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수익 | 영업이익(손실) | HPE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3. 10. 31. | 29,135) | 2,089) | 2,025) |
2022. 10. 31. | 28,496) | 782) | 868) |
2021. 10. 31. | 27,784) | 1,132) | 3,427) |
2020. 10. 31. | 26,982) | (329) | (322) |
2019. 10. 31. | 29,135) | 1,274) | 1,049) |
2018. 10. 31. | 30,852) | 1,858) | 1,908) |
2017. 10. 31. | 28,871) | 625) | 344) |
2016. 10. 31. | 50,123) | 4,150) | 3,161) |
2015. 10. 31. | 52,107) | 1,523) | 2,46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 수익성 지표의 전반적인 추세와 변동성
- 분석 기간 동안 순수익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주며, 2015년 이후 여러 차례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2017년과 2019년에는 중대한 하락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2017년에는 28,871백만 달러로 급감하였다. 이후 2018년과 2019년 사이에 다소 반등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20년 이후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2023년에는 29,135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이는 회사의 수익이 일정한 성장세를 보이기보다 여러 외부 및 내부 요인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특성을 내포한다.
- 영업이익률 및 수익성 변동
- 영업이익은 2015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간 내에서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4,150백만 달러와 625백만 달러로 증가한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각각 1,858백만 달러와 1,27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0년에는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329백만 달러를 기록하여 회사의 영업수익성이 일시적으로 악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2021년부터는 회복세를 보이며 다시 흑자 전환하는 양상이며, 2023년에는 2,089백만 달러로 전반적인 수익성을 회복하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 순이익(손실)의 추이와 회사 수익기여도
- HPE에 귀속되는 순이익 역시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양상을 띄며, 일부 연도에는 큰 폭의 이익 증대와 손실 폭이 관찰된다. 2015년에는 2,461백만 달러에 달하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3,161백만 달러와 344백만 달러로 변동하였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049백만 달러와 -322백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수익성의 일시적 침체를 시사한다. 그러나 2021년부터 다시 회복하여 2022년에는 868백만 달러, 2023년에는 2,025백만 달러의 이익으로 수익성 측면에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3. 10. 31. | 18,948) | 57,153) |
2022. 10. 31. | 20,506) | 57,123) |
2021. 10. 31. | 18,878) | 57,699) |
2020. 10. 31. | 16,556) | 54,015) |
2019. 10. 31. | 15,143) | 51,803) |
2018. 10. 31. | 17,272) | 55,493) |
2017. 10. 31. | 21,444) | 61,406) |
2016. 10. 31. | 28,917) | 79,679) |
2015. 10. 31. | 31,173) | 81,27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 유동 자산의 추이와 의미
-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유동 자산은 지속적인 변동을 보여 왔으며, 2015년 31,173백만 달러에서 2023년 18,948백만 달러로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17년 이후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는 일시적 하락이 뚜렷하며, 이후 2020년 이후 다시 소폭 회복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단기 유동성을 관리하는 전략적 조정 또는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 유동성 조정을 반영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유동 자산이 감소하는 양상은 회사의 유동성 확보에 있어서 일부 압박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 총 자산의 변동과 재무 구조의 변화
- 총 자산은 2015년 81,270백만 달러에서 2023년 57,153백만 달러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7년 이후 빠른 하락을 보인 후 2018년과 2019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회복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다시 일부 축소되어 왔으며, 재무 구조의 안정성이나 자산 운영 전략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자산 규모의 축소는 자산 또는 사업 부문에서의 매각, 구조조정 또는 투자 축소와 같은 전략적 결정의 결과일 수 있다. 전체적 관점에서는 강한 성장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인위적인 축소 또는 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HPE 주주 총 지분 | |
---|---|---|---|
2023. 10. 31. | 21,882) | 12,355) | 21,182) |
2022. 10. 31. | 23,174) | 12,465) | 19,864) |
2021. 10. 31. | 20,687) | 13,448) | 19,971) |
2020. 10. 31. | 18,738) | 15,941) | 16,049) |
2019. 10. 31. | 19,159) | 13,820) | 17,098) |
2018. 10. 31. | 17,198) | 12,141) | 21,239) |
2017. 10. 31. | 18,924) | 14,032) | 23,466) |
2016. 10. 31. | 22,531) | 16,140) | 31,448) |
2015. 10. 31. | 22,151) | 15,794) | 33,53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 유동부채
- 2015년 이후로 유동부채는 지속적인 증감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약 22,151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8년까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시기에는 17,198백만 달러까지 낮아졌다. 이후 2019년 약 19,159백만 달러로 다소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다시 소폭 하락했으나 2021년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에는 23,174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2023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21,882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유동부채는 전체 기간 동안 일정한 등락을 반복하며, 특히 2022년 이후에는 증가하는 흐름이 나타난다.
