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gate-Palmolive Co. 는 6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북미; 라틴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태평양; 아프리카/유라시아; 및 Pet Nutrition.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Colgate-Palmolive Co.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반려동물 영양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북아메리카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의 이익률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 30.97%에서 2022년 19.94%로 감소하였습니다. 2018년 이후로 지속적인 감소세가 관찰되며, 이는 매출 원가, 운영비용 또는 기타 비용 증가와 관련된 경쟁 또는 시장 환경의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라틴 아메리카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의 이익률은 다소 안정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8년 27.6%에서 2022년 27.83%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2019년과 2020년 사이에 일시적 소폭 감소와 증가가 있으나 전반적인 흐름은 안정적입니다. 이는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유럽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의 이익률은 2018년 25.34%에서 2022년 20.17%로 점차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약 5.2%p의 감소가 나타나, 유럽 시장에서의 수익성 압박이나 경쟁 심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과거 몇 년간 변동성은 적었으나, 최근의 감소는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 아시아 태평양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시장의 이익률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2018년 28.42%에서 2022년 26.08%로 약간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021년 이후 소폭 하락한 모습이 관찰되며, 시장 특성이나 경쟁 환경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비교적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아프리카/유라시아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은 2018년 17.89%에서 2022년 21.07%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2020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해당 지역에서의 수익성 개선 또는 비용 구조의 효율화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반려동물 영양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의 이익률은 2018년 28.48%에서 2022년 22.89%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냅니다. 2020년 이후 급격한 하락이 두드러지며, 이는 시장 경쟁 심화 또는 비용 상승 요인에 대응하는 결과일 수 있습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약간의 도전이 예상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북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 이후 전반적으로 상당히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2021년부터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037백만 달러와 982백만 달러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2020년에도 988백만 달러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2021년에는 754백만 달러로 급감했고, 2022년에는 거의 비슷한 수준인 761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순 매출액
- 년도별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에는 3,348백만 달러였으며, 2019년에는 3,424백만 달러로 약간 상승하였다. 2020년에는 3,741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1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3,694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2년에는 3,816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매출액은 긍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30.97%를 정점으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2019년에는 28.68%, 2020년에는 26.41%로 감소했으며, 이후 2021년에는 20.41%, 2022년에는 19.94%로 낮아지고 있다. 이익률의 하락은 매출액 성장에도 불구하고 이익률 압박이 심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라틴 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995백만 달러에서 2022년 1,108백만 달러로 약 11.5% 증가하였다. 2019년과 비교했을 때 2019년의 영업이익이 약간 하락했으나,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이다. 이는 영업 활동의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순 매출액
- 순 매출액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며, 2018년 3,605백만 달러에서 2022년 3,982백만 달러로 성장을 보였다. 2019년과 2020년 간에 약간의 하락(2019년 3,606백만 달러, 2020년 3,418백만 달러)이 관찰되었으나, 2021년과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시장 내 판매 활동이 회복 또는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부문 이익률은 2018년 27.6%에서 2022년 27.83%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연도별 변동도 크지 않으며, 2019년의 26.71%, 2020년의 28.53%, 2021년의 27.63%를 거쳐 2022년에는 27.83%로 소폭 상승하였다.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의 일관성을 보여주며, 수익률이 크고 작은 변동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유럽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변동성을 보이며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634백만 달러였으며,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624백만 달러와 652백만 달러로 약간의 증감을 반복하다가, 2021년에는 682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나, 2022년에는 다시 514백만 달러로 하락하여 전반적으론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순 매출액
- 2020년까지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2019년 2450백만 달러에서 2020년 2747백만 달러로 도약하였으나, 2021년 다시 소폭 상승한 후 2022년에는 2548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매출액 상승은 잠시 동안 지속되었으나, 2022년에는 하락 전환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비교적 안정된 수준에서 변동하였으며, 2019년 약 25.47%까지 높아졌다가 2020년에는 23.73%로 잠시 하락하였고, 2021년에는 다시 24.01%로 어느 정도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2022년에는 20.17%로 유의하게 하락하여, 수익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감지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아시아 태평양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 이후 2021년까지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21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약 737백만 달러로, 이전 연도의 최고치보다 다소 하락한 수치를 기록하였으나, 여전히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순 매출액
