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 자산 구성의 변화와 포트폴리오 전략
-
전체 자산에서 현금 및 유사 자산은 2020년 3월 이후 점차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여 2020년 6월 이후부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반기 이후 다시 점차 상승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는 유동성 확보 후 재투자 또는 자금관리 전략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단기 투자 비중은 2020년 6월 이후 급격히 축소되어 거의 무시할 만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데, 이는 단기 금융 상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었음을 시사한다. 반면, 장기 자산 비중은 일관되게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대체로 78% 내외를 기록, 안정적이고 집중적인 장기 자산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유형 자산 및 무형 자산의 변화
- 재무구조상 재산 및 장비 (물리적 유형자산)의 비중은 약 3.25%~3.85% 범위 내에서 변동하며 비교적 안정적이다. 반면, 무형 자산(지적재산권 등)의 비중은 2020년 대폭 상승하여 약 55%를 기록했고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2024년 이후에는 약 42~43% 내외로 재조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는 무형 자산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가 계속되었음을 시사하며, 이후 내부 및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재조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영업 및 유동성 지표
-
미수금, 순 재무상태에서 2020년 이후 지속된 증가 추세가 관찰되어, 매출채권 또는 유동성 위험이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2년 이후 8% 수준으로 안정화되었으며, 2025년까지 소폭 증가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재고 비중은 약 2.02%~3.62% 사이에서 변동하며, 최근에는 다소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재고 운용 측면에서 효율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신호일 수 있다.
- 기타 자산 및 명목상 상승세
-
선불 비용 및 기타 자산의 비중은 202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데, 2024년 6월 이후에는 다소 정체하는 모습을 보여 주요 비용 또는 선불 비용 관리에 대한 전략 변화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기타 자산 역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현금 흐름의 유연성 확보 또는 장기적 미래 투자 준비 차원으로 해석 가능하다.
- 요약
- 전반적으로 자산이 안정적으로 운용되면서, 현금유동성은 변동적인 추세를 보이지만 대체로 낮은 수준을 maintained하며, 무형 자산과 장기 자산의 비중이 높아 경쟁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재무적 유연성을 다지고 있다. 일부 유동성 관련 지표와 재고 비중은 민감한 관리를 필요로 하며, 기업의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이 전략적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