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enty-First Century Fox Inc. 는 3 개의 세그먼트로 작동합니다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텔레비전; 및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34.40% | 34.72% | 34.23% | 33.75% | 35.91% | 38.39% |
텔레비전 | 7.01% | 15.83% | 14.57% | 14.67% | 16.65% | 17.59%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11.00% | 12.76% | 12.76% | 15.17% | 14.03% | 15.1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수익성과 부문별 이익률의 변동
-
해당 기간 동안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부문의 보고 가능 부문 이익률은 지속적으로 안정적이며 약간의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3년의 38.39%에서 2018년에는 34.4%로 약간 하락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수익성의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텔레비전 부문의 보고 가능 부문 이익률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며, 2013년 17.59%에서 2018년 7.0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해당 부문이 수익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하며, 경쟁 강도 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보고 가능 부문 이익률은 2013년 15.14%에서 2018년 11%로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부문 역시 일정한 수익성 하락이 관찰되며, 시장 내 경쟁 심화 또는 콘텐츠 생산 비용 증가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세그먼트 OIBDA | 6,173) | 5,601) | 5,145) | 4,648) | 4,407) | 4,177) |
수익 | 17,946) | 16,130) | 15,029) | 13,773) | 12,273) | 10,881)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34.40% | 34.72% | 34.23% | 33.75% | 35.91% | 38.3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세그먼트 OIBDA ÷ 수익
= 100 × 6,173 ÷ 17,946 = 34.40%
- 세그먼트 OIBDA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각 연도별 수치는 약 4,177백만 달러에서 6,173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2017년부터 2018년까지의 증가율이 높아져, 회사의 핵심 영업 성과가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수익
- 전체 수익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3년 10,881백만 달러에서 2018년 17,946백만 달러로 증대되었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익 증가는 회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 또는 제품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의 강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큽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38.39%에서 34.4%까지 약간의 변동을 보이면서 최근에는 다소 하락하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수익 증대에 따른 원가 또는 기타 비용의 상승, 또는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압박을 내포할 수 있으며, 그러나 연평균 수준에서는 여전히 안정적인 수익성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분석기간 동안 매출과 세그먼트 OIBDA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며, 이는 회사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견고하게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압박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전체적인 수익 구조 개선이 향후 과제일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텔레비전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세그먼트 OIBDA | 362) | 894) | 744) | 718) | 882) | 855) |
수익 | 5,162) | 5,649) | 5,105) | 4,895) | 5,296) | 4,860)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7.01% | 15.83% | 14.57% | 14.67% | 16.65% | 17.5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세그먼트 OIBDA ÷ 수익
= 100 × 362 ÷ 5,162 = 7.01%
- 세그먼트 OIBDA 추세 분석
-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세그먼트 OIBDA가 소폭 상승하였으며, 이후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718백만 달러와 744백만 달러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7년에는 다시 894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나, 2018년에는 362백만 달러로 급격하게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세그먼트의 운영 성과나 시장 환경의 변동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특히 2018년의 큰 감소는 관심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 수익 추세 분석
- 수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왔으며, 2013년 약 4,860백만 달러에서 2017년 5,649백만 달러까지 증가하였으나, 2018년에는 5,162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와 같은 수익의 증감은 시장의 수요, 경쟁 환경 또는 내부 운영 전략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반영할 수 있으며, 2018년의 감소는 분석이 필요한 지점입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의 변화
