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Netflix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익과 이익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고, 특정 시점을 제외하면 수익성도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인다. 초기 몇 차례 해석 가능한 변동은 이후의 성장 구간에서 점차 안정화되는 경향과 함께 장기간의 규모의 확대로 이어진다. 빈 값은 누락 데이터로 간주되지만, 제시된 기간 전체에 걸쳐 각 항목의 값이 연속적으로 나타나 있다.
- 수익의 추세
- 연도별 수익은 2005년 682,213천 달러에서 시작해 2024년 39,000,966천 달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초기에는 연평균 증가율이 비교적 완만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한 성장으로 가속화되었다. 2017년 이후 누적 증가 폭이 커지며 매년 증가를 유지했고, 2021년대에는 3,000억 달러를 넘어 4,000억 달러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특히 2016년 이후의 증가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2023년을 거쳐 2024년에 새롭게 정점에 이르는 흐름이 관찰된다.
- 영업이익의 추세
- 영업이익은 2005년부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2년에는 49,992천 달러로 급락하는 이례적 변동을 기록했다. 이후 2013년 228,347천 달러, 2014년 402,648천 달러로 반등했고 이어 2017년 이후에는 가파르게 상승했다. 2024년에는 10,417,614천 달러에 이르며 매출 확대와 함께 이익 창출 역시 현저히 개선되었다. 2012년의 급락은 기간 전체의 추세에 비해 이례적으로 해석되는 포인트로 남는다.
- 순이익의 추세
- 순이익은 2005년 42,027천 달러에서 시작해 2011년 226,126천 달러로 상승했다. 그러나 2012년에는 17,152천 달러로 급감했고 이후 2013년 112,403천 달러, 2014년 266,799천 달러 등으로 회복되었다. 2015년에는 122,641천 달러로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이후 다시 증가세를 이어 2017년 558,929천 달러, 2018년 1,211,242천 달러, 2020년 2,761,395천 달러로 큰 폭 확대되었다. 2021년에는 5,116,228천 달러로 정점을 찍고 2022년에는 4,491,924천 달러로 소폭 하락한 뒤 2023년 5,407,990천 달러, 2024년 8,711,631천 달러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2012년의 급감 이후 장기적으로는 강한 성장 흐름이 지속되었다.
- 수익성의 패턴 및 시사점
- 수익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며, 매출 성장에 비례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비중이 확대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2005~2011년대에는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매출 대비 낮은 편이었으나, 2017년 이후에는 각각의 이익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수익성 지표의 개선이 두드러진다. 구체적으로 순이익 마진은 2005년대 초 6%대에서 2024년에는 약 22%대에 이르는 등 장기적으로 개선되었다. 비슷한 맥락에서 영업이익률도 2020년대에 들어 대폭 상승해 매출 증가와 함께 이익 창출 탄력성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 주요 관찰 포인트 및 시사점
- 일부 시점에서의 비정상적 변동(특히 2012년의 영업이익 및 순이익 급락)은 기간 추세의 초기 구간에 영향을 주는 이례적 사례로 해석된다. 그러나 전체 구간을 보면 매출의 규모 확장과 더불어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이후의 흐름은 매출 증가와 함께 높은 이익 창출 능력이 뚜렷해졌으며, 2020년대에 들어서는 수익성의 개선 폭이 더욱 커져 수익성 지표가 동반 상승했다. 이러한 패턴은 규모의 경제와 운영 효율성 개선이 동시에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도별 재무 지표는 두 항목으로 구성되며, 단위는 US$ 천이다. 데이터는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간 시계열로 제공되며, 빈 값은 누락 데이터를 나타낸다. 내부 보고서 형식의 관점에서 주요 흐름과 패턴을 파악한다.
- 데이터의 규모와 시작·종점
- 유동 자산은 2005년 약 243.7백만 달러에서 2024년 약 13,100.4백만 달러로 확대되었다. 총 자산은 2005년 약 364.7백만 달러에서 2024년 약 53,630.4백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로써 두 지표 모두 장기간에 걸쳐 큰 규모 확대가 확인되며, 총 자산의 성장은 유동 자산보다 훨씬 큰 폭으로 진행되어 전체 자산에서 비중이 확대되었다.
- 총 자산의 성장 경로
- 2005년 이후 초기에는 비교적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2011년 이후 급격한 확장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10년 총 자산은 약 0.98B에서 2011년 약 3.07B으로 급증했고, 이후 2012년~2018년 사이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9년에는 약 33.98B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고, 2020년 약 39.28B, 2021년 약 44.58B, 2022년 약 48.59B, 2023년 약 48.73B로 다소 완만한 증가를 거쳐 2024년 약 53.63B에 이르는 흐름을 보였다. 전 기간 흐름은 대체로 성장세가 지속되었으나 2023년에는 소폭의 정체가 나타났다.
