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4-04-30), 10-Q (보고 날짜: 2024-01-31), 10-K (보고 날짜: 2023-10-31), 10-Q (보고 날짜: 2023-07-31), 10-Q (보고 날짜: 2023-04-30), 10-Q (보고 날짜: 2023-01-31), 10-K (보고 날짜: 2022-10-31), 10-Q (보고 날짜: 2022-07-31), 10-Q (보고 날짜: 2022-04-30), 10-Q (보고 날짜: 2022-01-31), 10-K (보고 날짜: 2021-10-31), 10-Q (보고 날짜: 2021-07-31), 10-Q (보고 날짜: 2021-04-30), 10-Q (보고 날짜: 2021-01-31), 10-K (보고 날짜: 2020-10-31), 10-Q (보고 날짜: 2020-07-31), 10-Q (보고 날짜: 2020-04-30), 10-Q (보고 날짜: 2020-01-31), 10-K (보고 날짜: 2019-10-31), 10-Q (보고 날짜: 2019-07-31), 10-Q (보고 날짜: 2019-04-30), 10-Q (보고 날짜: 2019-01-31),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Q (보고 날짜: 2018-07-31), 10-Q (보고 날짜: 2018-04-30), 10-Q (보고 날짜: 2018-01-31).
- 전반적인 유동성 동향
- 총 자산 대비 유동자산의 비중은 대체로 안정적이며, 2018년 초 33.27%에서 2020년 말까지 28% 내외로 변화하다가 2021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2년 후반기와 2023년 초에 34% 이상으로 상승하는 모습이 관찰되며, 이는 유동자산 비중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비중 변동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비율이 2018년 초 12.45%에서 2020년 말까지는 낮은 수준(약 6~9%)로 유지되었으나, 이후 2021년과 2022년을 거치며 점차 비중이 확대되어 2024년 초 7.47%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현금 보유 정책이 강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매출채권 및 충당금의 동향
- 미수금 및 충당금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 내외로 비교적 안정적이다. 그러나 2021년과 2022년 중에 약간씩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시장 또는 거래처의 채권회수 위험이 일시적으로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일부 기간에 충당금이 다소 증가하는 모습을 통해 충당금 적립 강화 움직임이 관찰된다.
- 자산 구성의 변화와 재무구조의 안정성
- 장기자산(유형 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약 10%로 꾸준히 유지되는 가운데,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비율이 다소 변화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비유동자산은 66% 내외에서 변동하며, 특히 2020년 이후 67~70%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재무 구조의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 무형자산 및 지분 투자 현황
- 무형 자산의 비중은 1%대 후반으로 보다 미미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비중 변화는 크지 않다. 지분에 대한 투자는 전체 자산 비중이 4% 내외로 안정적이며, 시장 및 투자 전략에 큰 변화가 없음을 보여준다.
- 기타 유동성과 비유동 자산의 비중 변화
- 기타 유동 자산은 2018년 약 6%에서 2023년 4월까지 5.5~6.6%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다. 비유동자산은 약 66~70% 범위 내에서 유지되며, 대체로 안정된 자산 구조를 반영한다. 다만 2020년의 비중 변화는 글로벌 팬데믹 영향으로 일부 재무구조 조정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 종합적 평가
- 전반적으로, 해당 기간동안 유동성 확보와 재무 안정성을 위한 자산 배분 전략이 유지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유동자산과 현금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는 위기 대응력 강화와 자금 유동성 확보 차원의 조치로 볼 수 있다. 또한, 비유동자산과 유동자산 간의 비율은 유지되며, 재무 구조에 큰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분석은 회사가 단기 유동성 확보와 함께 안정적인 자산 운용 방침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