- 이익률은 2013년 17.59%로 시작하여 2014년에는 16.65%, 2015년 14.67%, 2016년에는 14.57%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7년에는 15.83%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8년에는 7.01%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이는 수익성과 효율성 면에서 상당한 하락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하락은 비용 구조의 변화, 영업 이익의 압박 또는 기타 외부 요인과 관련될 수 있으며, 향후 지속 가능한 수익성 확보를 위한 전략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세그먼트 OIBDA | 962) | 1,051) | 1,085) | 1,445) | 1,358) | 1,308) |
수익 | 8,747) | 8,235) | 8,505) | 9,525) | 9,679) | 8,642)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11.00% | 12.76% | 12.76% | 15.17% | 14.03% | 15.1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세그먼트 OIBDA ÷ 수익
= 100 × 962 ÷ 8,747 = 11.00%
- 세그먼트 OIBDA의 추세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세그먼트 OIBDA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해당 기간 동안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2013년 1308백만 달러에서 2015년 1445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6년 1085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다시 2017년 1051백만 달러와 2018년 962백만 달러로 점차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수익의 변화경향
- 이 기간 동안 수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3년 8,642백만 달러에서 2014년 9,679백만 달러로 성장하였다. 이후 약간의 변동을 겪으며 2015년 9,525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고, 2016년 8,505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하였다. 그러나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8,235백만 달러와 8,747백만 달러로 확대되어, 2016년 이후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수익은 일정한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상승 또는 회복하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의 변화
- 이익률은 2013년 15.14%에서 2014년 14.03%로 소폭 감소한 후, 2015년에는 다시 15.17%로 회복되었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12.76%로 낮아졌으며, 2018년에는 11%로 더욱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수익성 측면에서 점차 악화되는 추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2016년 이후 이익률의 지속적인 하락은 비용 구조 혹은 시장 조건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23.97% | 22.48% | 20.60% | 20.00% | 19.65% | 23.43% |
텔레비전 | 5.34% | 13.20% | 10.69% | 10.80% | 13.68% | 13.33%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9.04% | 10.19% | 11.33% | 15.87% | 13.03% | 13.9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이 지표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소폭 하락 후 회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016년에는 20%대 초반을 기록하며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며, 2018년의 수익률은 23.9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해당 세그먼트의 수익성 향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텔레비전⸺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는 전체 기간 동안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13.33%와 13.68%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10.8%로 하락하였고 이후 2016년까지 약 10.69%로 유지되었습니다. 2017년에는 13.2%로 회복세를 보여주었으나, 2018년에는 급격하게 5.34%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텔레비전 관련 사업의 수익성에 도전이 있었던 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광범위한 변동성을 기록하였으며, 2015년 이후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2013년과 2014년 각각 13.9%와 13.03%의 수익률을 기록하였고, 2015년에는 15.87%로 일시적으로 증가했으나, 이후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11.33%와 10.19%로 하락하였으며, 2018년에는 9.04%로 계속 떨어졌습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제작 관련 사업의 수익성에 지속적인 압박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세그먼트 OIBDA | 6,173) | 5,601) | 5,145) | 4,648) | 4,407) | 4,177) |
자산 | 25,756) | 24,913) | 24,979) | 23,235) | 22,422) | 17,830)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23.97% | 22.48% | 20.60% | 20.00% | 19.65% | 23.4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세그먼트 OIBDA ÷ 자산
= 100 × 6,173 ÷ 25,756 = 23.97%
- 세그먼트 OIBDA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기준으로 볼 때, 세그먼트 OIBDA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3년 4,177백만 달러에서 2018년 6,173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점차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평균 성장률은 상당히 견고하며, 시장 확대 또는 효율성 향상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 자산
