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손익계산서
포괄 소득은 일정 기간 동안 사업체의 자본 (순 자산)이 비 소유자 출처의 거래 및 기타 사건 및 상황으로 인한 변화입니다. 여기에는 소유자의 투자 및 소유자에 대한 분배로 인한 변동을 제외한 일정 기간 동안의 모든 지분 변동이 포함됩니다.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순이익 및 포괄이익의 추세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비지배지분에 배당하기 전의 순이익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 왔으며, 2019년 1500백만 달러에서 2023년 2340백만 달러로 약 56%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수익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반영하며, 2023년에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포괄적 수입 역시 유사한 증가 추세를 보여 2019년 1403백만 달러에서 2023년 2322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회사의 전반적인 재무 성과가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기타 손익 항목들의 변화와 변동성
- 외화 환산 조정 등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은 2019년에는 104백만 달러의 손실이 있었으나, 2020년에 급증한 후 2021년에는 다시 손실 폭이 확대되었으며, 2022년 이후에는 일부 회복 또는 적자를 기록하는 등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2023년에는 외화 환산 조정이 없거나 별도로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복리후생 제도와 기타포괄손익 역시 연도별로 변동이 있으며, 특히 기타포괄손익은 지속적으로 손실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전반적인 재무 구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파생상품 관련 손익의 변동 흐름
- 헤지 목적의 파생상품 미실현 이익과 손실은 재무제표상 큰 폭의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2020년에는 현금흐름 헤지에 대한 미실현 손실이 커졌으며, 순투자헤지에 대해서는 2019년 손실(58백만 달러)이 2021년 이후 꾸준히 플러스(42백만 달러, 36백만 달러)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환율 및 시장 환경의 변동에 따라 헤지 정책의 성과와 관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기타 재무 지표의 안정성과 성장
- 전체적인 재무 지표들은 위에서 언급한 주요 항목들과 함께 성장과 변화의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순이익과 포괄이익이 꾸준하게 증가하는 가운데, 기타 포괄 손익 등 일부 항목은 일정 수준의 손실 또는 변동성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가 여러 재무 전략과 포트폴리오를 통해 성장 궤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반영하며, 향후 잠재적 위험 요인과 기회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