- 순 매출액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소폭의 증감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021년 이후 2022년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전체적으로는 2700백만 달러 내외의 수치를 유지하며 매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는 안정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22년에는 급격하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28.42%에서 2021년 29.44%까지 상승하였으나, 2022년에는 26.08%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수익성에 대한 일부 압박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원가 구조 또는 영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향일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아프리카/유라시아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의 추세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8년에는 173백만 달러였던 영업이익이 2019년과 2020년 각각 187백만 달러, 206백만 달러로 꾸준히 상승했으며, 이후 2021년에 203백만 달러로 일시적인 소폭 감소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다시 228백만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매출 증대와 함께 수익성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순 매출액의 추세
- 순 매출액은 2018년의 967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1082백만 달러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줍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에서 2019년, 2019년에서 2020년 모두 미소의 성장을 기록했고, 2021년에는 1045백만 달러로 잠시 정체 또는 소폭 정체(큰 증가/감소 없음)를 보인 후,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202개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전반적으로 회사의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17.89%에서 2019년 19.06%, 2020년 21%, 2021년 19.43%, 2022년 21.07%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특히 2020년에는 21%로 상향되었으며, 2021년에는 소폭 하락했으나 다시 2022년에는 21%를 회복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이익률의 증가는 매출 증가와 더불어 비용 관리 또는 수익성 제고 전략의 성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전반적인 분석
-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볼 때, 해당 기간 동안 회사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냈으며, 이익률 역시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수익성 향상과 효율적인 비용관리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성과는 시장 변화와 기업의 전략적 운영에 따라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현 추세라면 안정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펫뉴트리션(주)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주며, 2018년 680백만 달러에서 2021년 901백만 달러까지 상승한 후 2022년 850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영업이익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였음을 시사하지만, 2022년에 일부 감소한 것은 시장 환경이나 비용 구조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순 매출액
- 2018년 약 2,388백만 달러에서 2022년 3,713백만 달러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시장 점유율이나 제품 포트폴리오의 강화를 기반으로 한 성장 전략이 성공적임을 암시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약 28.48%에서 27.21%로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22.89%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이 수치는 매출액이 증가하는 동안 이익률은 서서히 낮아졌음을 나타내며, 비용 증가 또는 수익성 압박 요인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특히 2022년의 큰 하락은 비용 구조의 변화, 경쟁 심화, 또는 기타 외부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반려동물 영양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대체로 여러 세그먼트에서 자산 수익률이 안정적이거나 소폭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북아메리카 세그먼트는 2018년 31.33%에서 점차 하락하여 2021년 18.58%까지 떨어졌으며, 2022년에 다시 약간 상승하여 18.97%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북아메리카 시장의 수익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라틴 아메리카 세그먼트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2018년 44.72%, 2019년 40.39%, 2020년 43.31%, 2021년 42.72%, 2022년 42.57%로 나타났다. 이 세그먼트의 수익률은 안정적이며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큰 변동이 없다.
유럽 세그먼트의 자산 수익률은 2018년 21.99%에서 2019년 급감하여 12.23%를 기록했으며, 이후 2020년 12.11%, 2021년 15.39%, 2022년 14.87%로 다소 회복 또는 정체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유럽 시장의 수익성과 관련된 변동성을 나타낸다.
아시아 태평양 세그먼트는 2018년 36.17%, 2019년 34.76%, 2020년 34.02%로 안정적인 수치를 유지하다가, 2021년 39.06%로 일시적 상승을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35.35%로 다소 하락하였다. 전반적으로 아시아 태평양은 안정적이면서도 일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세그먼트는 2018년 34.46%에서 점차 하락하여 2020년 34.05%, 2021년 33.89%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22년에는 32.85%로 조금 더 낮아지는 추세이다. 이는 해당 지역의 수익률이 다소 하락하는 방향성을 나타낸다.
반려동물 영양 세그먼트는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2018년 65.83%, 2019년 59.83%로 높았으며, 2020년 65.54%, 2021년 67.14%로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급락하여 30.31%로 떨어졌으며, 이는 큰 변동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 또는 구조적 요인에 따른 일시적 또는 장기적 영향을 시사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북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식별 가능한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영업이익이 소폭 증가하거나 안정된 모습을 보였지만, 2021년에는 754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으며, 2022년에는 약간 회복하여 76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음. 전체적으로는 전반적인 수익성의 축소 추세는 아니지만 2021년의 일시적 감소가 눈에 띔.