- 총 자산은 2013년 17,830백만 달러에서 2018년 25,756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기업의 규모 확장 또는 자산 기반 강화를 반영하며, 기간 동안 연평균 상승률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자산 증가는 투자 또는 인수 활동의 일환일 수 있으며, 재무전략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3년 23.43%에서 2018년 23.97%로 소폭 상승하였다. 이는 자산을 활용한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전반적으로 수익률이 안정적이고 개선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수익률의 증가는 효율적인 자산 운영 또는 수익성 높은 사업 부문에의 집중을 의미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텔레비전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세그먼트 OIBDA | 362) | 894) | 744) | 718) | 882) | 855) |
자산 | 6,779) | 6,775) | 6,959) | 6,646) | 6,449) | 6,415)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5.34% | 13.20% | 10.69% | 10.80% | 13.68% | 13.3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세그먼트 OIBDA ÷ 자산
= 100 × 362 ÷ 6,779 = 5.34%
- 세그먼트 OIBDA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세그먼트 OIBDA는 상당한 변동을 보였으며, 특히 2015년과 2016년 사이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2013년과 2014년에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에 일시적인 하락이 있었으며, 이후 2016년에 소폭 증가하였다. 하지만 2017년에는 다시 하락하여 2018년에는 최저치에 가까운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세그먼트의 영업수익성 또는 비용 구조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자산
- 자산은 2013년 약 6,415백만 달러에서 2018년 약 6,779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주요 변동은 크지 않으며, 연평균적으로 안정적인 자산 규모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자산 포트폴리오의 크기와 구성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3년 13.33%에서 2015년 10.8%로 하락하였으며,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다시 큰 폭의 변동이 있었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10.69%와 13.2%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2018년에는 5.34%로 크게 하락하였다. 이와 같은 수익률의 변동은 수익성의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하락 요인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기업의 수익성 향상을 위한 구조 개선 또는 비용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세그먼트 OIBDA | 962) | 1,051) | 1,085) | 1,445) | 1,358) | 1,308) |
자산 | 10,646) | 10,312) | 9,579) | 9,105) | 10,419) | 9,411)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9.04% | 10.19% | 11.33% | 15.87% | 13.03% | 13.9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세그먼트 OIBDA ÷ 자산
= 100 × 962 ÷ 10,646 = 9.04%
- 세그먼트 OIBDA 추세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세그먼트 OIBDA는 꾸준한 증가를 보여, 각각 1308백만 달러, 1358백만 달러, 1445백만 달러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2016년 이후에는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16년 1085백만 달러로 하락했으며, 이후 2017년 1051백만 달러, 2018년 962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일부 압박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시장 또는 내부 운영 환경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 자산 규모의 변화
- 전체 자산 규모는 2013년 9411백만 달러에서 2014년 10419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 2015년 9105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어서 2016년 9579백만 달러, 2017년 10312백만 달러, 2018년 10646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동성은 회사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일부 병합 또는 매각 등의 전략적 조정을 통해 조정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익률은 2013년 13.9%에서 2014년 13.03%로 약간 하락하였으며, 2015년에는 15.87%로 다시 상승하였다. 그 이후 2016년에는 11.33%로 하락했으며, 2017년 10.19%, 2018년 9.04%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패턴은 수익률이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며, 포트폴리오의 수익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 운영 또는 시장 환경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0.70 | 0.65 | 0.60 | 0.59 | 0.55 | 0.61 |
텔레비전 | 0.76 | 0.83 | 0.73 | 0.74 | 0.82 | 0.76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0.82 | 0.80 | 0.89 | 1.05 | 0.93 | 0.9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3년의 0.61에서 2018년에는 0.70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케이블 네트워크 부문의 자산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자산 회전율이 높아질수록 자산 사용의 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뚜렷한 상승세를 보인 점은 이 부문의 운영 효율 개선 또는 자산 관리 전략이 강화된 결과일 수 있습니다.
