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손익계산서
포괄 소득은 일정 기간 동안 사업체의 자본 (순 자산)이 비 소유자 출처의 거래 및 기타 사건 및 상황으로 인한 변화입니다. 여기에는 소유자의 투자 및 소유자에 대한 분배로 인한 변동을 제외한 일정 기간 동안의 모든 지분 변동이 포함됩니다.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순수입
- 2020년부터 2021년까지 크게 증가하였다가 2022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23년과 2024년에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21년에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여 기업의 매출 흐름이 긍정적인 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2022년에는 다시 하락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매출 성장의 일시적 정체 또는 시장환경 변화 영향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 채무증권 미실현이익(손실)
- 2020년에는 소폭의 이익을 기록하였으나, 2021년에는 급격히 손실로 전환되었고, 이후 2022년에는 손실 규모가 확대되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이익으로 회복되고 있어, 일시적 또는 구조적인 손실 상태에서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금융상품 관련 손익변동이 기업 실적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 외화 환산에 대한 이익(손실)
- 2023년과 2024년 모두 소폭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의 손실은 규모가 크지 않지만, 환율 변동성에 따라 향후에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 현금 흐름 헤지에 대한 미실현 이익(손실)
- 2020년에는 손실을 기록하였으나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이익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데이터가 누락되어 향후 변동은 제한적이지만, 이 항목은 환율 변동에 따른 헤지 전략의 일시적 성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에서는 추가적인 변화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 기타포괄손익(손실), 세무 순이익
- 이 항목 역시 2020년의 소액 이익에서 2021년 대폭 손실로 전환, 2022년에도 손실 상태를 유지하다가 2023년과 2024년에 다시 큰 폭의 이익으로 회복하는 패턴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변동은 주로 포괄손익 항목의 일시적 또는 비경상적 요소들이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 포괄적 소득
- 포괄적 소득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1년과 2024년에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과거 몇 년 간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이는 순이익과 함께 여러 기타포괄손익 항목들의 영향을 통해 기업의 전체적인 재무 성과가 잘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