- 총 부채
- 총 부채는 2015년 약 15,794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소폭 상승한 뒤 2018년과 2019년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2017년 이후 감소세가 두드러지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2,141백만 달러와 13,820백만 달러로 낮아졌다. 이후 2020년 잠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1년에는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2년에는 12,465백만 달러로 낮아졌다가 2023년에는 거의 유지되거나 약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총 부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2022년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는 양상이다.
- HPE 주주 총 지분
- 주주 총 지분은 2015년 33,535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2016년과 2017년에도 감소가 계속되었으며, 2017년에는 23,466백만 달러로 낮아졌다. 이후 2018년과 2019년,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9년에는 17,098백만 달러까지 떨어졌다. 이후 2021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19,971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2년에도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2023년에는 약간 증가하여 21,182백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주주 지분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승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3. 10. 31. | 4,428) | (3,284) | (1,362) |
2022. 10. 31. | 4,593) | (2,087) | (1,796) |
2021. 10. 31. | 5,871) | (2,796) | (3,364) |
2020. 10. 31. | 2,240) | (2,578) | 883) |
2019. 10. 31. | 3,997) | (3,457) | (1,548) |
2018. 10. 31. | 2,964) | (2,071) | (5,592) |
2017. 10. 31. | 889) | (4,907) | 610) |
2016. 10. 31. | 4,958) | 419) | (2,232) |
2015. 10. 31. | 3,661) | (5,413) | 9,27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순현금 제공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특히 2017년에는 889백만 달러로 최저점을 기록했으며, 이후 2018년과 2021년에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2022년과 2023년에는 다소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영업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주고 있어, 전체적으로 영업 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이 회사의 재무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이 항목은 2015년 큰 금액인 -5413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전체 기간 동안 대부분 부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업계 특성상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성장 또는 유지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16년 이후로는 변동이 크지 않으며, 2020년과 2023년에는 각각 -3284백만 달러, -2071백만 달러로 비교적 저감된 투자 수준을 보여준다. 이는 투자활동의 현금 흐름이 최근에 다소 완화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이 항목은 2015년에 강한 현금 유입이 관찰되었으며, 이후 전반적으로 변동이 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6년 이후 급격한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발생했고,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5592백만 달러, -1548백만 달러로 상당한 규모의 유출을 나타냈다. 이후 2020년 이후에는 유입이 지속되다가, 2022년과 2023년에도 다시 유출이 나타나는 등 재무 전략의 변화 또는 자본 재조정 활동이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재무활동은 안정적 현금 흐름을 보여주기보다 조정 또는 재무구조 개편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3. 10. 31. | 1.56 | 1.54 | 0.48 |
2022. 10. 31. | 0.67 | 0.66 | 0.48 |
2021. 10. 31. | 2.62 | 2.58 | 0.48 |
2020. 10. 31. | -0.25 | -0.25 | 0.36 |
2019. 10. 31. | 0.78 | 0.77 | 0.46 |
2018. 10. 31. | 1.25 | 1.23 | 0.49 |
2017. 10. 31. | 0.21 | 0.21 | 0.26 |
2016. 10. 31. | 1.84 | 1.82 | 0.22 |
2015. 10. 31. | 1.36 | 1.34 | 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기본 주당순이익
-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17년에는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었으며, 2020년에는 적자를 기록하여 손실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1년 이후로는 회복세를 보이며 다시 플러스로 전환되었으며, 2022년에는 상당한 증가를 이루어 2021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3년에는 하락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지만, 여전히 2021년 수준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볼 때, 기업의 이익은 일시적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실적의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기본 주당순이익과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며, 변화 양상 역시 거의 동일합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안정되었으나, 2017년 이후 하락세를 겪으며 2020년에는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이후 2021년부터 다시 플러스로 돌아오면서 강한 반등을 보여주었고, 2022년에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유지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나,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인 실적 회복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희석 후 지표인 만큼, 주당순이익의 희석 영향이 적거나 보합하며, 실적 개선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주당 배당금
- 배당금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지급되고 있으며, 2017년에 0.26달러로 상승 후 2018년에는 0.49달러로 두 배 가까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후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0.36~0.48달러 범위 내에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며, 2022년과 2023년에도 동일한 수준인 0.48달러를 지속적으로 지급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기업이 배당 정책에 있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또는 분배 정책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2020년 이후 배당금을 유지하거나 소폭 증대시킨 것은 기업의 재무 상태가 안정적임을 뒷받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