- 텔레비전⸺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표는 2013년 0.76에서 2018년 0.76으로 유지되거나 소폭 변동하는 패턴을 보여, 전체 기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자산 활용도를 나타냅니다. 2014년과 2015년에 일시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나, 이후 다시 2013년 수준으로 돌아왔으며, 이는 해당 사업 부문의 운영이 지속적으로 효율적임을 반영합니다. 다만, 변동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일정한 자산 활용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표는 2013년 0.92에서 2015년 1.05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 2016년 0.89로 약간 하락하였으나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0.8 및 0.82로 소폭 회복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는 2013년 이후로 상당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연도별로 약간의 변동이 나타났습니다. 이들 변화는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자산 활용이 비교적 효율적임을 보여주며, 일부 기간에는 부진 또는 개선의 시기가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익 | 17,946) | 16,130) | 15,029) | 13,773) | 12,273) | 10,881) |
자산 | 25,756) | 24,913) | 24,979) | 23,235) | 22,422) | 17,830)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70 | 0.65 | 0.60 | 0.59 | 0.55 | 0.6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수익 ÷ 자산
= 17,946 ÷ 25,756 = 0.70
최근 6년간의 재무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회사는 지속적인 수익성과 자산 규모의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간 수익은 2013년 10,881백만 달러에서 2018년 17,946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연평균 성장률이 상당히 높음을 시사합니다. 자산 역시 같은 기간 동안 17,830백만 달러에서 25,756백만 달러로 확대되어, 회사의 자산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보고 대상 부문의 자산 회전율은 2013년 0.61에서 2018년 0.70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자산을 활용한 수익 창출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2014년 이후 자산 회전율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은, 회사의 자산 활용도가 향상되어 수익을 더욱 효율적으로 창출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전반적으로, 연속적인 수익과 자산의 증대, 그리고 자산 활용성의 향상은 회사가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있으며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 추세는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과가 장기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텔레비전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익 | 5,162) | 5,649) | 5,105) | 4,895) | 5,296) | 4,860) |
자산 | 6,779) | 6,775) | 6,959) | 6,646) | 6,449) | 6,415)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76 | 0.83 | 0.73 | 0.74 | 0.82 | 0.76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수익 ÷ 자산
= 5,162 ÷ 6,779 = 0.76
- 수익(매출)
-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 수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는 최고치인 5,649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2018년에는 5,162백만 달러로 감소세로 전환되어, 일부 일시적인 매출 감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은 시장 또는 내부 운영의 변화에 따른 수익 변동성을 시사한다.
- 자산
- 자산은 2013년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해, 2015년 6,646백만 달러에 정점에 이른 후 2016년 및 2017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다만, 2018년에는 약간의 감소를 보여,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자산 규모가 소폭 축소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자산의 증감은 내부 자본 및 부채 구조 변화, 또는 자산의 매각 또는 재평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해당 비율은 2013년 0.76에서 2015년 0.74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 후,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0.73과 0.83으로 증가하였다. 2018년에는 다시 0.76으로 회복하였다. 이 지표는 자산이 수익 창출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기여하는지 보여주며, 2016년과 2017년의 유의미한 상승은 부문별 자산 활용의 효율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부 하락과 회복을 반복하는 모습은 운영 효율성의 변동성을 보여준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익 | 8,747) | 8,235) | 8,505) | 9,525) | 9,679) | 8,642) |
자산 | 10,646) | 10,312) | 9,579) | 9,105) | 10,419) | 9,411)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82 | 0.80 | 0.89 | 1.05 | 0.93 | 0.9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수익 ÷ 자산
= 8,747 ÷ 10,646 = 0.82
- 수익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수익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4년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후 일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수익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17년과 2018년에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수익은 약간의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큰 폭의 감소나 증가 없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자산
- 자산 규모는 2013년 9411백만 달러에서 2014년 10419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2015년에는 9105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18년에는 10646백만 달러에 달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보유 자산이 다소 변동성을 보여왔으나 전반적으로는 축적되고 있는 경향을 시사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적으로 변화가 크지 않으며,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0.92와 0.93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입니다. 2015년에는 일시적으로 1.05로 상승했으나 이후 다시 2016년에는 0.89, 2017년에는 0.8, 2018년에는 0.82로 약간 낮아진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자산의 효율적 활용이 다소 변동적임을 시사하며, 일정 수준의 전반적 안정성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0.83 | 0.50 | 0.42 | 0.36 | 0.56 | 0.45 |
