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Q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Q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Q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Q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Q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Q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 유동자산 구성의 변화와 추세
- 기간 전반에 걸쳐 유동자산이 총 자산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특히 2020년 6월 이후부터 2024년 12월까지 약 17%포인트 가량 증가하여, 유동자산이 전체 자산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자산 비중 확대 전략이 지속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동자산 내에서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유가증권이 비중을 각각 차지하며, 특히 유가증권의 비중이 급증하는 시기가 2021년 이후부터 나타납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거나 투자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비유동자산의 구성과 변동성
- 비유동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점진적으로 비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2020년 초 52.81%에서 2024년 말에는 33.42%로 축소됐습니다. 특히 영업권이 전체 비유동자산 내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 과정에서 무형자산이 비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무형자산 및 영업권의 감가상각 또는 재무제표 상 재평가, 또는 기업의 자산 구조 조정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 자산의 총평균 구조 변화
- 전체 자산 구조는 유동자산의 비중이 상승하는 동안, 비유동자산은 축소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단기 유동성 확보와 자산 유연성 강화를 위해 유동자산 비중을 늘린 전략적 선택을 진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유동자산 내 주요 구성요소인 현금성 자산과 유가증권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단기 자산 유동성에 대한 관심이 강화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기타 신중한 자산관리 지표
- 이연 소득세 및 무형자산의 비중은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 내에 있으며, 이연 소득세는 2020년 이후부터 다소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반면, 무형자산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임으로써, 기업의 무형자산 관련 투자 전략 또는 자산 감가상각 정책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