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분기별 데이터
손익 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회사의 사업 활동의 재무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손익 계산서는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했는지, 그리고 해당 수익 창출과 관련하여 어떤 비용이 발생했는지 알려줍니다.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 수익성과 매출의 변동 추세
-
장기적으로 살펴볼 때 전체 매출은 2018년 초반부터 2023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1년 마지막 분기 이후로 매출이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2022년과 2023년에 걸쳐 강한 회복세를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및 카지노 산업의 회복 또는 성장에 따른 영향을 시사한다.
반면, 영업이익은 2018년에는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과 2021년 일부 분기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거나 적자를 기록하였다. 특히 2020년 여러 분기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2022년에는 일부 분기 다시 영업이익이 회복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경기 변동성 또는 외부 요인에 따른 일시적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영업비용과 손실 요인
-
주요 비용 항목인 매출원가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특히 2020년 이후 일부 분기에서 큰 폭의 변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비용의 증가는 영업손실의 확대와 직결되며, 특히 2020년 12월 분기에는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영업손실은 여러 요인에 의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2020년 각 분기에 손실 규모가 컸던 반면, 2022년 이후에는 손실 규모가 축소 또는 흑자 전환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또한 감가상각비와 같은 비용 항목도 꾸준히 발생하며, 이는 자산 활용과 관련된 비용을 나타낸다.
- 순이익과 주요 변동 원인
-
순이익은 전반적으로 2018년과 2019년에는 긍정적이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2020년에는 특정 분기 무역, 영업 또는 기타비용 증가로 인해 큰 손실이 나타났다. 2021년에도 일부 분기 적자가 이어졌으며, 2022년 이후에는 흑자 전환 또는 개선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22년 4분기와 2023년에는 강한 수익성을 확보하였다.
영업외 항목 중 이자 비용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며, 기타 수입과 비용도 변동성을 동반한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비영업적 손실이 순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함께 중단 사업의 이익 또는 손실 항목도 일시적 영향을 주었다.
- 기타 재무 지표와 투자/자본 구조
-
자산 관련 비용이나 감가상각 비용은 일정 수준에서 지속되고 있으며, 부동산 임차권의 감가상각도 유사한 추세를 보인다. 부채 관련 비용도 상당히 높게 유지되며, 이는 투자 및 자본 조달 활동에 따른 이자 비용 비용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다.
중단된 사업에서 발생한 손익은 일부 분기 눈에 띄며, 의미있는 수익 또는 손실 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항목들은 주로 영업다변화 전략이나 자산 매각 또는 구조조정과 연관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