텔레비전 | 0.81 | 0.64 | 0.64 | 0.67 | 0.86 | 1.11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1.01 | 0.60 | 0.55 | 0.42 | 0.46 | 0.4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이 항목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3년에는 0.45였던 감가상각 비율이 2018년에는 0.83으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해당 부문에서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투자 확장 또는 시설 유지에 더 많은 자본이 배분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텔레비전⸺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이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2013년 1.11에서 2018년 0.81로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2014년 이후 절충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년에 약간 상승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자본 투자 또는 감가상각 정책에 변화가 있었거나, 해당 부문에서 비교적 안정된 자산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이 부문은 2013년 0.48에서 2018년 1.01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줍니다. 특히 2016년 이후 급격한 상승이 나타나며 감가상각 비율이 거의 1에 가까워졌습니다. 이는 생산 또는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자본 지출이 늘어나면서 감가상각 비용이 급증했거나, 감가상각 정책이 조정된 것일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Twenty-First Century Fox Inc.;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293) | 169) | 132) | 106) | 131) | 88) |
감가상각 및 상각 | 351) | 337) | 311) | 294) | 232) | 197)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3 | 0.50 | 0.42 | 0.36 | 0.56 | 0.4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293 ÷ 351 = 0.83
- 자본 지출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3년 88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8년에는 293백만 달러에 달했으며, 특히 2018년은 이전 연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회사가 지속적인 성장 또는 새로운 프로젝트 투자를 위해 적극적인 자본 지출을 시행했음을 시사한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2013년 197백만 달러에서 2018년 35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 데이터는 회사의 자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도 함께 증가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자산 투자와 관련된 비용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회사의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과 얼마나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2013년 0.45에서 2018년 0.83까지 증가는 큰 폭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의 급증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과 비교하여 매우 높아졌음을 의미하며, 회사의 투자 전략이 강한 성장 또는 자산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텔레비전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89) | 73) | 75) | 77) | 90) | 103) |
감가상각 및 상각 | 110) | 114) | 118) | 115) | 105) | 93)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1 | 0.64 | 0.64 | 0.67 | 0.86 | 1.1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89 ÷ 110 = 0.81
- 자본 지출 추세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자본 지출이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변동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103백만 달러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6년에는 75백만 달러까지 하락하였다. 이후 2018년에는 약간 증가하여 8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이 일부 기간 동안 투자 활동을 줄이거나 재무 전략에 따라 자본 지출을 조절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추세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3년 93백만 달러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2015년 115백만 달러에 도달한 후, 이후 약간씩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2018년에는 110백만 달러로, 최고점 이후 소폭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자산 가치 소모와 관련된 회계 처리상 변화 또는 자산 감가상각 정책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대체로 0.64에서 1.11 사이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였다. 2013년에는 1.11로 높았으며, 이후 점차 낮아져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0.67, 0.64로 유지되었다. 이후 다시 2018년에는 0.81로 상승하였다. 이 비율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어느 정도 규모를 유지하는지 측정하는 지표로, 낮은 비율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을 충당하는 데 부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장기 투자 계획과 자산 유지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89) | 48) | 45) | 45) | 61) | 63) |
감가상각 및 상각 | 88) | 80) | 82) | 107) | 133) | 132)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1.01 | 0.60 | 0.55 | 0.42 | 0.46 | 0.4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 2018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89 ÷ 88 = 1.01
- 자본 지출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자본 지출은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특히 2018년에는 89백만 달러로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회사가 장기적인 성장 또는 인프라 투자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이전 해들과 비교했을 때, 자본 지출이 2016년과 2017년에는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8년에 급증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으며, 2014년과 2015년에 약간의 감소세를 보여주다가 2018년에는 다시 88백만 달러로 회복되었다. 이 수치는 회사의 감가상각 정책 또는 투자한 자산의 수명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큰 변화없이 일정한 비용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3년 0.48에서 시작하여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6년 이후 증가세를 나타내어 2018년에는 1.01로 급증하였다. 이 패턴은 자본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동안 감가상각비는 상대적으로 정체되거나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2018년 기준 비율이 1 이상으로 상승한 것은 감가상각 비용보다 자본 지출이 더 빠르게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회사의 인프라 투자와 자산재평가 또는 자산 구매 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할 수 있다.
