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4. 12. 31. | 7,003,146) | 2,944,616) | 2,852,054) |
2023. 12. 31. | 5,860,168) | 2,257,249) | 2,087,321) |
2022. 12. 31. | 4,381,310) | 1,527,106) | 1,352,446) |
2021. 12. 31. | 2,948,037) | 924,739) | 840,854) |
2020. 12. 31. | 2,317,512) | 699,684) | 634,557) |
2019. 12. 31. | 2,410,706) | 805,774) | 859,867) |
2018. 12. 31. | 2,151,369) | 273,347) | 328,115) |
2017. 12. 31. | 1,646,186) | 470,272) | 423,201) |
2016. 12. 31. | 1,129,167) | 243,409) | 184,189) |
2015. 12. 31. | 837,591) | 149,308) | 121,102) |
2014. 12. 31. | 584,106) | 125,513) | 86,85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수익
-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수익은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17년 이후부터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하며 연평균 성장률이 높게 유지되고 있다. 2018년 이후에는 연간 수익이 2백억 달러를 넘어 증가폭도 가파르게 확대되었으며, 2024년에는 약 7백억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지속성장은 시장의 강력한 수요와 제품 경쟁력 향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영업이익
-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2016년 이후 급증 후 일부 기간에는 변동이 관찰된다. 2017년 이후부터는 영업이익률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약 1,527,106천 달러와 2,257,249천 달러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도 지속해서 상승하여 상당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효율적 비용 구조와 매출 성장의 결합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순수입
- 순수입은 전체적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4년 86,850천 달러에서 2024년 2,852,054천 달러로 약 33배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2017년부터는 두 배 이상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며, 2020년 이후에는 연속적으로 높은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는 영업이익 증가와 세금, 기타 비용의 효율적 관리, 그리고 기타 비영업 이익 또는 비용의 영향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 재무항목은 강한 성장과 함께 수익성의 강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12. 31. | 11,910,815) | 14,043,921) |
2023. 12. 31. | 8,390,235) | 9,946,806) |
2022. 12. 31. | 5,550,748) | 6,775,410) |
2021. 12. 31. | 4,812,676) | 5,734,429) |
2020. 12. 31. | 3,836,998) | 4,738,919) |
2019. 12. 31. | 3,471,636) | 4,185,290) |
2018. 12. 31. | 2,714,802) | 3,081,983) |
2017. 12. 31. | 2,266,429) | 2,460,860) |
2016. 12. 31. | 1,526,126) | 1,729,007) |
2015. 12. 31. | 974,328) | 1,159,890) |
2014. 12. 31. | 679,479) | 811,02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유동 자산
-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유동 자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초기 679,479천 달러에서 2015년과 2016년에 급증했으며, 이후 연평균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2018년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며, 2024년에는 약 11,910,815천 달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상승은 회사의 유동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단기 유동성 확보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 총 자산
- 총 자산 역시 연속적인 증가를 기록하고 있다. 2014년 약 811,023천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4년에는 약 14,043,921천 달러에 달한다. 2015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2018년 이후 비약적인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회사의 성장성과 산업 내 경쟁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금융리스부채, 비유동 | 주주의 자본 | |
---|---|---|---|---|
2024. 12. 31. | 2,732,222) | 4,049,114) | —) | 9,994,807) |
2023. 12. 31. | 1,909,606) | 2,727,747) | —) | 7,219,059) |
2022. 12. 31. | 1,293,531) | 1,889,590) | —) | 4,885,820) |
2021. 12. 31. | 1,109,829) | 1,755,829) | —) | 3,978,600) |
2020. 12. 31. | 768,243) | 1,418,628) | —) | 3,320,291) |
2019. 12. 31. | 597,074) | 1,290,604) | —) | 2,894,686) |
2018. 12. 31. | 606,504) | 938,594) | 35,431) | 2,143,389) |
2017. 12. 31. | 529,905) | 798,946) | 37,673) | 1,661,914) |
2016. 12. 31. | 459,553) | 621,187) | 39,593) | 1,107,820) |
2015. 12. 31. | 235,011) | 371,738) | 41,210) | 788,152) |
2014. 12. 31. | 144,373) | 255,365) | 42,547) | 555,65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유동부채
- 전체 기간 동안 유동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의 1억 4,437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27억 3,222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연평균 증가율이 상당하며 재무 구조 내에서 유동부채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증가는 기업의 운영 규모 확대 또는 유동성 관리 전략과 관련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총 부채
- 총 부채 역시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2014년 2억 5,536만 달러에서 2024년 40억 4,911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유동부채 외에 비유동 부채와 금융리스 부채의 누락이 나타나는 2020년 이후에는 총 부채 증가율이 더욱 가파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는 기업이 자본 조달이나 채무 구조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재무 전략을 추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금융리스부채, 비유동
