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의 구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수익성 지표의 변화와 추세
- 연도별 매출 원가 비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이는 높은 원가 부담을 시사한다. 특히 2020년에 약간 증가한 후 2022년과 2023년에는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제품에 대한 소비세 역시 매년 비율이 줄어들면서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반면, 매출 총이익률은 2019년 이래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며, 개선된 수익성의 징후를 보여준다. 영업이익률 또한 2020년 이후 안정적이며, 2022년과 2023년에 거의 47%에 근접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수익성 강화를 시사한다. 이러한 흐름은 전반적으로 수익 구조의 개선을 반영한다.
- 경상 비용과 이자 비용 동향
- 판매 및 관리 비용률은 2023년에 다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비용 압박 또는 투자 확대를 의미할 수 있다. 이자 비용 및 부채 관련 비용은 전년 대비 일정 수준 내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자 및 기타 부채 비용이 수익 대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은 부채 부담이 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자소득은 2023년에 증대되면서 재무 구조의 수익성과 현금흐름 개선에 일부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 기타 손익 항목의 영향
- 지분증권 투자로 인한 손익은 2020년 큰 폭의 손실 이후 2023년에는 다시 플러스로 전환되며 변동성이 크다. JUUL 지분증권 손상과 크로나 금융 상품 손실은 2020년과 2021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나, 이후 개선된 모습이 나타난다. 서비스 비용을 제외한 순 정기 복리후생 수입은 연도별로 일부 변화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코멘트 수준이다. 이러한 항목들은 회사의 투자 및 금융 활동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 세금, 순이익 및 배당
- 소득세 차감 전 소득률은 2021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수익성 향상에 기여한다. 소득세 혜택은 2023년에 상당히 늘어나며, 이는 세금 부문 정책 또는 세무 전략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순이익률은 2019년 마이너스에서 2020년 이후 안정적 반등을 보이며 2023년에는 33%에 달하는 강한 실적을 보여준다. 이는 전체적인 경영 성과가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비지배지분에 기인한 순손실은 2019년과 2020년에 나타났으며, 이후 기록이 없거나 ,로 표기되어 있어 정확한 평가가 제한적이다. 알트리아에 귀속된 순이익은 지속적인 높아지는 추세를 보여, 수익성 강화와 주주 가치 확대의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