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 Analysis on Net

Coca-Cola Co. (NYSE:KO)

US$24.99

선택한 재무 데이터
2005년부터

Microsoft Excel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 월 US$10.42부터 전체 웹사이트에 대한 전체 액세스 주문 또는

  • US$24.99에 Coca-Cola Co. 1개월 이용권을 주문하세요.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 Maestro Discover JCB PayPal Google Pay
Visa Secure Mastercard Identity Check American Express SafeKey

손익 계산서

Coca-Cola Co., 손익 계산서에서 선택한 항목, 장기 추세

US$ 단위: 백만 달러

Microsoft Excel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는 미국 달러 백만 단위로 제시되며, 항목별로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값이 연도별로 제공된다. 누락 값은 관찰되지 않았다. 내부 보고서용 분석 관점에서 데이터의 패턴과 변화를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요약한다.

순영업수익
전반적으로 증가 흐름이 관찰된다. 2005년 23104에서 2012년 48017으로 상승한 후 2013년 46854, 2014년 45998, 2015년 44294, 2016년 41863으로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다만 2017년 35410으로 또다시 하락했고 2018년 31856으로 추가 하락했다. 이후 2019년 37266로 반등했고 2020년 33014, 2021년 38655, 2022년 43004, 2023년 45754, 2024년 47061로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2012년 직전 수준에 근접하거나 이를 넘어서는 구간이 있다. 전 기간을 통틀면 장기적으로 증가 추세가 확인되나, 2013–2018년 구간의 하방 리스크와 2020년대의 변동성이 존재한다.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2005년 6085에서 2012년 10779로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의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2013년 10228, 2014년 9708, 2015년 8728, 2016년 8626으로 감소했고, 2017년에는 7501로 큰 폭 하락했다. 이후 2018년 8700, 2019년 10086으로 반등했고 2020년 8997, 2021년 10308, 2022년 10909, 2023년 11311로 상승을 이어가다 2024년 9992로 소폭 하락했다. 이 기간은 절대 금액 기준으로의 회복과 함께 2017년의 급락으로 인한 변동성 증가가 특징이다.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
해당 지표는 2005년 4872에서 2010년 11809로 급증한 후 2011년 8572, 2012년 9019, 2013년 8584, 2014년 7098, 2015년 7351, 2016년 6527로 낮아지며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2017년에는 1248로 대폭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2018년 6434, 2019년 8920으로 반등했다. 2020년 7747, 2021년 9771, 2022년 9542, 2023년 10714, 2024년 10631로 다시 상승하며 2018년 이후 회복 흐름을 나타낸다. 전 기간에 걸쳐 큰 변동성을 보였으며, 2017년의 급락이 특히 두드러진 특징으로 돋보인다.

대차 대조표: 자산

Coca-Cola Co., 자산에서 선택한 항목, 장기 추세

US$ 단위: 백만 달러

Microsoft Excel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유동 자산
단위: US$ 백만 달러. 2005년 10,250에서 2006년 8,441로 감소하는 등 초기에는 변동이 나타났으나 2007년 12,105, 2008년 12,176로 소폭 회복되었다가 2009년 17,551로 큰 폭 상승했다. 이후 2010년 21,579, 2011년 25,497, 2012년 30,328로 연속 증가하며 2013년 31,304, 2014년 32,986, 2015년 33,395, 2016년 34,010, 2017년 36,545로 2017년까지 상승했다. 2018년 30,634로 급락했고 2019년 20,411, 2020년 19,240로 추가 하락했다가 2021년 22,545로 반등, 2022년 22,591, 2023년 26,732로 회복했으며 2024년 25,997로 소폭 하락했다. 전체 구간에서 유동 자산은 8,441에서 36,545 사이의 변동 폭을 보였고, 2010년대 중반 이후의 흐름은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내포한다. 또한 총 자산 대비 비율로 보면 2017년 약 41%대까지 상승했다가 2019-2020년에는 약 22-24%대까지 하락하는 등 자산구조의 변동이 나타났다.
총 자산
단위: US$ 백만 달러. 2005년 29,427에서 2006년 29,963로 소폭 증가하고 2007년 43,269로 급격히 증가하는 등 초기에는 가파른 성장세가 관찰된다. 2008년 40,519로 소폭 감소했으나 2009년 48,671로 상승했고 2010년 72,921로 큰 규모의 확장을 기록했다. 2011년 79,974, 2012년 86,174, 2013년 90,055, 2014년 92,023로 2010년대 내내 상승세를 지속했다. 다만 2015년 90,023으로 감소하고 2016년 87,270으로 하락하는 등 2015-2016년에는 조정이 나타났다. 2017년 87,896으로 소폭 회복했으나 2018년 83,216로 다시 하락했고 2019년 86,381, 2020년 87,296로 점진적으로 회복했다. 2021년 94,354로 사상 최대치에 근접했고 2022년 92,763으로 소폭 감소한 뒤 2023년 97,703, 2024년 100,549로 다시 상승했다. 전반적으로는 2000년대 말부터 지속적인 증가 흐름을 보였으나 2015-2018년에는 일시적 조정이 나타났고, 2021년 이후에는 다시 성장 모멘텀을 회복하는 모습이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Coca-Cola Co., 부채 및 주주 자본에서 선택된 항목, 장기 추세

