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yker Corp. MedSurg 및 신경 기술 및 정형 외과 및 척추의 2 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29.43% | 28.93% | 27.19%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28.80% | 26.44% | 32.52%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수익성 및 이익률 분석
-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명시된 수익률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추세 분석이 제한적이었으며, 이후 2019년 이후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2020년에는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의 이익률이 27.19%로 나타났으며, 이후 2021년에는 28.93%로 소폭 증가하였다. 이는 이 부문이 전반적으로 안정적 또는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은 2019년 이후 32.52%에서 2020년 26.44%로 급격히 하락하였으며, 2021년에는 28.8%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해당 부문이 일시적인 어려움 또는 시장 변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후 회복세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두 부문 모두 2020년에 일시적인 이익률 감소를 겪었지만, 2021년에는 두 부문 모두 이익률이 상승하며 안정성을 일부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패턴은 기업이 수익성을 회복하고 개선하는 과정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MedSurg와 신경기술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부문 | 2,807) | 2,414) | 2,304) | —) | —) |
순 매출액 | 9,538) | 8,345) | 8,475) | —) |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29.43% | 28.93% | 27.19%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부문 ÷ 순 매출액
= 100 × 2,807 ÷ 9,538 = 29.43%
- 영업이익 부문
-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기간 동안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 들어서면서 약 2,414백만 달러로 성장하였고, 2021년에는 약 2,807백만 달러로 더욱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개선되고 수익성이 강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순 매출액
- 순 매출액 역시 2019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9년 약 8,345백만 달러에서 2021년에는 약 9,538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시장 수요 또는 판매 활동의 확대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18년 대비 2019년의 매출량 자료는 제공되지 않아 전체적인 매출 성장률을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9년부터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2019년 27.19%에서 2021년에는 29.43%로 약 2.2%포인트 증가하였으며, 이는 수익성 향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익률의 증가는 매출 대비 비용 절감 또는 마진 개선 등 효율성 향상의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정형외과 및 척추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부문 | 2,180) | 1,588) | 2,084) | —) | —) |
순 매출액 | 7,570) | 6,006) | 6,409) | —) |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28.80% | 26.44% | 32.52%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부문 ÷ 순 매출액
= 100 × 2,180 ÷ 7,570 = 28.80%
- 순 매출액
- 2017년 이후 분석 기간 동안 순 매출액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에는 매출이 소폭 감소했으나 2019년 이후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었으며, 2021년에는 2019년보다 높은 수준인 7,570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이는 회사의 수익 창출 능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영업이익 부문
- 영업이익 역시 강한 증가 또는 안정적인 상승을 보여, 2019년 이후 2020년에 소폭 증가하였고, 2021년에는 2,180백만 달러로 회복 및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매출 증가와 함께 비용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7년 이후 변동성을 보여왔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32.52%, 26.44%를 기록하였으며, 2020년에는 이익률이 약간 상승하여 28.8%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성 측면에서 상대적인 안정성과 더불어 일부 변동성을 나타내며, 회사의 수익 구조가 일부 조정되었거나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시적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18.45% | 15.83% | 14.16%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12.01% | 8.78% | 16.64%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MedSurg 및 신경 기술⸺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2017년 이후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으나,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추세를 분석하면, 자산 수익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2020년에는 14.16%였고, 2021년에는 15.83%로 상승하였으며, 2022년 이후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이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지에 대한 확실한 판단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간의 흐름은 개선 방향임을 시사합니다.
- 정형외과 및 척추⸺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역시 2017년 이후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2020년 수치는 16.64%였으며, 이후 2021년에 8.78%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나 2022년 데이터가 없으므로 이 하락이 일시적인 것인지, 아니면 지속적인 하락의 징후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2021년의 수익률 하락은 주목할 만한 변화이며, 추가적인 데이터나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MedSurg와 신경기술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부문 | 2,807) | 2,414) | 2,304) | —) | —) |
자산 | 15,218) | 15,250) | 16,270) | —) |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18.45% | 15.83% | 14.16%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부문 ÷ 자산
= 100 × 2,807 ÷ 15,218 = 18.45%
- 영업이익 부문
- 2020년 이후부터 영업이익 부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의 수치는 명확하게 제공되지 않으나, 2021년에는 2,414백만 달러로서 전년 대비 상승하였으며, 2019년 이후에는 2,807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갱신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시사하며,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 자산
- 2020년 자산 규모는 약 15,250백만 달러였으며, 2021년에는 약 15,218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인 수준은 유지되고 있습니다. 과거 2018년과 2019년 기준 자산 규모는 해당 연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비교는 제한적이나, 2020년 이후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며 자산 규모는 큰 변동 없이 일관성을 보여줍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비율은 2019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0년 14.16%에서 2021년에는 15.83%, 2022년에는 18.45%로서 수익률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자산 대비 수익성이 향상되었음을 암시하며, 자산 활용 효율이 증대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회사는 2020년 이후 영업이익과 자산 수익률에서 개선된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자산 규모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의 영업 활동과 자산 운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정형외과 및 척추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부문 | 2,180) | 1,588) | 2,084) | —) | —) |
자산 | 18,149) | 18,090) | 12,527) | —) |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12.01% | 8.78% | 16.64%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부문 ÷ 자산
= 100 × 2,180 ÷ 18,149 = 12.01%
- 영업이익 부문
-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영업이익이 소폭 증가하여 2020년에는 2,180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는 구체적인 수치가 제공되지 않아 2017년 이후의 일관된 추세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2021년에는 약간의 감소를 보여 1,588백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으로는 영업이익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21년에는 다소 하락한 모습을 보입니다.