수익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17,946) | 16,130) | 15,029) | 13,773) | 12,273) | 10,881) |
텔레비전 | 5,162) | 5,649) | 5,105) | 4,895) | 5,296) | 4,860)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8,747) | 8,235) | 8,505) | 9,525) | 9,679) | 8,642)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 —) | —) | —) | 2,112) | 6,030) | 4,439) |
Other, Corporate 및 Eliminations (기타, 기업 및 제거) | (1,455) | (1,514) | (1,313) | (1,318) | (1,411) | (1,147) |
합계 | 30,400) | 28,500) | 27,326) | 28,987) | 31,867) | 27,67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수익 추세
- 전체 수익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14년과 2018년의 수익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2013년에는 약 27,675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8년에는 약 30,400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약 10% 이상의 성장률이 관찰된다.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수익
- 이 부문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3년 10,881백만 달러에서 2018년 17,946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는 해당 영역이 회사의 핵심 수익원 중 하나임을 시사하며, 디지털 전환 및 콘텐츠 수요 증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 텔레비전⸺수익
- 이 부문은 2013년 이후 소폭의 변동성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는 성장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2013년 4,860백만 달러에서 2018년 5,162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일부 해에는 수익이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수익
- 이 부문 수익은 2013년 8,642백만 달러에서 2018년 8,747백만 달러로 큰 변화 없이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여러 해 동안 수익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성장을 보수적으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수익
- 이 부문은 2013년 4,439백만 달러에서 2014년에 급증했으나, 이후 2015년에는 2,112백만 달러로 급락하는 변동성을 나타냈다. 이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추세를 명확히 분석하기 어려우며, 특정 해의 큰 변동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추가적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 기타, 기업 및 제거⸺수익
- 이 영역은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적자폭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018년에는 약 -1,455백만 달러로 기록되었다. 이는 내부 조정이나 재무 구조 조정의 일환일 수 있으며, 수익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총수익
- 총수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양호하다. 이는 회사의 핵심 사업 부문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콘텐츠 및 방송 사업의 핵심 역량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일부 부문의 변동성과 적자 등은 수익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세그먼트 OIBDA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6,173) | 5,601) | 5,145) | 4,648) | 4,407) | 4,177) |
텔레비전 | 362) | 894) | 744) | 718) | 882) | 855)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962) | 1,051) | 1,085) | 1,445) | 1,358) | 1,308)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 —) | —) | —) | 234) | 424) | 397) |
Other, Corporate 및 Eliminations (기타, 기업 및 제거) | (465) | (373) | (377) | (323) | (356) | (476) |
합계 | 7,032) | 7,173) | 6,597) | 6,722) | 6,715) | 6,26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세그먼트 OIBDA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3년 4,177백만 달러에서 2018년 6,173백만 달러로 약 1,996백만 달러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는 해당 세그먼트가 지속적으로 수익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증가 폭이 일정하며, 연평균 성장률도 상당히 견고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 텔레비전 세그먼트 OIBDA
- 이 세그먼트는 2013년 약 855백만 달러에서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882백만 달러와 718백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변동성을 보였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744백만 달러와 894백만 달러로 소폭 회복세를 보였지만, 2018년에는 362백만 달러로 급락하였다. 이러한 하락은 해당 세그먼트의 수익성 약화 또는 일시적 요인에 기인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수익 기여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세그먼트 OIBDA
- 2013년 1,308백만 달러에서 2015년 1,445백만 달러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1,085백만 달러와 1,051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2018년에는 962백만 달러로 다소 회복이 지연되는 모습을 보이나, 전반적으로는 정체 또는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수익성이 안정적이거나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세그먼트 OIBDA
- 이 부문은 2013년 397백만 달러, 2014년 424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2015년 이후 데이터가 누락되어 명확한 추세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후 수치는 제공되지 않아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데 제한이 있다.
