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Apple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 매출액 | 영업이익(손실) | 순이익(손실) |
---|---|---|---|
2024. 9. 28. | |||
2023. 9. 30. | |||
2022. 9. 24. | |||
2021. 9. 25. | |||
2020. 9. 26. | |||
2019. 9. 28. | |||
2018. 9. 29. | |||
2017. 9. 30. | |||
2016. 9. 24. | |||
2015. 9. 26. | |||
2014. 9. 27. | |||
2013. 9. 28. | |||
2012. 9. 29. | |||
2011. 9. 24. | |||
2010. 9. 25. | |||
2009. 9. 26. | |||
2008. 9. 27. | |||
2007. 9. 29. | |||
2006. 9. 30. | |||
2005. 9. 2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8),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24), 10-K (보고 날짜: 2021-09-25), 10-K (보고 날짜: 2020-09-26), 10-K (보고 날짜: 2019-09-28), 10-K (보고 날짜: 2018-09-29),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24), 10-K (보고 날짜: 2015-09-26), 10-K (보고 날짜: 2014-09-27), 10-K (보고 날짜: 2013-09-28), 10-K (보고 날짜: 2012-09-29), 10-K (보고 날짜: 2011-09-24), 10-K (보고 날짜: 2010-09-25), 10-K (보고 날짜: 2009-09-26), 10-K (보고 날짜: 2008-09-27), 10-K (보고 날짜: 2007-09-29), 10-K (보고 날짜: 2006-09-30), 10-K (보고 날짜: 2005-09-24).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부 보고서 형식의 요약을 제공한다. 단위는 US$ 단위: 백만 달러이며, 각 지표의 기간별 변화를 중심으로 패턴과 변동 요인을 식별한다.
- 순 매출액의 경향
- 2005년 약 13,931에서 시작하여 2011년까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며 108,249에 도달했다. 이 기간 동안 매출 증가가 두드러지며 규모의 경제 효과가 뚜렷해졌다. 2012년 이후에도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연도별 변동폭이 커지며 2015년까지 233,715를 정점으로 한 차례 완만한 조정을 보였다. 2016년 215,639로 소폭 감소한 뒤 2017년 229,234, 2018년 265,595로 회복되었고 2019년에는 260,174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2020년 274,515로 반등했고 2021년에는 365,817로 큰 폭으로 상승한 뒤 2022년 394,328로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 383,285로 소폭 하락했고 2024년 391,035로 재차 상승하며 고수준의 매출 흐름을 유지했다.
- 영업이익의 경향
- 2005년 1,650에서 시작해 2012년 55,241로 급격히 증가하며 초기 기간에 이익률이 크게 개선되었다. 2013년에는 48,999로 소폭 감소했고 2014년(52,503)과 2015년(71,230)에는 다시 상승했다. 2016년(60,024)에는 소폭 하락했으나 2017년(61,344)과 2018년(70,898)에는 회복세를 보였다. 2019년(63,930)과 2020년(66,288)에는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2021년에는 108,949로 급증했고 2022년에도 119,437로 증가했다. 2023년에는 114,301로 소폭 감소했으며 2024년에는 123,216으로 다시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매출 증가와 함께 이익도 큰 폭으로 확대되는 구간이 많았고, 2021-2022년 구간에 가장 큰 상승이 나타났다.