- 자산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자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12월 31일 기준 약 12,527백만 달러였던 자산은 2020년 약 18,090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2021년에는 약 18,149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는 회사의 총자산 규모가 확장되었음을 시사하며, 자산 증가가 재무구조 확장에 기여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9년과 2021년 사이에 변동을 보였으며, 2019년 12월 31일 기준 12.01%였던 수익률은 2020년에는 8.78%로 하락하였고, 이후 2021년에는 16.64%로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자산의 수익률이 일정하지 않음을 보여주며, 시장 환경이나 내부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1년에는 수익률이 다시 상승하여 수익성 개선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0.63 | 0.55 | 0.52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0.42 | 0.33 | 0.51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자산 회전율의 추세와 변화
- 2017년과 2018년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으며, 이후 연도들(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자산 회전율에 집중하여 분석할 수 있다. "MedSurg 및 신경 기술"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2019년과 2020년 사이에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2019년에는 0.55였으며, 2020년에는 0.63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회사의 이 세그먼트 자산이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을 시사한다.
- 정형외과 및 척추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 변화
- 이 세그먼트는 2019년 0.51에서 2020년 0.33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21년에는 0.42로 회복된 모습이다. 2020년의 뚜렷한 하락은 특정 기간 동안 자산 운용상의 효율성이 저하되었거나, 시장 조건이나 내부 운영상의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후 2021년에의 반등은 해당 세그먼트의 자산 활용도 향상 또는 일부 개선 조치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MedSurg와 신경기술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9,538) | 8,345) | 8,475) | —) | —) |
자산 | 15,218) | 15,250) | 16,270) | —) |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63 | 0.55 | 0.52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9,538 ÷ 15,218 = 0.63
- 순 매출액
- 2019년 이후에 주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8,345백만 달러와 9,538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오히려 매출이 회복 또는 가속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8년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어 자세한 전년 대비 증감률은 파악하기 어렵지만, 2019년 이후의 상승은 긍정적 신호로 여겨진다.
- 자산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자산 규모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019년 15,250백만 달러에서 2021년 15,218백만 달러로, 약 32백만 달러의 차이로 거의 유지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 변화는 자산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산 규모의 조정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 가능하며, 특정 기간 동안 자산의 증감은 크지 않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재무 비율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9년 0.52에서 2020년 0.55로 늘어난 후 2021년에는 0.63까지 상승하였다. 자산 회전율의 증가는 자산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업이 자산을 통한 매출 창출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1년의 현저한 상승은 내부 운영 효율 또는 매출 대비 자산 활용의 향상이 있었음을 반영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정형외과 및 척추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7,570) | 6,006) | 6,409) | —) | —) |
자산 | 18,149) | 18,090) | 12,527) | —) |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42 | 0.33 | 0.51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7,570 ÷ 18,149 = 0.42
- 순 매출액 동향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연속적으로 매출액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약 16.4%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는 시장 점유율 확대 또는 제품 수요 증가 등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2019년 이전의 데이터가 누락되어 과거 추세와의 비교는 제한적이다.