- 식별 가능한 자산
- 이 항목은 꾸준한 증가 양상을 보여왔다. 2018년 3310백만 달러였던 자산은 2019년 3576백만 달러로 늘었으며, 2020년에는 4132백만 달러로 계속 증가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4058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2년에는 4012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하였다. 전체적으로는 2018년 이후 자산이 성장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2020년 이후 증가세의 완화 또는 약간의 조정이 나타남.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익률은 연도별로 하락과 일부 회복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임. 2018년 31.33%에서 2019년 27.46%로 하락하였으며, 2020년에는 23.91%로 더 낮아졌다. 2021년에는 다시 18.58%로 떨어졌지만, 2022년에는 18.97%로 소폭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패턴은 일부 수익성 저하와 그 후 일부 회복을 의미하며, 전반적으로는 2018년 이후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경향을 보여줌.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라틴 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식별 가능한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추세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에는 995백만 달러였으며, 점차 상승하여 2022년에는 1108백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는 회사가 수익성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소폭의 증가가 관찰되며, 글로벌 시장 여건이나 내부 비용 구조의 효율화가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2018년 2225백만 달러에서 2022년 2603백만 달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자산 증가는 회사의 규모 확장이나 투자 확대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2019년 이후 자산이 상승하는 추세는 적극적인 자산 투자 또는 신규 사업 진출의 징후일 수 있다. 이러한 증가는 운영 능력과 시장 지위 강화에 기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익률은 44.72%에서 42.57%로 전체적으로 다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높은 수익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9년 이후 약간의 하락은 수익률이 다소 안정세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내지만, 이 수준에서의 유지 또는 미묘한 변동은 자산 활용의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수익률의 유지와 함께, 자산 규모의 증가는 회사가 자산 활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운영을 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유럽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식별 가능한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영업이익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였으나, 2022년에는 514백만 달러로 하락하여 이전 연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시장 환경 또는 비용 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수익성의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변동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해당 자산 규모는 2018년의 2,883백만 달러에서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5,104백만 달러 및 5,386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2021년에는 4,432백만 달러로 일부 축소되었고, 2022년에는 3,457백만 달러로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산 축소는 자산 매각 또는 감가상각 등의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자산 포트폴리오의 조정 또는 자산의 가치 하락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8년 21.99%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2.23%, 12.11%로 크게 하락하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15.39%, 2022년에는 14.87%로 점차 회복 또는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산 수익률의 이러한 변동은 자산의 수익성 또는 효율성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전반적인 수익성 유지 또는 개선 노력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아시아 태평양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식별 가능한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영업이익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21년에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가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업이익은 2021년 단기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이후 약 8.4%의 감소가 관찰된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성의 일시적 변동 또는 비용 구조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자산 규모는 2018년 이후 2020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2161백만 달러와 2085백만 달러로 다소 축소되었다. 이는 자산의 수평적 성장 또는 축소를 반영하며, 시장 또는 운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자산 운용 전략 변경일 가능성이 있다. 특히 2020년 이후 축소된 것은 자산 매각 또는 감가상각의 영향일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익률은 회사의 자산 대비 수익성을 나타내며, 2018년 36.17%에서 2019년 34.76%, 2020년 34.02%로 서서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1년에는 급등하여 39.06%를 기록했으며, 이후 2022년에는 35.35%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률이 회사의 자산 활용 효율성 변화, 특히 최근 몇 년간 일부 회복 또는 일시적 향상 이후 다시 하락하는 추세를 반영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아프리카/유라시아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식별 가능한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영업이익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의 173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228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일부 해에는 다소 정체 또는 소폭 감소하는 모습도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 이르러 최고치를 기록하며, 수익성의 견고함을 보여줍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해당 항목은 2018년 502백만 달러에서 2022년 694백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자산 기반이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자산 규모가 커짐에 따라 재무 구조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증감이 일정하며, 자산 증가는 회사의 영업 활동 및 자본 투자 확대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익률은 2018년 34.46%에서 2022년 32.85%로 소폭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연평균 수익률은 다소 변화했지만,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약간의 조정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산 증가와 연계된 수익률의 변동을 반영하며, 회사의 수익성과 자산 활용 효율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일부 해 동안 약간의 하락이 관찰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펫뉴트리션(주)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식별 가능한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이 기간 동안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680백만 달러에서 2021년에는 901백만 달러에 이르렀으며, 2022년에는 약간 하락하여 850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강세를 유지하며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노력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다만, 2022년에는 약간의 감소가 나타나며, 시장 환경 또는 비용 구조의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식별 가능한 자산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2018년 1033백만 달러에서 2022년 2804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이 자산 규모를 확대하거나, 자산 재평가, 신규 자산의 취득 또는 기존 자산의 재산절차를 통해 자산 가치를 높인 결과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 증가는 영업 기반의 확장 또는 제품 포트폴리오의 성장과 연관될 수 있으며, 기업의 성장 동력을 보여줍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8년 65.83%에서 2019년 59.83%로 하락하였다가 2020년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020년에는 65.54%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2021년에는 67.14%에 도달하였고, 이후 2022년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여 30.31%로 내려갔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자산 이용 효율성에 일시적인 개선 또는 악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2022년에는 특히 자산 수익률이 크게 하락하여 자산 활용이 저하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 환경의 변화, 비용 증가, 또는 자산의 효율성 저하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반려동물 영양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세그먼트 별 자산 회전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각 지역 및 사업 부문에서 자산 회전율의 변동이 관찰됩니다.