- 순이익의 경향
- 2005년 1,335에서 시작해 2012년 41,733로 대폭 증가하며 초기 이익성 개선이 뚜렷했다. 2013년에는 37,037로 둔화되었고 2014년(39,510)에서 2015년(53,394)으로 다시 상승했다. 2016년 45,687로 소폭 하락한 뒤 2017년(48,351)과 2018년(59,531)에서 상승세를 이어갔고, 2019년(55,256)에는 다소 감소했다. 2020년 57,411로 상승하고 2021년에는 94,680으로 큰 폭으로 증가한 뒤 2022년 99,803으로 이어졌다. 2023년(96,995)과 2024년(93,736)에는 약간의 변동을 보이며 낮은 구간으로 돌아가지만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장기적으로는 매출의 지속적 확대와 함께 이익성 역시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왔으며, 특히 2010년대 중반에서 후반, 그리고 2021년 이후 구간에서 이익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매출이 크게 증가한 기간에도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증가가 동반되었으며, 이익 마진은 대체로 안정적인 범위(대략 20%대 초반에서 30%대 후반 사이)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몇 차례의 연도에서 매출 증가를 이익이 완전히 따라가지 못하거나 반대의 흐름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흐름은 비용 구조의 변화나 규모의 경제 효과가 시점에 따라 달라졌음을 시사한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9. 28. | ||
2023. 9. 30. | ||
2022. 9. 24. | ||
2021. 9. 25. | ||
2020. 9. 26. | ||
2019. 9. 28. | ||
2018. 9. 29. | ||
2017. 9. 30. | ||
2016. 9. 24. | ||
2015. 9. 26. | ||
2014. 9. 27. | ||
2013. 9. 28. | ||
2012. 9. 29. | ||
2011. 9. 24. | ||
2010. 9. 25. | ||
2009. 9. 26. | ||
2008. 9. 27. | ||
2007. 9. 29. | ||
2006. 9. 30. | ||
2005. 9. 2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8),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24), 10-K (보고 날짜: 2021-09-25), 10-K (보고 날짜: 2020-09-26), 10-K (보고 날짜: 2019-09-28), 10-K (보고 날짜: 2018-09-29),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24), 10-K (보고 날짜: 2015-09-26), 10-K (보고 날짜: 2014-09-27), 10-K (보고 날짜: 2013-09-28), 10-K (보고 날짜: 2012-09-29), 10-K (보고 날짜: 2011-09-24), 10-K (보고 날짜: 2010-09-25), 10-K (보고 날짜: 2009-09-26), 10-K (보고 날짜: 2008-09-27), 10-K (보고 날짜: 2007-09-29), 10-K (보고 날짜: 2006-09-30), 10-K (보고 날짜: 2005-09-24).
다음은 주어진 연도별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찰되는 패턴을 내부 보고서 형태로 요약한 내용이다. 두 항목의 흐름에 초점을 맞추어 기간별 변화와 시사점을 제시한다.
- 유동 자산
- 단위: US$ 백만 달러. 해당 항목은 시작 시점인 2005년 10,300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대 중반까지 지속적인 상승 흐름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2005년 10,300 → 2006년 14,509 → 2007년 21,956 → 2008년 34,690 → 2009년 36,265 → 2010년 41,678 → 2011년 44,988 → 2012년 57,653으로 증가하다가 2013년 73,286으로 큰 폭으로 확대되었다. 이후 2014년 68,531로 소폭 감소했고, 2015년 89,378, 2016년 106,869, 2017년 128,645로 다시 큰 폭 상승했다. 2018년 131,339, 2019년 162,819로 정점에 근접했고, 2020년 143,713으로 감소한 뒤 2021년 134,836, 2022년 135,405로 약세를 보이다가 2023년 143,566, 2024년 152,987로 회복했다. 총자산 대비 유동 자산의 비중은 초기 고비용 구조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대 초반에는 약 0.3대 중반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2017년~2018년에는 대략 0.34~0.36 범위를 보이다가 2019년 이후에는 약 0.41 내외로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는 자산 규모의 확대와 함께 유동성 측면의 비중이 축소되었다가 최근 다시 상승 압력을 보이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 총 자산
