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비율은 회사가 미수금 수집 및 재고 관리와 같은 일상적인 작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하는지 측정합니다.
장기 활동 비율(요약)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Q (보고 날짜: 2017-09-30), 10-Q (보고 날짜: 2017-06-30), 10-Q (보고 날짜: 2017-03-31).
- 순고정자산 회전율
- 2017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순고정자산 회전율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며 약 1.17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24까지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1.17에서 1.24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순고정자산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자산 활용의 효율성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총 자산 회전율
- 총 자산 회전율은 연속적인 관찰 기간 동안 대체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2017년 이후 0.56에서 0.66 사이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약 0.57에서 0.62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자산 활용효율이 일부 개선된 모습입니다. 이는 자산 기반의 수익성 향상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주주 자기자본회전율
- 이 지표는 전반적으로 2.04에서 2.52까지 점진적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2.04에서 2.52로 뛰어오르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자기자본이 점차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수익률 향상과 관련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회사의 재무전략이 자기자본의 효율적 활용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순고정자산 회전율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Q (보고 날짜: 2017-09-30), 10-Q (보고 날짜: 2017-06-30), 10-Q (보고 날짜: 2017-03-31).
1 Q4 2021 계산
순고정자산 회전율 = (영업수익Q4 2021
+ 영업수익Q3 2021
+ 영업수익Q2 2021
+ 영업수익Q1 2021)
÷ 자산 및 장비, 누적 감가상각 및 상각액의 순
= (4,678 + 4,665 + 4,476 + 4,112)
÷ 14,419 = 1.24
- 영업수익의 추세와 변화
- 해당 기간 동안 영업수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 1분기 약 3,440백만 달러에서 2021년 4분기 약 4,678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습니다. 이 기간 동안 몇 차례 일시적인 변동이 있었지만, 연평균 성장세를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수익이 더욱 가파르게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시장 회복과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자산 및 장비, 누적 감가상각 및 상각액의 순의 변화와 추이
- 이 지표는 2017년 10,929백만 달러에서 2021년 4분기 기준 14,083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자산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2018년 이후 자산의 증가는 회사의 성장 전략에 따른 장비 및 인프라 투자 확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만, 2020년에는 일시적인 정체 혹은 소폭의 조정이 있었으며, 이는 시장이나 내부 투자 계획의 변화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 순고정자산 회전율의 분석과 관찰된 패턴
- 순고정자산 회전율은 2017년 1.25를 정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기 시작했으나, 2019년 말 이후에는 다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2020년에는 1.08까지 하락하며 저효율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2021년에는 1.17~1.24 사이로 반등하는 등, 자산 활용률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자산의 구매와 유효한 활용 사이의 상호 관계를 반영할 수 있으며, 효율적 자산 운용을 위한 내부 개선 또는 전략 수정의 결과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총 자산 회전율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Q (보고 날짜: 2017-09-30), 10-Q (보고 날짜: 2017-06-30), 10-Q (보고 날짜: 2017-03-31).
1 Q4 2021 계산
총 자산 회전율 = (영업수익Q4 2021
+ 영업수익Q3 2021
+ 영업수익Q2 2021
+ 영업수익Q1 2021)
÷ 총 자산
= (4,678 + 4,665 + 4,476 + 4,112)
÷ 29,097 = 0.62
- 영업수익의 추세와 변동
-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영업수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특히 2020년 이후에 급증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7년 3440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1년 4678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연간 단위에서도 계절적 변동이 제한적이면서도 꾸준한 증가를 보여줍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구간에서 증가폭이 크고 안정적이며,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이후 회복세와 성장세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 총 자산의 변화와 패턴
- 총 자산은 2017년 20650백만 달러에서 2021년 29097백만 달러에 달해, 전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018년 이후 일관된 증가 추세를 유지하다가 2020년 경에 약간의 조정을 거치기도 했으며, 특히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두드러진 성장세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증가는 자산 규모의 확장과 운영 확대, 기업 인수합병 또는 투자 확대가 병행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총 자산 회전율의 변화와 의미
- 총 자산 회전율은 2018년 이후 일관되게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0.66의 안정적 수준에서 시작하여 2020년에는 0.57까지 낮아졌으며, 이후 2021년엔 다시 조금 상승했지만 여전히 0.6 이하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는 자산이 늘어나도 수익 창출 효율은 일부 둔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업의 자산 활용도는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산의 증대에 비해 영업수익 증가가 다소 더딘 측면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전반적인 종합 평가
- 전반적으로, 기간 동안 영업수익과 총 자산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자산 회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어, 자산 증대에 따른 수익성 효율성은 다소 저하되는 추세입니다. 이는 기업이 자산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일부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향후 수익성과 자산 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주주 자기자본회전율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Q (보고 날짜: 2017-09-30), 10-Q (보고 날짜: 2017-06-30), 10-Q (보고 날짜: 2017-03-31).
1 Q4 2021 계산
주주 자기자본회전율 = (영업수익Q4 2021
+ 영업수익Q3 2021
+ 영업수익Q2 2021
+ 영업수익Q1 2021)
÷ Total Waste Management, Inc. 주주 지분
= (4,678 + 4,665 + 4,476 + 4,112)
÷ 7,124 = 2.52
- 영업수익
- 2017년 1분기에는 약 3,440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연간 동안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17년 6월, 9월, 12월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8년에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2018년 12월 기준 영업수익은 3,842백만 달러였으며,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2020년 12월에는 약 4,846백만 달러에 달했으며, 2021년까지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여 4,676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전반적으로 영업수익은 기간 내내 안정적인 증가 경향을 나타내며, 회복과 성장의 뚜렷한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 총 주주 지분
- 일반적으로 토탈 주주 지분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7년 초 약 5,517백만 달러였던 지분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12월에는 7,16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 기간 동안 소폭 변동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유지하였다. 2021년에는 약 7,172백만 달러로 마감되어, 주주 가치는 장기적으로 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주주 자기자본회전율
- 이 재무 비율은 명확하게 2017년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으나, 2018년 이후 값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2018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2.41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2.1~2.4 내외)을 유지하였다. 2021년에는 2.52로 소폭 상승하였으며, 이는 자본의 효율적 활용이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