북아메리카 세그먼트에서는 2018년 1.01에서 2019년 0.96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이후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0.91로 유지되다가 2022년에는 0.95로 약간 상승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는 자산 활용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거나 미묘한 변동을 겪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라틴 아메리카 세그먼트는 2018년 1.62에서 2019년 1.51로 감소한 후, 이후 2020년(1.52), 2021년(1.55), 2022년(1.53)까지 약간의 변동 폭 내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산 회전율이 비교적 일관된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유럽 세그먼트에서는 2018년 0.87에서 2019년 0.48로 급감한 이후, 2020년 0.51, 2021년 0.64, 2022년 0.74로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전년 대비 상당한 상승을 보여, 유럽 시장에서 자산 활용도가 향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세그먼트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2018년 1.27, 2019년 1.26로 거의 동일했고, 2020년 1.19 우로 약간 낮아졌으며, 이후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1.33, 1.36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자산 활용 효율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세그먼트에서는 2018년 1.93에서 2019년 1.66으로 하락 후, 2020년 1.62, 2021년 1.74, 2022년 1.56으로 다시 변동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는 2018년보다 낮은 수준에서 안정적 혹은 소폭 상승하는 추세가 관찰됩니다. 다만, 최근 몇 년간 변동폭이 크지 않은 점은 세그먼트별 효율성이 일정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반려동물 영양 부문은 2018년 2.31에서 2019년 2.15로 감소 후, 2020년 2.38로 소폭 상승, 2021년 2.47로 상향 조정되었으나, 2022년에는 1.32로 크게 하락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는 특수 사업 부문의 자산 활용도에 큰 변동이 있으며, 2022년에는 일시적인 요인 또는 변화로 인한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북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식별 가능한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0년에는 약 3,741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약간의 감소와 회복을 보여주었으며, 2022년에는 3,816백만 달러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품 수요의 견고함과 시장 점유율의 유지 또는 확대를 시사한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이 항목 역시 2018년 3,310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4,132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소폭 감소 또는 정체하는 모습을 보이나, 2022년의 값인 4,012백만 달러는 여전히 2018년보다 높아 회사의 자산 규모가 상당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자산 투자와 자본 배분이 일정 수준 지속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 1.01에서 2019년 0.96으로 하락했으며,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0.91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에는 0.95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 활용 효율이 2018~2019년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다시 일부 개선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는 낮은 수준이 지속되고 있어 자산 투입 대비 매출 창출 효율이 안정적이지 않거나 개선이 필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라틴 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식별 가능한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2018년과 2019년에는 큰 변화 없이 약 36억 달러선에서 유지되었으며, 2020년에는 일시적 감소를 보여 34억 달러로 하락하였으나, 2021년 이후 다시 매출이 회복되어 2022년에는 약 39억 8천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러한 추세는 시장 내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반영하거나, 회사의 제품 포트폴리오 또는 마케팅 전략의 성공적인 조정을 통해 매출이 성장하는 방향으로 움직였음을 시사한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자산 규모는 2018년 2225백만 달러에서 2022년 2603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2019년에는 2384백만 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했으며, 2020년과 2021년에 일부 조정을 거쳐 2251백만 달러와 2369백만 달러를 각각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자산 증가는 회사의 운영 또는 투자 확대를 반영할 수 있으며, 특히 2022년에는 지속적인 자산 증가가 관찰된다. 이는 기업이 적극적인 투자 또는 자산 확보를 통해 사업 확장 또는 경쟁력 강화를 추진했음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 1.62에서 2019년 1.51로 낮아졌으나, 이후 2020년부터는 1.52, 1.55, 1.53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자산의 효율적 활용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이후 회전율이 1.5를 중심으로 변동하는 모습은 기업의 자산 활용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볼 때, 자산 운용에 있어서 큰 변동이나 급격한 효율성 저하는 관찰되지 않는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유럽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식별 가능한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1년까지는 전반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 2,502백만 달러에서 2021년 2,84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약 2,548백만 달러로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일시적 또는 구조적 매출 하락이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이는 전반적인 매출 성장세에 균열이 생긴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이 항목은 2018년 2,883백만 달러에서 2019년 5,104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인 증감이 관찰된다. 2020년에는 5,386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21년에는 4,432백만 달러로 감소하였고, 2022년에는 3,457백만 달러로 더 하락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자산 규모가 2018년 이후 일부 축소되었음을 나타내며, 자산 규모 축소 또는 재무 구조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 0.87에서 2019년 0.48로 급감한 후 2020년 0.51, 2021년 0.64로 점차 회복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2022년에는 0.74까지 상승하여, 자산이 매출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19년의 낮은 회전율은 자산 활용의 비효율 또는 시장 환경의 변화 등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후의 회복은 운영 효율성의 개선 또는 전략적 조정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아시아 태평양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식별 가능한 자산
= ÷ =
- 순 매출액 분석
-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2019년과 2020년 각각 27억 1천만 달러와 27억 1천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2021년에는 약 28억 7천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나, 2022년에는 다시 다소 하락하여 28억 2천 6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는 일정한 수준에서 변동하는 경향을 보여주며,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 시기를 감안할 때 매출이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나타낸다.
