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 자산
분기별 데이터
대차대조표는 채권자, 투자자 및 분석가에게 회사의 자원(자산)과 자본 출처(자본 및 부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회사 자산의 미래 수익 능력에 대한 정보와 미수금 및 재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금 흐름에 대한 표시를 제공합니다.
자산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회사가 통제하고 미래의 경제적 이익이 기업으로 흘러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자원입니다.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 단기 유동성의 강화와 현금 보유량 증가
- 2019년부터 2020년 초까지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특히 2020년 6월과 12월에 각각 큰 폭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0년 6월 이후에는 3,500백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현금 보유가 증가하였으며,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 유동성 확보와 유동성 전략의 강화에 기인할 수 있으며, 회사의 지불 능력과 단기 금융 유연성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지속적 증대
- 2020년 이후 유동자산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4년 3월 기준 약 6,343백만 달러에 달하였습니다. 재고 역시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판매 확대 또는 시장 점유율 증대와 관련 있을 수 있습니다. 비유동자산은 2019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4년 3월에는 약 7,989백만 달러로 집계되어, 투자 및 자산의 장기적 증가를 보여줍니다. 특히, 감가상각이 반영된 자산과 무형자산이 꾸준히 증가하여, 시설 또는 기술 자산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감가상각과 무형자산 변화
- 자산 항목 중 감가상각이 차감된 무형자산과 유형자산은 모두 증감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무형자산은 하락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이는 정기적인 감가상각 또는 투자 포커스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무형자산의 감소가 장기적인 기술투자 감출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자산 구조의 변화는 회사의 자본 투자의 방향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단기 부채 및 유동부채의 영향 가능성
- 단기 채무 또는 유동 부채에 대한 구체적 자료는 없으나, 유동자산의 지속적 증가와 함께 충당금이 조정된 미수금은 큰 폭으로 변동하지 않으며, 재고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단기 채무 이행에 대한 충당이 안정적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반적인 채무 구성의 안정성을 시사합니다. 다만, 재무 구조의 세부 내용은 추가 자료 필요.
- 총 자산 증가와 산업 내 경쟁력 반영
- 2020년 이후로 총 자산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4년 3월에는 14,34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이 성장하거나 M&A, 설비 투자, 연구개발 등 전략적 확대를 실행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정적 자산 증가는 장기적 경쟁력 확보와 재무 건전성 강화 정도를 보여줍니다.
- 종합적 평가
- 전체적으로, 현금 보유량의 증가와 유동자산의 증대는 단기 유동성 확보와 재무 유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자산 규모의 지속적 확대는 장기적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자산 감가상각과 무형자산의 변화는 회사의 투자 방향과 기술·특허권 등 지식재산권 자산의 변화 경향을 반영하며, 지속적인 자산 증가와 안정세를 나타내는 점은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지지합니다. 향후에는 부채구조와 유동성 비율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재무 지표들은 기업의 성장세와 금융 안정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