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 유동자산 구성의 변화와 안정성
- 유동자산은 전체 자산의 약 30%에서 36% 사이의 비율을 유지하며, 2022년 이후 약간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유동자산의 비중이 소폭 상승하여 단기 유동성 측면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 비율의 변동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체 자산의 약 7% 내외를 유지하며, 2018년 이후 점차 소폭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현금 보유 비중을 다소 늘린 것으로 보인다.
- 미수금 및 충당금 관련 항목의 비중과 추세
- 미수금과 충당금은 전체 자산 대비 각각 5~7% 범위 내에서 변동하며, 2022년과 2023년에는 충당금 비중이 약간 감소하는 동시에 미수금의 비중이 다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신용기간 및 회수 가능성에 일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장기 자산 비중과 유형별 변화
- 장기 자산, 특히 유무형자산 및 금융채권 등 비유동 자산은 전체 자산의 약 65~70%를 차지하며, 대체로 안정적인 준수성을 유지한다. 유형자산은 10% 내외로 온전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무형자산은 점점 비중이 낮아지고 있어 자산 구조의 유연성을 의미한다.
- 이연법인세 자산 및 선불연금의 증감
- 이연법인세 자산 비중은 2018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에는 약 4% 수준이다. 한편, 선불연금은 1.5% 내외에서 변동하며, 중장기적 비용처리와 관련된 항목임을 시사한다.
- 기타 자산 항목의 변화 및 비유동 자산 구성
- 장기 자금 조달 채권과 기타 자산의 비중은 17~20% 내에서 다소 변화하며, 전체적으로 비유동 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회사의 자산 구조는 안정적임을 보여준다. 특히, 2023년의 경우 약 67%의 비중을 유지하며 견고한 비유동 자산 구조를 나타낸다.
- 지분 투자와 친선 자산의 상대적 비중
- 지분에 대한 투자와 친선은 각각 전체 자산의 약 3.8%에서 4.3%, 30%에서 35% 사이의 비율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회사의 수익성과 자본적 기반을 보여준다.
- 무형 자산과 기타 자산의 구조적 변화
- 무형 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2018년 1.42%에서 2023년 1.14%까지 축소되었으며, 회사의 무형 자산 가치는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타 항목은 비교적 소폭 변동하며 전체 자산 내 비중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전반적인 자산 구조의 안정성과 균형
- 전체적으로 비유동 자산이 자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구조는 회사가 장기적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유동자산과의 균형을 맞추어 유동성 및 자본 관리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변화 추세는 지속적인 자산의 구조적 조정을 반영하며,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평가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