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제공되는 Etsy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Q (보고 날짜: 2017-09-30), 10-Q (보고 날짜: 2017-06-30), 10-Q (보고 날짜: 2017-03-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p>분석 기간 동안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총 자산 대비 비중이 전반적으로 변동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2017년 초에는 약 36.7%였으며, 2018년 하반기에는 40%대를 유지하다가 2019년 이후에는 일부 조정을 거쳐 2022년에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2년 3분기에는 매우 낮은 17.69%로 급감했으며, 이후 다시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의 유동성 확보 전략 또는 운전 자본 운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p>
- 단기 투자
- <p>단기 투자는 총 자산 대비 비중이 2017년 이후 상당 부분 축소되고 있으며, 2018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10% 내외의 안정된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2022년에는 10.25%로 소폭 증대되었습니다. 이는 회사가 단기 유동성 또는 수익성을 위해 시행한 투자 전략이 일부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p>
- 미수금, 예상 신용 손실 순
- <p>이 항목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자산 내 비중이 매우 낮고 안정적인 경향을 보입니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대부분 0.5% 내외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2019년 이후에는 0.55% 이하의 수치를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등 신용 손실 위험이 제한적임을 시사합니다. 이는 채권 회수와 신용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한 결과로 해석됩니다.</p>
- 선불 및 기타 유동 자산
- <p>이 항목은 변동폭이 크지 않지만, 2017년 이후 점진적 소폭 감소 또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3.82%로 기록되어 약간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회사의 차입금 또는 선불 지급과 관련된 유동성 관리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집니다.</p>
- 미수금 및 판매자 계정
- <p>이 항목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유동 자산 내 비중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2019년 이후에는 일부 극적인 변화 없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17년과 2018년 초에는 최대 7.87%를 기록하지만, 이후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판매 활동의 규모와 결제 조건 조정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p>
- 유동 자산
- <p>전반적으로 유동 자산의 비중은 2017년 후반부터 2022년까지 변동이 크면서도 대체로 높은 수준(70% 이상)을 유지했습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75.82%와 81.78%까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 기업의 유동성 확보와 재무 유연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반면, 2022년에는 일부 축소 추세도 관찰됩니다.</p>
- 자산 및 장비, 누적 감가상각 및 상각액의 순
- <p>이 항목은 자산 구조에서 비중이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17년 23.96%에서 2022년 10.2%로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자본적 지출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더욱 가파른 감소세를 보여, 유형자산의 축소 또는 재무 전략의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p>
- 친선
- <p>이 항목은 회사 내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았던 시기가 있었으나, 2017년 이후 상당히 축소되어, 2022년에는 5.55%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부터는 하락세가 두드러지며, 이는 무형자산 또는 고객 관계와 관련된 자산이 감소했거나 기업 구조조정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p>
- 무형 자산, 누적 상각액의 순
- <p>무형자산의 비중은 201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2년에는 21.1%에 달하는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이는 지적 재산권, 브랜드 가치 또는 기타 무형자산의 확대와 관련된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상각이 진행됨에 따라 일부 감가상각액도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p>
- 이연법인세 자산
- <p>이 연도별로 변동이 크며 2020년 이후에는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냅니다. 특히 2021년 이후에는 2%대 후반에서 4%까지 상승하는 모습이 관찰되며, 이는 세무상 이점 또는 미래 세금 감액 예상 등을 고려한 자산으로 볼 수 있습니다.</p>
- 장기 투자
- <p>이 부문은 2018년부터 점차 비중이 축소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최근에는 1% 내외의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간헐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장기적인 보유 투자 또는 전략적 자산 배분에 따른 변화일 것으로 해석됩니다.</p>
- 기타 자산
- <p>기타 자산은 전체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며, 일부 연도에는 치우침이 존재합니다. 2021년 이후에는 약 1% 내외의 비중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비핵심 자산 또는 소규모 부수 자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p>
- 비유동자산
- <p>비유동자산은 전체 자산 중 약 20% ~ 40%를 차지하며, 2017년에는 33.07%였으나 2022년에는 63.4%까지 증가하는 등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 증가폭이 뚜렷하며, 이는 장기 자산에 대한 투자 확대 또는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증가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됩니다.</p>
- 총 자산
- <p>구체적인 수치는 주어지지 않았으나, 전체 데이터를 통해 볼 때 자산 구성이 유동성과 비유동성 간에 지속적인 조정을 거치며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확보와 자산 포트폴리오 최적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며, 2020년 이후에는 비유동 자산 비중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입니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