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Fortinet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이 항목은 전체 자산에서의 비중이 시간에 따라 다소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36.14%와 31.46%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0년 이후로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2022년에는 27.02%로 일부 회복세를 보이지만, 2018년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현금성 자산 비중이 전체 자산에 있어서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흐름을 반영한다.
- 단기 투자
- 단기 투자는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8년 17.45%에서 2019년 21.70%로 증가한 후, 2020년 잠시 감소했으나 다시 2021년 20.17%로 유지되었다가, 2022년에는 급감하여 8.07%로 감소하였다. 이 변화는 회사가 단기 투자에 대한 집중도를 낮췄거나, 운용 전략의 변화 또는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에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 유가증권
- 2020년 이후로 유가증권 항목이 처음 등장하였으며, 2022년에는 0.41%를 차지한다. 전체적인 비중은 작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다. 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임을 보여주며, 총 자산 내에서 비중이 지속적으로 낮거나 안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유동 자산
- 유동 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약 60%에서 72%까지 변화하며, 회사의 운영 유동성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2018년 이후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에는 60.83%, 2022년에는 61.18%로 비중이 유지되고 있어, 유동 자산의 비중 축소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장기 투자
- 장기 투자의 비중은 2018년 2.18%에 불과했으나 2019년 3.71%로 증가하였다. 그 후 2020년 2.92%, 2021년 7.45%로 소폭 상승했으나, 2022년에는 0.73%로 급락하는 모습이다. 이는 잠재적 포트폴리오 구조 조정이나 투자 전략의 변화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일부 연도에 집중된 투자가 후에 축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재산 및 장비, 그물
- 이 항목은 지속적으로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18년 8.82%에서 2022년에는 14.43%까지 상승하였다. 이는 회사의 설비 투자 또는 자본적 지출이 확대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 이연 계약 비용
- 이연 계약 비용은 2018년 기준 5.93%에서 2022년 8.32%로 점차 상승하였다. 이는 계약 관련 비용이 누적되거나, 계약 서비스 또는 라이선스 수익의 미수이연이 증가했음을 반영한다.
- 이연법인세 자산
- 해당 항목은 2018년 8.28%에서 2019년에는 5.99%로 감소했으나, 이후 2022년에는 9.14%로 다시 상승하는 등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세무상 이연자산의 인식 또는 회계 정책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기타 자산 및 무형 자산
- 기타 자산은 2018년 0.68%에서 점차 상승하여 2021년 3.98%까지 증가하였으며, 2022년에는 3.24%로 다소 하락하였다. 무형 자산 역시 0.72%에서 최대 1.07%까지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며, 지적 재산권 및 기타 무형 자본의 축적을 반영한다.
- 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은 2018년 27.85%에서 2022년 38.82%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장기 자산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기업의 자본적 투자 및 설비 확대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 종합적 분석 설명
- 전반적으로, 전체 자산 구성은 단기 유동성 위주에서 점차 장기적 설비투자와 자본적 지출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금 및 단기 투자 비중의 감소는 유동성 개선 또는 운용 전략의 변화로 볼 수 있으며, 회계상 비유동 자산 비중이 상승한 것은 기업이 장기 성장 및 설비 투자를 추진하는 과정임을 시사한다. 동시에, 일부 항목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관찰되며, 이는 전략적 재조정 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