US$ 단위: 백만 달러

Microsoft Excel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데이터는 각 재무 항목의 연도별 값(US$ 백만 달러 단위)을 제공한다. 내부 분석은 추세와 패턴에 집중하며,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한다.

유동부채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시작했으나 2010년대 중반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4년에는 32,374로 최고치에 가까워졌고, 이후 2015년 26,930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등 변동성이 나타났다. 2016년과 2017년에는 26,532→27,194로 소폭 회복했고, 2018년에는 29,223으로 다시 상승했다. 2019년에는 26,973으로 감소한 후 2020년에는 대폭 축소되어 14,601로 떨어졌다. 이후 2021년 19,950, 2022년 19,724로 소폭 반등과 재하락을 반복했고, 2023년 23,571로 상승한 뒤 2024년에는 25,249로 마감하며 전년 대비 증가했다.
총 부채
2005년 5,700에서 시작해 2010년대 초반까지 빠르게 증가했고, 2011년 28,568, 2012년 32,610, 2013년 37,079, 2014년 41,745, 2015년 42,213, 2016년 45,709, 2017년 47,685로 상승했다. 2018년 43,555로 하락했고 2019년 42,763, 2020년 42,793로 소폭 변화가 이어졌다. 2021년 42,761로 약간 줄고 2022년 39,149로 하락하였으며 2023년 42,064로 반등하고 2024년에는 44,522로 다시 상승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2005년 16,355에서 시작해 2013년 33,173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후 2014년 30,320으로 하락했고, 2015년 25,554, 2016년 23,062, 2017년 17,072, 2018년 16,981로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났다. 2019년 19,299로 부분적 회복이 시작되었고 2020년 22,999, 2021년 24,105, 2022년 25,941로 점진적으로 회복되었다. 2023년에는 24,856으로 소폭 감소했다. 2024년 데이터는 누락되어 관찰할 수 없다. 전반적으로 2010년대 중반까지 상승 흐름이 있었으나 이후에는 하방 압력이 작용했고, 2020년대에 들어 부분적 회복이 진행되었다.

현금 흐름표

Coca-Cola Co., 현금 흐름표에서 선택한 항목, 장기 추세

US$ 단위: 백만 달러

Microsoft Excel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분석은 주어진 기간의 현금흐름 표를 바탕으로 운영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흐름에서 보이는 패턴과 변화에 대해 관찰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내부 보고서 수준의 중립적 요지에 집중하여, 각 항목별로 연간 변화의 큰 흐름과 시계열 내 특징적인 국면을 설명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전반적으로 양의 현금창출이 지속되었으나 연도별 변동성도 크게 나타났다. 2005년대 초반은 6,400~6,900사이에서 형성되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010년대 초반에는 약 9,500~10,600대까지 상승해 2012년~2014년 사이 정점에 가깝게 나타났다. 이후 2016년~2017년에는 약 7,000대 초중반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조정 국면을 겪었고, 2019년 이후 2021년까지 다시 강하게 상승했다. 2021년에는 약 12,600에 이르는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후 2022년~2024년에는 약 11,000대 초반에서 6,800대까지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재차 확대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영업활동의 현금창출력이 연도에 따라 크게 흔들리면서도,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양의 흐름을 유지하는 구간과 급락하는 구간이 교차하는 형태를 보임을 시사한다.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대체로 음의 흐름이 지배적이며, 연도별 변동폭이 큰 편이다. 2007년 한 해에만 973의 양의 흐름이 관찰되었고, 그 외 다수 연도에서 현금은 대규모로 유출되었다. 특히 2012년에는 대폭적인 음(-11,404)을 기록했고, 2018년(-10,552)과 2020년대 초반에도 유의미한 음(-7,500~9,000대 사이)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2021년에는 예외적으로 2,524의 양의 흐름이 나타났으며, 2024년에는 소폭 음(-763)으로 마감되었다. 이는 지속적인 자산투자나 비핵심자산 매각 등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큰 변동성과 투자활동의 대체로 인한 순현금 흐름의 음의 경향이 지배적임을 시사한다.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대부분의 연도에서 음의 흐름이 지속되며, 현금이 자주 외부로 유출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2007년에는 973의 소폭 양의 흐름이 있었으나, 그 외 연도는 대부분 음수로 기록되었다. 특히 2018년(-10,552)과 2022년(-10,250) 등 대규모의 현금유출이 나타나면서 해당 연도의 재무활동이 현금흐름에 큰 부담을 주는 모습을 보였다. 2011년~2014년 사이에도 음의 흐름이 뚜렷했고, 2021년~2023년에는 다시 큰 음수(-6,786~-10,250)로 나타나며 자본구조 관리나 배당, 차입의 현금흐름이 강화된 구간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는 재무활동에서의 현금흐름이 지속적으로 음수인 구간이 길고, 일부 해에만 제한적 흑자나 소폭 양의 흐름이 발생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주당 데이터