- 단위: US$ 백만 달러. 총 자산은 2005년 11,551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08년 39,572, 2009년 53,851, 2010년 75,183, 2011년 116,371로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2012년 176,064, 2013년 207,000, 2014년 231,839, 2015년 290,479로 증가 폭이 커졌고, 2016년 321,686, 2017년 375,319로 정점에 도달했다. 이후 2018년 365,725로 소폭 감소했고 2019년 338,516, 2020년 323,888로 연속 하락하며 규모의 정점 이후 완만한 축소 국면이 관찰되었다. 다만 2021년 351,002, 2022년 352,755로 다시 회복했고 2023년 352,583, 2024년 364,980으로 소폭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총 자산은 장기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2018~2020년대 초반에는 하락과 조정이 나타났고 이후 반등하는 흐름이 확인된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주주 자본 | |
---|---|---|---|---|
2024. 9. 28. | ||||
2023. 9. 30. | ||||
2022. 9. 24. | ||||
2021. 9. 25. | ||||
2020. 9. 26. | ||||
2019. 9. 28. | ||||
2018. 9. 29. | ||||
2017. 9. 30. | ||||
2016. 9. 24. | ||||
2015. 9. 26. | ||||
2014. 9. 27. | ||||
2013. 9. 28. | ||||
2012. 9. 29. | ||||
2011. 9. 24. | ||||
2010. 9. 25. | ||||
2009. 9. 26. | ||||
2008. 9. 27. | ||||
2007. 9. 29. | ||||
2006. 9. 30. | ||||
2005. 9. 2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8),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24), 10-K (보고 날짜: 2021-09-25), 10-K (보고 날짜: 2020-09-26), 10-K (보고 날짜: 2019-09-28), 10-K (보고 날짜: 2018-09-29),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24), 10-K (보고 날짜: 2015-09-26), 10-K (보고 날짜: 2014-09-27), 10-K (보고 날짜: 2013-09-28), 10-K (보고 날짜: 2012-09-29), 10-K (보고 날짜: 2011-09-24), 10-K (보고 날짜: 2010-09-25), 10-K (보고 날짜: 2009-09-26), 10-K (보고 날짜: 2008-09-27), 10-K (보고 날짜: 2007-09-29), 10-K (보고 날짜: 2006-09-30), 10-K (보고 날짜: 2005-09-24).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도별 재무 항목의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락 데이터가 있는 부분을 구분하고 각 항목의 경향성과 구간별 변화 포인트를 중립적으로 해석한 내용이다. 단위는 US$ 백만 달러이며, 항목 중 두 개의 “총 부채” 행은 서로 다른 시계열로 해석한다.
- 유동부채
- 연도 초반인 2005년 3,484에서 시작하여 2024년 176,392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초기에는 매년 증가폭이 점진적이었으나 2010년대 중반에 가파른 상승으로 전환되었다. 2014년 63,448에서 2015년 80,610으로 큰 증가를 보였고, 2016년에는 79,006으로 소폭 감소한 뒤 2017년 100,814, 2018년 116,866으로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105,718 및 105,392로 다소 완만해졌으나, 2021년 125,481, 2022년 153,982로 급격히 증가했다. 2023년에는 145,308로 소폭 하락한 뒤 2024년에는 176,392로 다시 상승하며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 총 부채 (시리즈 A)
- 2005년 4,085에서 시작해 2024년 308,030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장기 상승 추세를 보인다. 2010년대 초반에 120,292(2014년), 171,124(2015년)로 큰 폭으로 확대되었고, 2016년 193,437, 2017년 241,272, 2018년 258,578로 증가가 가속되었다. 2019년 248,028로 소폭 감소한 뒤 2020년 258,549로 다시 상승했고, 2021년 287,912, 2022년 302,083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 2023년 290,437로 다소 하락했다가 2024년 308,030으로 재상승했다. 전 기간에 걸쳐 대체로 증가 흐름이 지배적이며, 특정 연도에 짧은 조정이 나타나더라도 연말에는 높은 수준으로 마무리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 총 부채 (시리즈 B)
- 2013년 16,960에서 시작해 2017년 115,680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상승세가 뚜렷하다. 2018년 114,483으로 소폭 감소하였고, 2019년 108,047, 2020년 112,436으로 다소 변동성을 보였다. 이후 2021년 124,719로 다시 상승하였으나 2022년 120,069, 2023년 111,088으로 점진적으로 하락했고, 2024년에는 106,629로 마무리되었다. 이 시리즈는 2013년 이후 큰 상승 흐름을 보였고, 2018년 이후에는 완만한 하강과 변동성을 동반하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 주주 자본