- 유동 자산의 성장 경로와 변동성
- 유동 자산도 장기적 상승 추세를 유지하였으나 연도별 변동성도 존재한다. 2005년 약 0.24B에서 2011년 약 1.83B으로 급격히 증가한 이후 2012년~2014년에도 안정적으로 상승했다. 2015년~2018년 사이에는 5.4B에서 9.7B 사이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9년에는 약 6.18B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2020년 다시 상승하여 약 9.76B에 이르고, 2021년 약 8.07B로 소폭 감소한 뒤 2022년 약 9.27B, 2023년 약 9.92B, 2024년 약 13.10B로 재차 증가했다. 전반적으로는 큰 규모 확장 속에서 2019년의 급락과 2020년대의 회복 흐름이 뚜렷하다.
- 비중 변화와 시사점
- 두 지표의 초기 구간에서 유동 자산이 총 자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구조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동 자산의 비중이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11년에는 유동 자산이 총 자산의 약 60%에 달했으나 2020년대에는 약 25% 내외로 낮아졌다. 이는 비유동 자산(예: 무형자산, 고정자산 등)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음을 시사하며, 자본적 투자 확대와 자산 구성의 구조적 변화가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2023~2024년 사이에는 유동 자산의 비중이 다시 상승하는 흐름도 관찰되며, 현금성 및 유동성 관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될 여지가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주주의 자본 |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본 분석은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부 보고서 형식의 요약을 제공합니다. 표의 구성은 항목(유동부채, 총 부채의 두 행, 주주의 자본)과 각 항목의 단위가 US$ 단위 천으로 제시되며, 2005년 12월 3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의 값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빈 값은 데이터가 누락된 것을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패턴과 시사점을 정리합니다.
유동부채의 추세는 2005년 소액으로 시작해 2010년대를 지나며 급속히 확대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2011년 이후에는 매년 증가 폭이 커졌고 2021년 정점에 이르렀다가 2022년 소폭 하락한 뒤 2023~2024년에 다시 상승했습니다. 2005년 약 0.14억 달러에서 2024년 약 10.76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총 부채(첫 번째 정의)는 초기에는 소규모였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24년 말에는 약 28.89억 달러에 이르는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대 중반까지 가파른 상승이 이어졌고, 2020년대 들어서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총 부채(두 번째 정의) 구성은 2010년부터 가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2016년 이후에는 연속적인 증가세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이 구성의 값은 2010년대 중반 이후 2024년 말에 이르기까지 대략 0.20억 달러에서 15.58억 달러 규모로 증가했습니다.
주주의 자본은 2005년 약 0.23억 달러에서 2024년 약 24.74억 달러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성장의 속도는 2010년대 중반 이후 빨라졌고, 2018년 이후의 연속 상승이 뚜렷합니다. 이로써 연도 말 기준으로 자본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패턴 요약: 자본과 부채의 상대적 구성 변화
- 2005년에는 자본이 부채에 비해 작은 규모였으나, 2024년 말에는 자본이 총 부채에 거의 근접하는 수준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같은 시점의 총 부채는 약 28.89억 달러, 주주의 자본은 약 24.74억 달러로,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자본 구조의 개선이나 대규모 자본 조달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관찰 가능한 시점별 변화 포인트
- 2010년대 초반에는 두 개의 부채 구성 모두 큰 폭으로 확장되었고, 2011~2016년 사이의 규모 확장이 특히 뚜렷했습니다. 2021년을 전후로 현재 부채의 절대 규모가 정점에 근접했고, 2022년 소폭 감소 후 2023~2024년에 다시 성장했습니다. 두 번째 총 부채 구성 역시 2016년 이후 가파른 상승을 보이며 2024년 말까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간 재무 흐름 데이터는 운영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 투자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 재무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을 2005년부터 2024년까지 연도별로 보여준다. 단위는 US$ 천이며, 데이터의 흐름과 변동을 중심으로 패턴을 해석한다. 아래는 관찰된 주요 패턴과 시사점이다.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의 패턴
- 단위: US$ 천. 2005년부터 2014년까지는 양의 현금흐름이 지속되며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2005: 162,977; 2006: 247,862; 2007: 291,823; 2008: 284,037; 2009: 325,063; 2010: 276,401; 2011: 317,712; 2012: 22,765; 2013: 97,831; 2014: 16,483). 2015년부터 2019년까지는 큰 폭의 음전환이 나타나며 현금흐름이 크게 악화되었고, 2019년에는 -2,887,322로 최저점을 보였다. 2020년에는 반등하여 2,427,077로 급회복했고, 2021년은 392,610, 2022년은 2,026,257로 재차 상승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7,274,301, 7,361,364로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는 강한 흑자를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운영활동 현금흐름은 초기 안정기에서 점진적 악화→대규모 회복으로 이어지며 2020년대에 가장 높은 수치를 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 투자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의 패턴
- 단위: US$ 천. 대부분 해에서 음수의 흐름이 지속되었으며, 자본지출이나 콘텐츠투자 등 투자지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2005년~2014년 사이에는 연속적인 음수 흐름이 관찰된다(예: 2005: -138,718; 2010대 초반까지 음수 유지). 2012년~2013년에는 여전히 음수였고, 2016년과 2017년에 소폭 양의 수치를 보이기도 했다(2016: 49,765; 2017: 34,329). 2023년에는 541,751로 일시적으로 양의 흐름이 크게 증가했고, 그 외 해에는 음수로 나타났다. 2019년 이후 2020년~2022년까지 주로 음수였으며, 2024년에는 -2,181,784로 다시 큰 음전환이 확인된다. 전반적으로 투자활동은 대체로 현금유출이 우세하되, 2016–2017년의 소폭 반등과 2023년의 큰 양의 흐름이 특징적이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의 패턴
- 단위: US$ 천. 초기에는 소폭의 양수 흐름을 보이다가 2007년~2010년대 초반에는 음의 흐름으로 전환되었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는 양의 흐름이 급격히 확대되며 자금조달 활동이 활발해졌고, 2019년까지의 연간 수치는 261,656(2011)에서 최고치 수준에 이르는 해까지 증가했다(예: 2013: 476,264; 2014: 541,712; 2015: 1,640,277; 2016: 1,091,630; 2017: 3,076,990; 2018: 4,048,527; 2019: 4,505,662). 2020년에는 1,237,311로 감소했다가 2021년에는 -1,149,776, 2022년에는 -664,254로 전환되며 순현금흐름이 큰 음수로 돌아섰다. 2023년에는 -5,950,803, 2024년에는 -4,074,427로 대규모 순현금유출이 지속되며 자금조달활동의 축소나 차입/배당/자사주 매입의 구조적 변화가 강하게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재무활동은 2011년 이후 대규모 자금조달을 통해 현금흐름을 유지하던 흐름에서 2021년 이후 대규모 순지출로 전환된 경향을 보인다.