- 식별 가능한 자산 분석
-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2148백만 달러에서 2272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2161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2년에는 2085백만 달러로 계속 감소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자산 규모가 일부 축소되는 경향을 시사하며, 자산 대부분이 지속적인 유지 또는 조정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분석
- 이 비율은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1.27과 1.26으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20년에는 1.19로 일시적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상승하여 1.33을 기록하였고, 2022년에는 더욱 증가하여 1.36에 이르렀다. 이는 자산이 점진적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2021년 이후에 자산 회전율이 상승한 것은 기업이 자산 운용 효율성을 개선하는 노력을 보여준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아프리카/유라시아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식별 가능한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평균 증가율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에는 매출액이 2021년의 1,045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1,082백만 달러로 약간의 상승을 기록하여, 안정적인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매출 증가는 시장 확장 또는 제품 라인업 강화에 따른 결과일 수 있으며, 기업의 매출 기반이 견고하게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2018년 이후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2018년 502백만 달러에서 2022년 694백만 달러로 약 38% 정도 증가하였습니다. 이 증가율은 기업의 자산 규모가 확장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운영 규모의 확장 또는 재무 구조의 재조정을 통해 자산 기반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19년과 2020년 사이의 증가가 두드러지며, 이후에는 완만한 증가세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 1.93에서 2019년 1.66으로 하락하였다가 2020년에는 1.62로 더 낮아지고, 이후 2021년에는 다시 1.74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022년에는 1.56으로 다시 낮아지고 있어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2018년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추세입니다. 이 지표의 변화는 자산이 활용되는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며, 일시적인 운영 효율성 저하 또는 자산 투자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평균 회전율이 낮아진 점은 자산 활용의 효율성이 다소 둔화된 경향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펫뉴트리션(주)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식별 가능한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식별 가능한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적으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9년에서 2020년, 그리고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 상당한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2018년 대비 2022년에는 약 55.7% 증가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승은 시장 수요의 확대 또는 제품 포트폴리오의 강화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 식별 가능한 자산
-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자산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다가, 2022년에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 약 1033백만 달러였던 것이 2022년에는 2804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자산 구조의 확장이나 신규 투자를 통해 자산 규모가 크게 늘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2년의 자산 증가는 회사의 성장 전략 또는 인수합병, 설비 투자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 2.31에서 2019년 2.15로 소폭 하락한 이후, 2020년 2.38, 2021년 2.47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크게 1.32로 급감하였다. 이 변화는 자산의 활용 효율이 2021년까지는 개선되다가, 2022년에는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음을 indicating할 수 있다. 특히, 자산 회전율이 낮아진 것은 자산의 보유 기간이 길어졌거나, 자산 활용도가 낮아졌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운영 효율성 또는 재고 수준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반려동물 영양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의 변화
-
분석 대상 지역별로 감가상각 비율을 나타내는 자본 지출 비율은 전반적으로 일정한 변동성을 보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상당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북아메리카 지역은 2018년 0.6에서 2019년 0.46으로 감소했으나, 이후 2020년 0.64, 2021년 0.84로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다시 0.62로 낮아졌다. 이러한 변동은 투자 활동의 일시적 수준 차이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라틴 아메리카 지역은 2018년 1.6에서 2019년 1.07로 감소했으나, 2020년부터 다시 상승하여 2022년 1.3에 이르렀다. 전반적인 흐름은 일부 지역적 축소와 회복을 반복하는 모습이다.
유럽 지역은 비교적 안정적인 경향을 보여 2018년 0.56, 2019년 0.58, 2020년 0.44, 2021년 0.45, 2022년 0.34로 소폭 변동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낮은 수치를 유지하며 감가상각 비용에 대한 투자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8년 0.73, 2019년 0.4, 2020년 0.54, 2021년 0.52를 기록한 후 2022년 0.67로 상승하였다. 이 지역은 감가상각 비용에 대한 투자가 다소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2022년에는 이전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지역은 2018년 1.38로 시작하여 2019년 1로 감소했으나, 2020년 1.44로 소폭 회복하였다. 다만 2021년에는 3.67로 급증하였으며, 2022년에는 3.33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급증은 해당 지역에서의 대규모 투자 또는 감가상각 정책 변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반려동물 영양 부문은 2018년 0.66에서 2019년 0.75로 상승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0.97, 2021년 2.37, 2022년 4.57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해당 부문의 감가상각 관련 비용 투자 또는 자본 지출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일부 지역과 부문은 감가상각 비용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아프리카/유라시아와 반려동물 영양 부문에서 두드러진 증가세가 관찰된다. 이는 해당 지역 또는 부문에서의 성장 또는 투자 확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북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8년에는 53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0년에는 65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2021년에는 87백만 달러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2022년에는 다시 66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지만, 전체 기간 동안의 평균적인 수준은 높은 편입니다. 이러한 증가는 주로 시설 투자 또는 설비 개선 등의 장기적 성장 전략에 따른 자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8년 88백만 달러에서 2022년 106백만 달러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94백만 달러와 101백만 달러로 조금씩 늘어났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04백만 달러와 106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장기 투자 자산이 축적되거나, 기존 자산이 감가상각되는 속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회사의 자산 활용 및 설비 노후화에 대한 포괄적 관점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0.6에서 2019년 0.46로 감소하였으며, 이후 2020년에는 0.64로 다시 증가하였고 2021년에는 0.84로 급증하였으며, 2022년에는 0.62로 다소 낮아졌습니다. 이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액 대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시기와 낮아지는 시기를 반복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투자 활동과 감가상각 비용 간의 비율이 변동함을 보여줍니다. 특히 2021년의 상승은 신규 투자의 강도가 높았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후 2022년에 일부 조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라틴 아메리카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추세