Coca-Cola Co., 선택한 공유당 데이터, 장기 추세

미국 달러$

Microsoft Excel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간 재무 지표에서 관찰 가능한 패턴과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internals 보고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모든 수치는 미국 달러 단위이며,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값이 누락된 항목은 없음.

전반적 흐름의 요약
전 기간에 걸쳐 기본 주당순이익(EPS)과 희석 주당순이익(EPS)은 상승 추세를 보이는 구간과 이례적 하락 구간이 혼재한다. 배당금은 매년 일정하게 증가하는 안정적인 패턴을 유지한다. 기본 EPS와 희석 EPS 간 차이는 대부분 아주 작으며, 두 지표는 연도에 따라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 해의 급격한 변동은 주로 특정 연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후 회복되는 흐름이 관찰된다.
기본 주당순이익(US$)
2005년 1.02로 시작하여 2010년 2.56으로 큰 폭의 상승을 보였지만 이후 2011년 1.88로 하락하고 2012년 약 2.00까지 회복하는 등 중간에 변동이 나타난다. 2013년에는 1.94로 소폭 감소하고, 2014년 1.62로 추가 하락하는 등 2013~2016년 사이 변동성이 나타난다. 2017년에 0.29로 급격히 감소하는 이례적 하락이 관찰되며, 그 후 2018년 1.51로 회복되어 2019년 2.09, 2020년 1.80, 2021년 2.26, 2022년 2.20, 2023년 2.48, 2024년 2.47로 재차 상승 및 안정화를 보인다.总体적으로 보면 2005년대 초반의 저점 대비 2010년대 중반 이후의 평균 수준으로의 회복과 증가가 지속되나, 2017년의 비정상적 하락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남아 있다.
희석 주당순이익(EPS)
기본 EPS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2010년 2.53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1년 1.85~1.88대, 2012년 1.97~2.00대의 변동을 보이며 하락과 회복이 반복된다. 2013년 1.90, 2014년 1.60대 등 2013~2016년 사이에도 변동성이 나타난다. 2017년에는 0.29로 급감했고, 이후 2018년 1.50~1.51, 2019년 2.07~2.09, 2020년 1.79~1.80, 2021년 2.25~2.26, 2022년 2.19~2.20, 2023년 2.47~2.48, 2024년 2.46로 재차 상승하며 기본 EPS와의 차이는 매우 작다. 이 기간 동안 두 지표의 동향은 대체로 일치하는 편이며, 중대한 차이가 발생하는 해는 거의 없다.
주당 배당금
2005년 0.56에서 시작하여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명확한 상승 패턴을 보인다. 증가폭은 연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2005~2012년대에 걸쳐 매년 0.06~0.10 USD 수준의 증가가 일반적이며, 2013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2013년 1.48, 2014년 1.56, 2015년 1.60, 2016년 1.64, 2017년 1.68, 2018년 1.76, 2019년 1.84, 2020년 1.94로 마감한다. 2005년 대비 누적 증가율은 약 3.5배에 이르고, 2005년 대비 2024년의 연간 배당금은 연평균성장률(CAGR) 규모가 대략 6~7%대에 해당하는 안정적 성장으로 해석된다. 총체적으로, 배당금은 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조적 정책의 시그널로 보인다.
관찰된 패턴과 해석
기본 및 희석 EPS 간의 차이가 거의 없고, 두 지표의 방향성이 거의 일치하는 점은 수익성 측정의 일관성을 시사한다. 한 해의 큰 변동은 주로 특정 연도에 집중되며, 이후의 회복이 강하게 나타난다. 특히 2010년의 급격한 EPS 상승과 2017년의 이례적 급락은 데이터에서 뚜렷한 특징으로 남아 있다. 배당은 모든 연도에 걸쳐 상승하는 안정적인 패턴을 유지하고 있어, 현금 흐름의 안정성과 배당 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마진한다. 누락값이 없는 구조로 보이며, 데이터의 시계열 특성상 장기적인 성장 여력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2017년의 단일 해 이례치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과 배당 정책의 연결성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