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이 항목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20년 3월에는 전체 자산의 12.23%를 차지했으나, 2025년 6월에는 11.77%로 낮아졌습니다. 이후 2025년 6월까지 약간의 변동을 거치지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는 유동성을 적절히 유지하면서도 현금 보유 비중이 축소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유가증권
- 이 항목 역시 전체 자산에서 점차 비중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2020년 초에는 1.94%였던 것이, 2025년까지 1.06%로 감소하는 모습입니다. 일부 기간에 일시적 증가가 있었지만, 대체로 축소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자산 포트폴리오의 변화 또는 단기 유동성 확보 전략의 변화일 수 있습니다.
- 미수금
- 미수금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2020년에는 6.41%였던 것이, 2025년에는 12.06%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매출 채권의 증가 또는 고객 미수금에 대한 부실 가능성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업의 신용 정책 또는 채권 회수 관련 리스크 변화에 대한 잠재적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재고
- 재고 비중 역시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2020년 2.19%에서 2025년 2.89%로 증가하였으며, 일부 기간에는 근소한 변화나 정체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는 제품 생산 또는 판매 전략의 변화, 재고관리 정책의 조정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유동자산
- 이 항목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냅니다. 2020년 1.86%에서 2025년 5.77%로 상승하며, 이는 기업의 유동성 확보 또는 다양한 유동성 관련 자산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유동성 확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재조정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유동자산 총 비중
- 유동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초 24.64%에서 2024년 말 35.09%까지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전반적인 유동성 포지션 강화 또는 단기 유동성 유지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3년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유동자산 비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75.36%에서 2024년 12월 기준 64.91%로 하락했고, 이에 따라 회사의 자산 구조가 유동성 강화 또는 단기 자산 확보 쪽으로 기울어졌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자산 운용 전략의 전환 또는 자산의 유연성을 높이려는 방침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기타 비유동자산
- 이 항목은 비교적 안정적인 비중을 유지하면서 소폭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이는 비유동 자산의 구성 변화 또는 일부 주요 무형자산의 가치 변동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이연 소득세
- 이연 소득세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0.47%였던 것이, 2025년에는 4.91%로 상승하여 세무상 자산 또는 부채 항목의 변화를 시사합니다. 이는 세금 정책 또는 기업의 세무 전략 변화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