- 2018년 이후로 자본 지출은 일부 변동을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2018년의 131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9년에는 90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104백만 달러, 2021년에는 118백만 달러, 2022년에는 121백만 달러로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가 계속해서 제품 설비 및 자산의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20년 이후 자본 지출이 서서히 증가하는 흐름은 회사가 차세대 기술이나 설비 확충에 집중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추세
- 감가상각 및 상각 항목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8년의 82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19년과 2020년 각각 84백만 달러와 81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1년에는 88백만 달러, 2022년에는 93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이 추세는 회사의 자산이 지속적으로 감가상각되고 있으며,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가상각 비용의 증가는 해당 자산의 사용수명 내에서 차감이 계속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자본 지출에 대한 감가상각 및 상각의 비율을 나타내며, 2018년의 1.6에서 2019년의 1.07로 급격히 하락하였으나 이후에는 2020년 1.28, 2021년 1.34, 2022년 1.3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지출 대비 감가상각 비용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회사의 자산 투자 및 감가상각 정책이 일정 수준에서 안정적임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유럽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으며,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39백만 달러와 42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31백만 달러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를 통해 자본 지출은 최근 몇 년 동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투자 활동이 축소되거나 재무 전략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항목은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70백만 달러와 72백만 달러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0년에는 94백만 달러로 급증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98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조금 감소하여 90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증가는 자산의 감가상각 대상이 늘어나거나, 자산의 가치 하락이 발생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특히 2020년의 급증은 기업이 자산 구조조정을 하거나 신규 투자를 완료한 결과일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0.56에서 2019년 0.58로 증가하였다가, 2020년에는 0.44로 크게 하락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2021년과 2022년에는 0.45와 0.34로 각각 소폭 회복 또는 하락하는 영향을 보였다. 이 지표는 자본 지출에 대한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비율을 나타내며, 비율이 낮아진 것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 대비 줄어들었거나, 감가상각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2022년의 낮은 비율은 자본 투자의 축소 또는 감가상각 비용의 상대적 증가를 시사할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아시아 태평양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 이후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에는 크게 감소했으나, 2020년 및 2021년에 다시 회복세를 나타내며 2022년에는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가 설비 투자나 자산 확장 등에 대한 전략적 재조정을 진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약간의 하락 또는 유지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에는 89 백만 달러로 2018년 대비 다소 낮게 유지되고 있어, 감가상각 비용의 감소 혹은 감가상각 대상 자산의 감소를 시사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약 0.73에서 2019년 급감(0.4)했으며,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2022년에는 0.67로, 초기 수준에 가깝게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자본 지출 대비 감가상각 비용이 점차 적정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자산의 투자와 감가상각 간의 균형이 재조정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아프리카/유라시아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2018년 11백만 달러, 2019년 8백만 달러, 2020년 13백만 달러로 변동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소폭의 변화에 그치고 있다. 2021년에는 급격하게 33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이후 2022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30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는 기업이 장기적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본 투자를 확대하는 전략적 움직임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8년 8백만 달러, 2019년 동일하게 8백만 달러, 2020년과 2021년 각각 9백만 달러로 점진적이고 안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22년에도 9백만 달러로 유지되어 비용의 일정한 수준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기업이 보유 자산의 감가상각에 대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비용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1.38, 2019년 1.00, 2020년 1.44로 변화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3.67로 크게 상승하였고, 2022년에는 3.33으로 다소 낮아졌지만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급증은 회사의 감가상각 비용과 비교했을 때 자본 지출이 대폭 증가했음을 시사하며, 최근 몇 년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자산 확충 또는 유지에 투자했음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분석할 때, 이 비율의 상승은 자본 투자의 강도와 기업의 성장 전략이 강화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펫뉴트리션(주)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1년과 2022년에 두드러진 상승이 나타났다. 2018년 35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297백만 달러로 약 8.5배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증가는 회사의 확장 혹은 설비 투자 확대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전반적으로 느리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 53백만 달러에서 2022년 65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 수치는 기업의 자산이 점진적으로 감가상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일정 수준의 자산 운용이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시간에 따라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 0.66에서 2022년 4.57로 상당히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 이후 급격한 상승이 관찰되는데, 이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에 비해 훨씬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가 신규 자산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장기적 성장 전략이나 변화된 투자 우선순위를 반영할 수 있다.