- 기타, 기업 및 제거 세그먼트 OIBDA
- 이 항목은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각각 -476백만 달러, -356백만 달러, -323백만 달러, -377백만 달러, -373백만 달러, -465백만 달러로 나타나며, 오히려 적자 규모가 약간 확대되는 경향도 관찰된다. 이는 해당 부문이 수익을 창출하기보다는 비용 또는 손실 통제에 더 치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합계 세그먼트 OIBDA
- 전반적으로 2013년 6,261백만 달러에서 2018년 7,032백만 달러로 성장을 계속하였다. 2014년과 2015년 각각 6,715백만 달러와 6,722백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2016년과 2017년에 잠시 정체 또는 소폭 감소했으나, 2018년에는 전년 대비 소폭 하락(약 141백만 달러)하여 7,032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세그먼트가 긍정적인 성장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일부 부문의 부진이 전체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감가상각 및 상각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351) | 337) | 311) | 294) | 232) | 197) |
텔레비전 | 110) | 114) | 118) | 115) | 105) | 93)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88) | 80) | 82) | 107) | 133) | 132)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 —) | —) | —) | 202) | 657) | 355) |
Other, Corporate 및 Eliminations (기타, 기업 및 제거) | 35) | 22) | 19) | 18) | 15) | 20) |
합계 | 584) | 553) | 530) | 736) | 1,142) | 79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전반적인 추이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여러 부문에서 다양한 변화 양상을 보였다.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부문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13년의 197백만 달러에서 2018년에는 35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는 해당 부문의 자산 가치가 증가하거나, 감가상각 정책 변경 또는 신규 투자가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반면, 텔레비전 부문은 일부 변동은 있으나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2013년 93백만 달러에서 2018년 110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2015년에는 115백만 달러로 정점을 이뤘다가 점차 안정된 흐름을 보였다.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2013년 132백만 달러에서 2015년 107백만 달러로 감소한 후, 2016년에는 82백만 달러로 최저점을 기록하였다. 이후 소폭 회복되어 2018년에는 8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자산의 감가상각 비용이 조정된 결과일 수 있으며, 제작 자산의 수명 또는 투자 집중도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부문은 2014년과 2015년 사이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다. 2013년의 355백만 달러에서 2014년에는 급증하여 657백만 달러에 달했으나, 다음 해인 2015년에는 급격히 202백만 달러로 축소되어 이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이후 추세는 확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모습은 대규모 자산 처분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다.
기타, 기업 및 제거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수준에 있으며, 연평균 점진적 증가를 보여 2013년 20백만 달러에서 2018년에는 35백만 달러로 늘어났다. 이는 기업 구조 조정이나 자산 매각, 통합 비용 등을 반영할 수 있다.
- 전체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변동 분석
-
전체 합계는 2013년 797백만 달러에서 2014년 1,142백만 달러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인 후, 2015년에는 736백만 달러로 다시 감소하였다. 이후 2016년에는 530백만 달러로 하락하였으며,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553백만 달러와 584백만 달러로 소폭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특히 2014년에 일어난 급증이 주요 부문 감가상각 비용의 일시적 대폭 증가 또는 대규모 자산 감가상각 종료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 후,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감가상각 비용이 다소 하락하는 시기를 나타내며, 이후 다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전략적 자산 재평가 또는 신규 투자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
자본 지출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293) | 169) | 132) | 106) | 131) | 88) |
텔레비전 | 89) | 73) | 75) | 77) | 90) | 103)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89) | 48) | 45) | 45) | 61) | 63)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 —) | —) | —) | 95) | 368) | 344) |
Other, Corporate 및 Eliminations (기타, 기업 및 제거) | 80) | 87) | 11) | 101) | 28) | 24) |
합계 | 551) | 377) | 263) | 424) | 678) | 62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전반적인 자본 지출 추세 분석
-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살펴볼 때, 전체 자본 지출은 변동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6년과 2017년 사이에 큰 폭의 하락과 일부 회복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3년과 2014년에 비해 2015년에는 전체 자본 지출이 상당히 감소하였고, 이후 2016년에는 대폭적으로 축소된 후, 2017년에는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2018년에는 다시 상승하며 2014년 수준 이상의 지출로 회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주요 사업 부문별 자본 지출 동향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부문은 전체 지출에 비해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특히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큰 폭의 증액이 있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자본 투자를 확대해 온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텔레비전 부문은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나,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약간씩 감액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2018년에는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부문 역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큰 폭의 변동은 없으나 전체적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왔으며, 2018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투자가 이루어져, 지난 몇 년 간의 하락세를 일부 만회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부문은 2013년과 2014년에 높은 투자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상당히 축소되었으며, 이후 확인할 수 없는 데이터로 인해 2016년 이후의 추세는 명확하지 않다.
