대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기타 재무 항목
- 친선 및 기타 자산의 비중은 2020년 대비 크게 변동하였으며, 이들 항목이 전체 자산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조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 전반적 추세
- 전반적으로, 단기 유동성 자산의 비중은 2020년 큰 폭으로 높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반면, 비유동자산은 2021년 이후 점차 비중을 높여, 재무구조의 자산 구성 다변화 및 장기 투자 확대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재무 전략을 조정하며 유동성과 비유동자산의 비중을 적절히 배분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