순 매출액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 |||||
반려동물 영양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지역별 매출액 분석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북아메리카의 순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9년에 잠시 정체 후 2020년에는 약간 상승했으나 2021년에 다소 정체된 모습을 나타냈다. 특히 2022년에 다시 상승하여 3816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라틴 아메리카는 2018년과 2019년의 매출이 거의 유사하였으며, 2020년에는 소폭 감소했지만 이후 빠르게 회복하여 2022년에는 3982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다. 유럽의 경우, 2018년과 2019년에는 감소를 보였고, 2020년과 2021년에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냈으나 2022년에 다시 하락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하며, 2022년에는 2826백만 달러로 늘어났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지역은 지속적으로 소폭 성장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2022년에는 1082백만 달러로 전년도보다 약간 증가하였다.
- 사업부문별 매출액 분석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부문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2022년에는 14254백만 달러로 집계되면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이 부문은 전체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반려동물 영양 부문도 강한 성장세 속에 2018년 2388백만 달러에서 2022년 3713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20년 이후 가파른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어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체 매출액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17967백만 달러로 2018년 대비 상당한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별 매출과 사업 부문별 매출은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일부 지역과 부문에서는 일시적 정체 또는 소폭 감소를 경험하였지만, 전체적으로 강한 긍정적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영업이익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 |||||
반려동물 영양 | |||||
기업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지역별 영업이익 추세 분석
- 북아메리카 지역의 영업이익은 2018년 약 1,037백만 달러에서 2019년 982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이후 2020년 988백만 달러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1년에는 754백만 달러로 다시 감소하였으며, 2022년에는 761백만 달러로 거의 정체된 수준이다. 이 지역은 전반적으로 연속적인 하락과 일부 회복세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라틴 아메리카의 영업이익 변화
- 라틴 아메리카는 2018년 995백만 달러에서 2019년 963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975백만 달러, 2021년 1,012백만 달러, 2022년 1,108백만 달러로 상승폭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 유럽 지역 동향
- 유럽은 2018년 634백만 달러에서 2019년 624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고, 2020년 652백만 달러로 소폭 회복하였다. 2021년에는 682백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2022년 514백만 달러로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최근에는 하락세가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아시아 태평양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2018년 777백만 달러에서 증가하여 2021년 844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737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는 안정적인 성장과 약간의 조정을 겪는 모습이다.
- 아프리카/유라시아 지역
- 이 지역은 2018년 173백만 달러에서 2019년 187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206백만 달러로 상승을 지속하였다. 2021년에는 203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하였으나, 2022년에는 다시 228백만 달러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전체적으로 꾸준한 상승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
- 제품군별 영업이익 변화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부문은 2018년 3,616백만 달러에서 2019년 3,505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이후 2020년 3,594백만 달러, 2021년 3,495백만 달러, 2022년 3,348백만 달러로 전반적으로 유지 또는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 상황을 보여준다.
반려동물 영양 부문은 2018년 680백만 달러에서 2019년 703백만 달러, 2020년 793백만 달러, 2021년 901백만 달러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었으며, 2022년에는 850백만 달러로 약간 조정을 겪었다. 전반적으로 강한 성장세를 보여주는 부문이다.
- 기업 부문
- 기업 영업이익은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8년 602백만 달러, 2019년 654백만 달러로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 2020년에는 적자가 502백만 달러로 소폭 개선되었으나, 2021년에는 1,064백만 달러, 2022년에는 1,305백만 달러로 적자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이는 기업 부문의 비용 증가 또는 매출 부진이 원인일 수 있다.