- 자산 규모 변화
- 2019년 이후 자산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 18,090백만 달러에서 2021년 18,149백만 달러로 미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회사의 자산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자본 투자 또는 기타 자산 증대 활동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 자산 회전율 변화
- 자산 회전율은 2018년 0.51에서 2020년 0.33으로 감소하였다가 2021년에 0.42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자산 활용률이 한동안 낮아졌으나, 2021년에는 다소 회복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낮은 회전율은 자산 효율성 저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내부 효율성 향상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0.38 | 0.39 | 0.58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0.26 | 0.33 | 0.30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자본 지출에 대한 감가상각 비율의 변화
- 2019년 이후 두 부문 모두 감가상각 비율이 관찰되며,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은 0.58에서 0.38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하락은 해당 부문의 자본 지출이 점차적으로 감가상각 비용에 대비하여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0.3에서 0.26으로 감소하는데, 이는 비슷하게 감가상각 관련 지출 또는 연관된 비용이 안정화 또는 절감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전반적인 자본 지출의 양상 및 비용 구조의 변화
-
2017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지만, 2018년 이후부터 두 부문에서 감가상각 비율이 측정되고 있으며, 이는 자본 지출 또는 투자 활동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의 지속적인 하락은 전반적인 비용 구조가 더욱 효율적이거나, 자본적지출이 축소되었거나, 자산의 감가상각 속도가 늦춰졌음을 점쳐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자본 지출 전략이나 자산 운용 방식에 있어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데, 이는 재무 건전성이나 비용 통제와 같은 측면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자본 지출 정책과 감가상각 추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MedSurg와 신경기술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 197) | 192) | 281) | —) | —) |
감가상각 및 상각 | 518) | 496) | 488) | —) |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38 | 0.39 | 0.58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 감가상각 및 상각
= 197 ÷ 518 = 0.38
-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 2019년 이후부터 기업은 부동산, 공장 및 장비에 대한 투자를 점차 축소하는 경향이 드러납니다. 2019년에 281백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192백만 달러와 197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인 안정세 또는 다소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는 설비 투자가 일시적 또는 전략적 재조정에 따른 변화일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488백만 달러, 2020년 496백만 달러, 2021년 518백만 달러로 매년 증가세를 유지하며, 자산 가치 감가상각에 대한 기업의 배려와 자산 노후화, 또는 자산 활용도 증가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기업이 운영 자산에 대해 지속적으로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항목은 재무 비율로 제시된 것으로, 감가상각 비용에 대한 자본 지출 비율을 나타냅니다. 2019년에는 0.58이었으며, 이후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0.39와 0.38으로 유지 또는 소폭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자본 지출의 효율성과 감가상각 비용 대비 투자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의미하며, 자산 투자 활동의 안정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정형외과 및 척추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 165) | 150) | 138) | —) | —) |
감가상각 및 상각 | 629) | 458) | 457) | —) |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26 | 0.33 | 0.30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 2021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 감가상각 및 상각
= 165 ÷ 629 = 0.26
-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 이 항목은 2019년 이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과 2021년 사이에는 각각 138백만 달러와 150백만 달러, 165백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제조 설비 확장 또는 유지 관리를 위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기업이 장기적인 생산 능력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9년 약 457백만 달러, 2020년 458백만 달러, 2021년 629백만 달러로 급증함에 따라, 자산의 감가상각률이 높아지고 있거나 자산 규모가 확대되어 감가상각 비용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의 고도화 또는 신규 설비의 도입과 관련된 비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재무 비율은 2019년 이후 0.3, 0.33, 0.26으로 변동하며, 자본 지출 대비 감가상각 비용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2020년에는 약 33%의 비율로 증가하였으나, 2021년에는 다소 감소한 모습입니다. 이는 투자 대비 감가상각 비용이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회사의 자본 투자 전략이 단기 또는 장기적인 감가상각 비용 부담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합니다.
순 매출액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9,538) | 8,345) | 8,475)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7,570) | 6,006) | 6,409) | —) | —) |
합계 | 17,108) | 14,351) | 14,884)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매출액의 전반적인 증가 추세
- 2019년 이후의 데이터에서, 전체 순 매출액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19년에 14,351백만 달러였던 전체 매출액은 2020년에 약 17,108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2021년에도 비슷한 수준인 17,10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전반적인 매출 성장세를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
- 이 부문은 2019년 이후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 8,345백만 달러에서 2020년 8,345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였고, 2021년에는 9,538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해당 부문의 강점을 기반으로 수익성을 높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
- 이 부문 역시 2019년 기준 6,006백만 달러에서 2020년 6,409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2021년에는 7,570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는 제품 포트폴리오의 강점 또는 시장 수요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전체 매출액에 대한 기여
- 두 부문 모두가 각각의 실적 향상에 힘입어, 전체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데 기여하였다. 특히 2021년에 이르러는 두 부문이 모두 높은 매출 증가를 이뤄내어, 회사의 전체 매출 규모를 견고히 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감가상각 및 상각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518) | 496) | 488)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629) | 458) | 457) | —) | —) |
법인 및 기타 | 125) | 122) | 99) | —) | —) |
합계 | 1,272) | 1,076) | 1,044)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추이
- 2017년 이후 2018년까지 명확한 값이 제공되지 않았으며, 2019년부터 데이터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이후로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에는 518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496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2021년에는 다시 518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제품 포트폴리오 또는 자산 구조의 변동,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각 사업 부문별 감가상각 비용의 변화
-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은 2019년 496백만 달러, 2020년 518백만 달러, 2021년 518백만 달러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은 2019년에 457백만 달러, 2020년에 458백만 달러, 2021년에 629백만 달러로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019년 99백만 달러, 2020년 122백만 달러, 2021년 125백만 달러의 비용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각 부문은 모두 감가상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특히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에서 급격한 상승세가 눈에 띈다.
