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3-30), 10-Q (보고 날짜: 2024-12-29), 10-Q (보고 날짜: 2024-09-29),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Q (보고 날짜: 2023-12-24), 10-Q (보고 날짜: 2023-09-24), 10-K (보고 날짜: 2023-06-25), 10-Q (보고 날짜: 2023-03-26), 10-Q (보고 날짜: 2022-12-25), 10-Q (보고 날짜: 2022-09-25), 10-K (보고 날짜: 2022-06-26), 10-Q (보고 날짜: 2022-03-27), 10-Q (보고 날짜: 2021-12-26), 10-Q (보고 날짜: 2021-09-26), 10-K (보고 날짜: 2021-06-27), 10-Q (보고 날짜: 2021-03-28), 10-Q (보고 날짜: 2020-12-27), 10-Q (보고 날짜: 2020-09-27), 10-K (보고 날짜: 2020-06-28), 10-Q (보고 날짜: 2020-03-29), 10-Q (보고 날짜: 2019-12-29), 10-Q (보고 날짜: 2019-09-29),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Q (보고 날짜: 2018-12-23), 10-Q (보고 날짜: 2018-09-23).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일부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20% 후반에서 30% 초반 사이를 유지하며 회사의 유동성 유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8년 하반기부터 2019년 초반까지 상승세를 보인 후, 2020년 이후에는 유사한 수준 내에서 균형을 이루는 모습이 나타난다.
- 미수금, 충당금 감소
- 이 항목은 전체 기간 동안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20년대 초반에 높은 비중을 유지하다가 2024년 이후에 다시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고객 미수금 관리를 통해 지급 극대화와 충당금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재고자산
- 기간을 통틀어 꾸준한 증가세가 관찰되며,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약 17%에서 22%로 상승한 모습이다. 이는 제품 수요가 견고하거나 생산/재고 관리 전략이 확대되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선불 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
- 이 항목은 변동이 심하며, 2018년 초에는 높은 비중(약 11.2%)이었으나 이후 급감하였다가 재차 상승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유동 자산 내 구성 비중이 일정 부분 조정되고 있는데, 이는 계약 또는 선불 항목의 처리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유동 자산 총합
- 대체로 68%에서 74% 사이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하며, 유동자산의 지속적인 비중 유지와 유동성 확보를 위한 전략적 조정을 반영한다. 특히 2020년에 잠시 상승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유동성 확보에 따른 영향을 보여준다.
- 재산 및 장비, 그물
- 이 항목은 8%에서 약 11%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장기 자산으로서 설비 및 인프라에 대한 자산투자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연도별로 약간의 변동은 있으나, 대체로 기업의 생산 능력 확장 또는 유지 전략과 연관될 수 있다.
- 영업권 및 무형 자산
- 이 항목은 8%에서 16% 사이의 비중을 차지하며, 기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축소되어 왔다. 2018년대 중반 이후에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 자산 재평가 또는 무형자산의 감손 또는 매각에 따른 영향일 수 있다.
- 기타 자산
- 이 항목은 6%에서 11% 사이에서 변화하며, 점진적으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비핵심 자산 또는 여러 유형의 기타 자산군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장기 자산
- 전체 자산 구성에서 약 25%에서 32% 수준을 유지하며, 만기 또는 인프라와 같은 장기 투자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2024년 이후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