기타, 기업 및 제거 부문은 2015년에 큰 폭으로 투자 규모가 증가하였지만, 이후 2016년과 2017년에 다시 축소 또는 축소하는 경향이 보이며, 2018년에는 다시 자본 지출을 늘리고 있다.
- 총 자본 지출의 변화와 시사점
-
총 자본 지출은 2013년 622백만 달러에서 2018년 551백만 달러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2017년 이후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여 전체적인 변동성을 갖고 있다. 특히, 2018년의 지출 증가는 전략적 투자를 재개하려는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가 주요 부문에서 자본 배분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케이블 네트워크 부문의 투자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산
2018. 6. 30. | 2017. 6. 30. | 2016. 6. 30. | 2015. 6. 30. | 2014. 6. 30. | 2013. 6. 30. | |
---|---|---|---|---|---|---|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25,756) | 24,913) | 24,979) | 23,235) | 22,422) | 17,830) |
텔레비전 | 6,779) | 6,775) | 6,959) | 6,646) | 6,449) | 6,415) |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 10,646) | 10,312) | 9,579) | 9,105) | 10,419) | 9,411) |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 —) | —) | —) | —) | 9,144) | 8,636) |
Other, Corporate 및 Eliminations (기타, 기업 및 제거) | 6,538) | 4,822) | 2,985) | 6,536) | 3,500) | 4,948) |
투자 | 4,112) | 3,902) | 3,863) | 4,529) | 2,859) | 3,704) |
합계 | 53,831) | 50,724) | 48,365) | 50,051) | 54,793) | 50,94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 자산 구성과 변동 추이
-
전반적으로, 다양한 자산 항목들이 일정한 증가 또는 변동을 보이고 있어, 특정 분야의 성장이 회사 재무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케이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자산은 2013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부문에서의 지속적인 확장을 나타낸다. 2013년 17,830백만 달러에서 2018년 25,756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관찰된다.
반면, 텔레비전 자산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2013년 6,415백만 달러에서 2018년 6,779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였다. 촬영된 엔터테인먼트 자산은 2013년에는 9,411백만 달러였으나 2015년에는 9,105백만 달러로 잠시 하락 후, 이후 다시 늘어나는 모습이 연출되어, 콘텐츠 제작 분야의 회복과 강화를 보여준다.
직접 방송 위성 텔레비전 자산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데이터만 제공되며,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여 2013년 8,636백만 달러에서 2014년 9,144백만 달러로 상승하였다. 이후 데이터 누락으로 인해 2016년 이후의 추세는 파악이 제한적이다.
기타, 기업 및 제거 항목은 2013년 4,948백만 달러에서 2018년 6,538백만 달러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성장세를 시사한다.
투자 자산 역시 2013년 3,704백만 달러에서 2018년 4,112백만 달러로 증가하여, 회사의 투자 활동이 지속적임을 보여준다.
- 전체 자산의 변화
-
총자산은 2013년 50,944백만 달러에서 2018년 53,831백만 달러로 약 5.7% 증가하였다. 이는, 기업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대체로 확장되고 있으며, 특정 부문의 성장이 총 자산 규모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평균 성장은 주로 콘텐츠 제작과 네트워크 자산의 지속적인 확장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주요 자산 항목들에서의 안정적 또는 증가하는 추세는 회사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반영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자산 확대를 통해 기업의 재무적 기반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