- 전체 비용의 변화와 잠재적 시사점
- 전체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9년 1044백만 달러에서 2021년 1272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는 기업 전체 자산 가치 또는 자산의 활용도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 비용 증가 추세는 기업이 자산 투자 또는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동시에 향후 수익성이나 현금 흐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업이익 부문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2,807) | 2,414) | 2,304)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2,180) | 1,588) | 2,084) | —) | —) |
합계 | 4,987) | 4,002) | 4,388)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수익성의 전반적인 상승
- 2019년 이후 영업이익 부문의 총합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에는 4,987백만 달러로 이전 연도보다 상승하였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전체 영업이익 부문에서의 성과가 개선되었음을 시사한다.
- 세부 사업 부문별 성과 변화
-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연속적으로 성장하여 2,414백만 달러에서 2,807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반면,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은 2019년 이후 2020년까지 감소하였으나 2021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내어, 일시적인 부침 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상호 부문 간의 성과 차이
- 두 부문 모두 2020년까지는 일부 하락 또는 정체를 겪었으며,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의 성장은 비교적 강한 반면,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은 2019년 최고치를 정점으로 하락하였다가 2021년 다시 개선되었다. 이는 해당 부문들의 시장 또는 제품 포트폴리오 강세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 전반적인 성장 안정성
- 총 영업이익은 지속적인 증대 경향을 보임과 동시에, 2020년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부문에서 긍정적인 성장세가 관찰되며, 전반적인 재무 성과가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일부 부문은 불규칙성을 보여 성장의 일관성은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자산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15,218) | 15,250) | 16,270)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18,149) | 18,090) | 12,527) | —) | —) |
법인 및 기타 | 1,264) | 990) | 1,370) | —) | —) |
합계 | 34,631) | 34,330) | 30,167)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자산의 전반적인 크기와 구조
- 2017년에는 자산 총액이 약 30,167백만 달러였으며, 이후 2018년에는 약 34,330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9년에는 소폭 상승하여 34,63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자산은 점차 확장되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각 부문별 자산 구성의 변화
-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의 자산은 2017년 데이터가 누락되었으나, 2019년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15,218백만 달러와 15,250백만 달러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이 부문이 일정 수준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성장하거나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은 2019년 12,527백만 달러에서 2020년 18,090백만 달러로 급증했으며, 2021년에도 소폭 상승하여 18,14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 부문은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여, 회사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기타 자산 및 총 자산의 추이
- 법인 및 기타 자산은 2019년 990백만 달러에서 2020년 1,264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소폭 감소하여 2021년에는 990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해당 부문의 변동성이 크거나 일시적인 조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전체 자산에서는 매년 꾸준한 증가를 보여, 자산을 늘리고 있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매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
---|---|---|---|---|---|
MedSurg 및 신경 기술 | 197) | 192) | 281) | —) | —) |
정형외과 및 척추 | 165) | 150) | 138) | —) | —) |
법인 및 기타 | 163) | 145) | 230) | —) | —) |
합계 | 525) | 487) | 649)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 제조 및 설비 투자 관련 부동산, 공장, 및 장비 구입액 추세
-
2017년 이후 해당 항목들의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어, 구체적인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데이터를 통해 추세를 분석할 수 있다.
2020년에는 총 649백만 달러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2021년에는 487백만 달러로 약 25% 정도 감소하였다. 2020년 대비 2021년의 투자액이 줄어든 것으로 보아, 투자 강도가 강했던 2020년 이후로 일정 수준의 절감 또는 현상 유지로 전환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이 부동산, 공장 및 장비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거나 조정하는 전략을 취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특 정 부문에서의 투자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분위기를 보여준다.
- 부문별 투자 액수 및 변동 전망
-
세 가지 주요 부문별 투자액을 분석하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대부분의 항목들이 증가 또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정형외과 및 척추 부문은 138백만 달러에서 165백만 달러로 증가세를 유지하며, 시장 확장이나 신제품 개발 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준다.
MedSurg 및 신경 기술 부문은 192백만 달러(2020년) 이후 구체적인 데이터는 없지만, 이와 유사하게 지속적 또는 증가하는 투자 효과가 기대된다.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30백만 달러에서 145백만 달러, 163백만 달러로 변화하며 일부 기간에는 다소의 변동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안정된 투자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합계는 2019년까지 상승 후, 2020년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후 2021년에는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나, 기업이 전체적인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과정에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