요약적으로, 운영활동 현금흐름은 초기엔 안정적이었고 2015년 이후 악화되었으나 2020년 이후 다시 급반등하여 2023년–2024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대부분 음의 흐름이 지속되었으나 2023년에 한 차례 큰 양의 흐름이 나타났고, 그 외에는 자본지출 및 콘텐츠투자 등의 지출이 주된 요인이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2011년 이후 자금조달 활동이 크게 확대되었으나 2021년 이후에는 대규모 순지출로 전환되었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특히 큰 폭의 음의 흐름으로 마감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운영 기반의 강한 현금창출력 확대와 함께 자본구조 조정 및 대규모 자금반환 정책의 변화가 함께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데이터 구성 및 주요 관찰
- 해당 표는 두 가지 주당순이익(EPS) 항목과 주당 배당금 항목으로 구성되며, 단위는 미국 달러($)이다. 시계열은 2005-12-31에서 2024-12-31까지 연간 데이터를 포함한다.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은 모두 숫자로 제공되며, 주당 배당금 항목은 모든 연도에서 값이 기록되지 않아 누락 데이터를 의미한다. 두 EPS 항목은 같은 흐름을 보이나, 대체로 기본이 희석보다 약간 높다.
- 주당 순이익의 기간별 흐름
- 2005년 초반부터 2011년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12년에는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다(기본: 0.04; 희석: 0.04). 이후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재차 회복하며 0.28~0.63대의 범위에서 상승과 변동을 반복한다. 2017년 이후 급격한 상승세가 시작되어 2018년에는 각각 2.78, 2.68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고, 2019년 4.26/4.13, 2020년 6.26/6.08, 2021년 11.55/11.24로 연간 증가 폭이 크게 확대된다. 2022년에는 다소 하락(기본 10.1, 희석 9.95)한 뒤 2023년에는 다시 상승(기본 12.25, 희석 12.03), 2024년에는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본 20.28, 희석 19.83에 도달한다.
- 기본 vs 희석 주당순이익의 차이
- 두 항목의 차이는 대체로 소폭에서 시작해, 2017년 이후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초기에는 차이가 0.0~0.02 포인트대였으나, 2017년(약 0.04), 2018년(약 0.10), 2019년(약 0.13), 2020년(약 0.18), 2021년(약 0.31)처럼 증가폭이 커진다. 2022년에는 0.15로 줄어들었고 2023년에는 0.22, 2024년에는 0.45까지 벌어진다. 이러한 흐름은 희석 효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는 구조적 요소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주당 배당금 항목의 상태
- 주당 배당금 항목은 모든 연도에서 값이 비워져 있어 배당 지급 여부나 규모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배당 정책의 여부나 변화를 데이터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향후 공시를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 패턴 요약 및 시사점
- 전체 EPS는 초기에는 완만한 성장에서 2012년의 급락을 거쳐 2013년 이후 재차 상승세로 전환되었다. 특히 2017년 이후에는 연간 증가폭이 크게 확대되며 2020년대에 들어서도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었다. 2021년의 상승이 특히 두드러지며 2022년에는 소폭 조정이 있었고, 2023~2024년에는 다시 가파른 상승으로 마무리된다. 기본 EPS와 희석 EPS 사이의 차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희석 효과가 커진 환경이나 주식 보상 등 특정 비용구조 변화의 반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당 배당금 자료의 부재는 주주가치 창출 방식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이 데이터만으로 배당 정책의 상태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전반적으로, 수익성 지표는 큰 상승세를 나타내며, 고성장 시기의 이익 창출력과 비용 구조의 변화가 함께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