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5-12-26), 10-K (보고 날짜: 2014-12-27), 10-K (보고 날짜: 2013-12-28), 10-K (보고 날짜: 2012-12-29), 10-K (보고 날짜: 2011-12-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11년 이후 꾸준히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2012년과 2013년에는 다소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이후 2014년과 2015년에는 소폭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현금 보유 정책에 일부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 미수금 및 어음, 순
- 해당 항목의 비중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5년에는 4.67%로 전년 대비 상승하였다. 이는 매출 채권 회수율이나 신용 거래 확대와 관련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 재고
- 재고의 비중은 2012년 이후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며, 2015년에는 2.84%로 감소하였다. 재고 관리 효율성을 개선하거나 재고 회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 미수소득세
- 이 항목 역시 전반적으로 낮은 비중을 유지하며 2012년 이후 낮은 수준을 지속하다가, 2013년 소폭 상승 후 축소되어 2015년에는 0.51%를 기록하였다. 기업의 세무 정책 변화 또는 이연 소득세 관련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 이연 소득세
-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5년에는 매우 낮은 수준(0.51%)을 유지하였다. 이는 이연 소득세 자산 또는 부채의 실현 가능성 및 세무 전략 변화와 관련 있을 수 있다.
- 유동 자산
-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은 2011년 26.27%에서 2014년까지 낮아졌다가 2015년 다시 20.9%로 회복하는 모습이다. 이는 유동성 확보 전략의 조정 또는 단기 유동성 필요성 변화와 관련될 수 있다.
- 재산, 식물 및 장비, 그물
- 이 항목의 비중은 2011년 45.76%로 높았으며, 2013년 이후에는 50%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53.9%, 51.88%로 정점을 찍고 다소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며, 유형자산 투자 증가와 자산 구조 변화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 무형 자산, 순 자산
- 이 항목은 2011년 3.38%에서 2012년에 7.66%로 급증하였으며, 이후 2013년까지 유지되다가 2014년 소폭 감소하여 3.81%로 낮아졌다. 이는 무형자산 투자나 자산 재평가와 관련될 수 있다.
- 기타 자산
- 전반적으로 안정된 비중(약 5.4%~6.7%)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2년과 2013년에는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사업 운영상 다양한 비유동 자산의 조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비유동자산
- 대부분의 기간 동안 78% 이상을 차지하며, 2013년 이후 그 비중이 80% 내외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이는 장기적인 투자와 자산 보유 정책이 주요한 자산 구조임을 반영한다.
- 총 자산
- 이상의 항목들을 반영하여, 총 자산의 구조는 비유동 자산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동시에 유동 자산의 비중은 다소 변화하였으나,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