- 전체 영업이익의 변화
- 전체 영업이익은 2018년 3,694백만 달러에서 2019년 3,554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하였으며, 2020년에는 3,885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1년에는 3,332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했고, 2022년에는 2,893백만 달러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일부 지역 및 부문의 성장 둔화와 기업 부문의 적자 확대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본 지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 |||||
반려동물 영양 | |||||
기업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자본 지출의 지역별 변화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역별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각 지역별로 고유한 변화 패턴이 존재한다. 북아메리카의 자본 지출은 2018년 이후 2019년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2020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2년에는 일부 감소하는 모습을 드러냈다. 특히,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일부 지역은 자본 지출의 증가폭이 크거나 안정적이다. 라틴 아메리카는 2018년에서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자본 지출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지역 내 투자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유럽의 경우는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으며,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9년과 2020년 사이 일시적 감소 이후, 2022년까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지역은 2021년 이후 급증하는 특이한 패턴을 나타내며, 특히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투자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사업 부문별 자본 지출 패턴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부문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본 지출을 유지하면서도 다소 변동이 있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일부 축소되었으며, 이후 2021년에 다시 크게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반려동물 영양 부문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2021년에 147백만 달러로 급증하는 모습이 관찰되고, 2022년에도 지속적인 증대를 보여 2022년에는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기업 부문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안정적인 수준의 투자를 유지하며, 연평균적으로 작은 변동폭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기업이 핵심 사업 부문에 안정적으로 투자하면서도 성장 잠재력을 위해 특정 부문에 집중 투자를 늘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 전체 자본 지출의 변화와 의미
- 전체 자본 지출은 2018년 436백만 달러에서 2022년 696백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큰 폭으로 늘어난 점이 돋보이며, 이는 글로벌 사업 확장과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신시장 개척, 제품 개발, 시설 투자 등 다양한 전략적 투자활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자본 지출 규모는 회사의 성장 의지와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극적 투자 전략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감가상각 및 상각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 |||||
반려동물 영양 | |||||
기업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지역별 변화 추이
- 북아메리카 지역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2018년 88백만 달러에서 2022년 106백만 달러로 약 20% 이상의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해당 지역에서의 자산 감가상각이 점차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거나 자산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라틴아메리카 역시 일정한 증가세를 보여 81백만 달러에서 93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유럽은 비교적 큰 폭의 변화를 나타냈는데, 2020년과 2021년 각각 94백만 달러와 98백만 달러를 기록한 후 2022년에는 90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하였다. 아시아 태평양은 약간의 변동을 보이며 95백만 달러에서 89백만 달러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여, 일부 지역과 비슷하게 감가상각 비용이 줄어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지역은 매우 안정적인 수준(8-9백만 달러)을 유지하고 있어 비용이 미미하게 유지되고 있다.
- 사업 부문별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변화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부문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8년 351백만 달러에서 2022년 387백만 달러로 약 10% 이상의 상승을 보였다. 반려동물 영양 부문도 일관되게 늘어나 53백만 달러에서 65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기업 부문은 점차 감가상각 비용이 감소하는데, 107백만 달러에서 93백만 달러로 내려가면서 비용 절감 또는 자산 감가상각 전략이 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체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합계인 '합계'는 2018년 511백만 달러에서 2022년 545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이는 회사 전반적으로 감가상각 비용이 다소상승하는 경향을 반영한다.
식별 가능한 자산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유럽 | |||||
아시아 태평양 | |||||
아프리카/유라시아 |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 | |||||
반려동물 영양 | |||||
기업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북아메리카⸺식별 가능한 자산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북아메리카 지역의 식별 가능한 자산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9년 이후 2020년까지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21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2022년에 다시 상승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전반적인 흐름은 자산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는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특히 2019년과 2020년에 급증한 모습이 두드러진다.
- 라틴 아메리카⸺식별 가능한 자산
- 라틴 아메리카 지역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2018년 이후 점차 자산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2020년 소폭 하락한 것을 제외하면, 2021년과 2022년에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흐름이 관찰된다. 이는 해당 지역의 자산 수요 혹은 자산의 확대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 유럽⸺식별 가능한 자산
- 유럽 지역의 자산 규모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급격한 상승을 기록하였다. 이후 2020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21년에는 현저히 하락하였으며 2022년에는 더욱 낮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유럽 시장의 불확실성이나 재무적 조정, 지역적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아시아 태평양⸺식별 가능한 자산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8년에서 2020년까지 거의 정체된 상태를 보였으며, 2021년과 2022년에도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자산 규모가 안정적이지만 성장 또는 축소의 뚜렷한 추세는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아프리카/유라시아⸺식별 가능한 자산
- 아프리카 및 유라시아 지역은 2018년 이후 점진적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2022년에는 약 16%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은 꾸준한 자산 증대를 통해 시장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 구강, 개인 및 가정 간호⸺식별 가능한 자산
- 이 부문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빠른 성장을 기록하였고, 2020년에는 일시적인 정체 또는 축소가 있었으나 2021년에는 다시 약간 감소하였다. 2022년에는 하락세가 계속되어, 시장의 변동성과 일부 사업부의 재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높은 규모와 함께 변동성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 반려동물 영양⸺식별 가능한 자산
- 반려동물 영양 부문은 2018년 이후 급격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22년에 2804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반려동물 시장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기업⸺식별 가능한 자산
- 기업 부문은 2018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2019년, 2021년, 2022년 모두 50~79백만 달러 범위 내에서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부문은 큰 변화 없이 낮은 수준의 자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합계⸺식별 가능한 자산
- 전체적으로 바라볼 때, 총 식별 가능한 자산은 2018년 1만2161백만 달러에서 2022년 1만5731백만 달러로 약 29% 증가하였다. 2019년과 2020년에 급증 후 2021년 다소 축소되었으나, 2022년 재반등하는 모습이 나타나며 전체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사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전반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