- 2005년 7,466에서 시작해 2017년 134,047까지 빠르게 증가하는 강한 축적 흐름이 나타난 뒤, 2018년 107,147로 급감하며 2019년 90,488, 2020년 65,339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21년 63,090, 2022년 50,672로 하락 폭이 커졌으나 2023년 62,146으로 소폭 반등했고 2024년에는 56,950로 마감되었다. 전 기간 동안 자본은 초기 성장기에 견조한 증가를 보인 뒤, 2017년 이후에는 축적 속도가 크게 둔화되었고, 2018-2022년 사이에는 큰 폭의 하락이 지속되었다가 2023년 재차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창출된(활용된) 현금 | 투자 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창출된(사용된) 현금 |
---|---|---|---|
2024. 9. 28. | |||
2023. 9. 30. | |||
2022. 9. 24. | |||
2021. 9. 25. | |||
2020. 9. 26. | |||
2019. 9. 28. | |||
2018. 9. 29. | |||
2017. 9. 30. | |||
2016. 9. 24. | |||
2015. 9. 26. | |||
2014. 9. 27. | |||
2013. 9. 28. | |||
2012. 9. 29. | |||
2011. 9. 24. | |||
2010. 9. 25. | |||
2009. 9. 26. | |||
2008. 9. 27. | |||
2007. 9. 29. | |||
2006. 9. 30. | |||
2005. 9. 2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8),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24), 10-K (보고 날짜: 2021-09-25), 10-K (보고 날짜: 2020-09-26), 10-K (보고 날짜: 2019-09-28), 10-K (보고 날짜: 2018-09-29),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24), 10-K (보고 날짜: 2015-09-26), 10-K (보고 날짜: 2014-09-27), 10-K (보고 날짜: 2013-09-28), 10-K (보고 날짜: 2012-09-29), 10-K (보고 날짜: 2011-09-24), 10-K (보고 날짜: 2010-09-25), 10-K (보고 날짜: 2009-09-26), 10-K (보고 날짜: 2008-09-27), 10-K (보고 날짜: 2007-09-29), 10-K (보고 날짜: 2006-09-30), 10-K (보고 날짜: 2005-09-24).
다음의 기간에 걸친 현금 흐름 항목은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영업활동으로 창출된 현금, 투자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사용된 현금), 재무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사용된 현금). 단위는 US$ 백만 달러이며, 누락된 값은 보이지 않는다.
- 영업활동으로 창출된(활용된) 현금
- 2005년 2,535에서 시작해 2010년 18,595로 증가하는 등 초기에는 지속적인 증가 흐름이 나타난다. 2011년에는 37,529로 급격히 상승했고, 2012년에는 50,856으로 다시 확대되었다. 2013년~2015년 사이에도 53,666에서 81,266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었으며, 2016년 65,824, 2017년 63,598로 소폭 조정되었다. 2018년 77,434로 재상승한 뒤 2019년 69,391로 감소하였으나, 2020년 80,674, 2021년 104,038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2년에는 122,151로 다시 정점을 찍고, 2023년에는 110,543로 소폭 하락한 뒤 2024년에는 118,254로 회복했다.
- 투자 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사용된 현금)
- 2005년은 -2,556으로 음수로 시작하고, 2006년에는 357로 반전되었다가 2007년 -3,249, 2008년 -8,189, 2009년 -17,434 등으로 지속적으로 음수 규모가 커지는 흐름이 나타난다. 2010년 -13,854, 2011년 -40,419, 2012년 -48,227로 큰 폭의 지출이 이어지고, 2013년 -33,774, 2014년 -22,579로 일부 축소되나 2015년 -56,274로 다시 큰 폭의 지출이 발생한다. 2016년 -45,977, 2017년 -46,446으로 흐름이 유지되다가 2018년 16,066으로 음성에서 양성으로 전환되고, 2019년 45,896로 큰 폭의 현금 창출이 나타난다. 2020년 -4,289, 2021년 -14,545, 2022년 -22,354로 재차 음전되며, 2023년 3,705, 2024년 2,935로 소폭 흑자 또는 흑자 가까운 흐름으로 마무리된다.
- 재무활동으로 창출된(사용된 현금)
- 2005년 543으로 시작해 2006년 324, 2007년 739, 2008년 1,116, 2009년 663, 2010년 1,257, 2011년 1,444로 비교적 작고 양의 흐름을 보이다가 2012년 -1,698로 첫 음수 전환을 보인다. 이어 2013년 -16,379, 2014년 -37,549로 큰 음수 폭이 이어지며, 2015년 -17,716, 2016년 -20,483, 2017년 -17,347로 재차 음수 수준이 유지된다. 2018년 -87,876, 2019년 -90,976으로 대폭 악화되었고, 2020년 -86,820, 2021년 -93,353, 2022년 -110,749, 2023년 -108,488, 2024년 -121,983로 지속적으로 큰 음수 규모가 나타난다.