- 이 항목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의 데이터만 제공되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2014년 4,2547천 달러에서 2017년 37,673천 달러까지 줄어들었으며, 이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추세의 이후 방향성은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금융리스 부채의 감소는 기업이 금융리스 부채의 상환 또는 금융 리스 계약 구조의 변화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 주주의 자본
- 주주의 자본은 전체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014년 5억 5,565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99억 9,948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매우 높은 편이며, 이는 기업이 내부 유보와 재투자를 통해 자본 규모를 확장해 왔음을 시사한다. 자본의 증가는 기업의 재무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4. 12. 31. | 3,708,235) | (2,457,354) | (421,810) |
2023. 12. 31. | 2,034,014) | (687,454) | (83,749) |
2022. 12. 31. | 492,813) | 216,327) | (654,601) |
2021. 12. 31. | 1,015,856) | (925,562) | (360,882) |
2020. 12. 31. | 735,114) | (608,802) | (346,339) |
2019. 12. 31. | 963,034) | (284,072) | (217,964) |
2018. 12. 31. | 503,119) | (755,113) | 42,851) |
2017. 12. 31. | 631,627) | (392,580) | 51,469) |
2016. 12. 31. | 131,440) | (325,979) | 75,600) |
2015. 12. 31. | 200,533) | 184,170) | 63,105) |
2014. 12. 31. | 131,875) | (249,362) | 243,97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이 항목은 전반적인 현금 창출 능력의 성장과 확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현금 흐름이 크게 증가했고, 이후 2017년까지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며, 2018년 잠시 감소하는 모습이 있었지만 곧 다시 상승하여 2021년에는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이후에는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며, 2024년에는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패턴은 회사의 영업 활동이 안정적이면서도 성장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이 항목은 시대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현금이 유입되었지만 이후 2016년부터 지속적인 인출(투자 비용 지출)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2017년 이후에는 대규모 투자 지출이 지속되어, 2020년과 2024년에는 각각 큰 폭의 인출이 발생하여 회사가 적극적인 설비 확장 또는 연구개발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021년에는 잠시 현금 유입으로 전환되었으나 이후 다시 대규모 인출로 돌아섰습니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이 항목은 회사의 금융 정책과 자본 구조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초기에는 순현금 유입이 있었으며, 특히 2014년과 2015년에 상당한 수준을 기록하였으나,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계속해서 인출(부채 상환, 배당금 지급 등)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신용공여 또는 유상증자보다는 부채를 상환하는 방향으로 더 크게 인출이 진행되었고, 2021년 이후에는 인출 규모가 확대되어 재무구조의 긴축 또는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 등 자본 배분 전략의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2024년에는 대규모 인출로 재무적 유동성 축소 또는 부채 감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12. 31. | 2.27 | 2.23 | 0.00 |
2023. 12. 31. | 1.69 | 1.65 | 0.00 |
2022. 12. 31. | 1.10 | 1.07 | 0.00 |
2021. 12. 31. | 0.69 | 0.66 | 0.00 |
2020. 12. 31. | 0.52 | 0.50 | 0.00 |
2019. 12. 31. | 0.71 | 0.67 | 0.00 |
2018. 12. 31. | 0.28 | 0.26 | 0.00 |
2017. 12. 31. | 0.37 | 0.34 | 0.00 |
2016. 12. 31. | 0.17 | 0.16 | 0.00 |
2015. 12. 31. | 0.11 | 0.11 | 0.00 |
2014. 12. 31. | 0.09 | 0.08 | 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순이익 및 주당순이익의 추세
-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 모두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7년 이후로는 연평균 상승율이 높게 나타나, 소폭의 변동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관찰된다. 2018년에서 2021년까지는 수익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2022년 이후에는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2024년에는 주당순이익이 각각 2.27달러와 2.23달러로 집계되어, 마지막 연도에 강한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 기본과 희석 주당이익 간의 차이
-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 간의 차이는 대부분 크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매우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관되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희석 효과가 수익성 증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 드러난다. 이는 회사의 주식 희석이 크지 않거나, 희석된 주당이익이 회사의 실적 향상과 동조되면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 배당금 정책 및 현황
- 배당금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아 구체적인 배당 지급 정책 또는 배당 증가 여부를 평가할 수 없다. 이는 배당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데이터의 누락으로 인해 분석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배당 정책과 관련된 구체적 정보가 추가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 전반적 평가와 성과
- 전체적으로 보면, 이 회사는 2014년부터 꾸준한 수익성 향상을 이루면서, 2022년부터는 연평균 급속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수익성 지표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2022년 이후에는 주당순이익이 크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어, 수익성 강화와 함께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배당금 관련 정보는 부재하므로, 배당 정책 및 배당수익률에 대한 평가는 별도로 검토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