요약적으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전 기간에 걸쳐 양의 흐름을 유지하며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뚜렷하나, 투자활동은 초기에는 대규모 자본지출 또는 자산투자 영향으로 큰 음수 흐름을 보이다가 2018년 이후에는 흑자 전환 사례도 나타나며 다소 변동성이 커졌다. 재무활동의 현금흐름은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음수로 전환되었고 2018년 이후에는 규모가 크게 악화되어 연간 대규모 자본배분 활동(배당, 자사주 매입, 부채상환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흐름이 강화된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구조적 패턴은 운영현금창출력의 강점을 바탕으로 투자와 자본배분 정책의 외부 조달 영향이 점차 커지는 방향으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9. 28. | |||
2023. 9. 30. | |||
2022. 9. 24. | |||
2021. 9. 25. | |||
2020. 9. 26. | |||
2019. 9. 28. | |||
2018. 9. 29. | |||
2017. 9. 30. | |||
2016. 9. 24. | |||
2015. 9. 26. | |||
2014. 9. 27. | |||
2013. 9. 28. | |||
2012. 9. 29. | |||
2011. 9. 24. | |||
2010. 9. 25. | |||
2009. 9. 26. | |||
2008. 9. 27. | |||
2007. 9. 29. | |||
2006. 9. 30. | |||
2005. 9. 2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8),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24), 10-K (보고 날짜: 2021-09-25), 10-K (보고 날짜: 2020-09-26), 10-K (보고 날짜: 2019-09-28), 10-K (보고 날짜: 2018-09-29),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24), 10-K (보고 날짜: 2015-09-26), 10-K (보고 날짜: 2014-09-27), 10-K (보고 날짜: 2013-09-28), 10-K (보고 날짜: 2012-09-29), 10-K (보고 날짜: 2011-09-24), 10-K (보고 날짜: 2010-09-25), 10-K (보고 날짜: 2009-09-26), 10-K (보고 날짜: 2008-09-27), 10-K (보고 날짜: 2007-09-29), 10-K (보고 날짜: 2006-09-30), 10-K (보고 날짜: 2005-09-24).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주어진 연간 재무지표 데이터의 흐름은 두 주당순이익 지표의 장기적 상승과 일부 해의 변동, 그리고 배당금의 점진적 확대가 함께 나타나는 특징으로 요약된다.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은 0.06에서 시작해 2024년 말에 각각 약 6.11과 6.08로 마감되었고, 배당금은 2012년 이후 매년 증가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로써 수익성의 성장과 현금 배당정책의 점진적 강화가 기간 전반에 걸쳐 함께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 0.06으로 시작하여 2009년까지 소폭 상승했고, 2010년대 초반에 급격한 상승이 나타나 2012년에는 1.60까지 상승했다. 이후 2013년 1.43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2014년 1.62로 회복했고, 2015년에는 2.32로 크게 상승했다. 2016년에는 2.09로 다소 조정되었으나 2017년 2.32로 다시 상승했고 2018년 3.00에 근접했다. 2019년 소폭 하락 후 2020년 3.31로 상승세를 재개했고, 2021년에는 5.67로 큰 폭으로 급증했다. 이후 2022년 6.15, 2023년 6.16으로 정점 부근에서 유지되다가 2024년에는 6.11로 소폭 감소하며 마감되었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2005년 0.06으로 시작해 2012년 1.58에 이르렀다. 2013년에는 1.42로 소폭 하락했으나 2014년 1.61로 회복했고, 2015년 2.31로Again 상승했다. 2016년에는 2.08로 조정되었지만 2017년 2.30, 2018년 2.98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2019년에는 2.97로 약간의 변동을 보였다. 2020년 3.28로 다시 상승했고 2021년 5.61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후 2022년 6.11, 2023년 6.13으로 정점을 형성한 뒤 2024년 6.08로 소폭 하락하며 마무리되었다.
- 주당 배당금
- 해당 항목은 2012년 처음으로 0.1로 기록되었고 이후 매년 증가하는 흐름을 보인다. 2013년 0.41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4년 0.46, 2015년 0.50, 2016년 0.55, 2017년 0.60, 2018년 0.68, 2019년 0.75, 2020년 0.80, 2021년 0.85, 2022년 0.90, 2023년 0.94, 2024년 0.98로 연속적으로 상승했다.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패턴은 2012년 이후 배당정책이 점진적으로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