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제공되는 KLA Corp.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KLA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5. 6. 30. | ||
2024. 6. 30. | ||
2023. 6. 30. | ||
2022. 6. 30. | ||
2021. 6. 30. | ||
2020. 6. 30. | ||
2019. 6. 30. | ||
2018. 6. 30. | ||
2017. 6. 30. | ||
2016. 6. 30. | ||
2015. 6. 30. | ||
2014. 6. 30. | ||
2013. 6. 30. | ||
2012. 6. 30. | ||
2011. 6. 30. | ||
2010. 6. 30. | ||
2009. 6. 30. | ||
2008. 6. 30. | ||
2007. 6. 30. | ||
2006. 6. 30. | ||
2005. 6. 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0-K (보고 날짜: 2012-06-30), 10-K (보고 날짜: 2011-06-30), 10-K (보고 날짜: 2010-06-30), 10-K (보고 날짜: 2009-06-30), 10-K (보고 날짜: 2008-06-30), 10-K (보고 날짜: 2007-06-30), 10-K (보고 날짜: 2006-06-30), 10-K (보고 날짜: 2005-06-30).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도별 매출과 순이익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부 보고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모든 수치는 US$ 천 단위이며, 빈 값은 누락 데이터를 의미한다. 관찰된 흐름은 매출의 방향성과 순이익의 변동성을 시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내는지에 초점을 둔다.
- 매출 추세
- 2005년 시작 시점의 매출은 약 2,085,153천 달러였으나 2008년에는 약 2,521,716천 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이후 2009년에는 약 1,520,216천 달러로 급락했고, 2010년에는 약 1,820,760천 달러로 반등했다. 2011년과 2012년은 각각 약 3,175,167천 달러, 3,171,944천 달러로 회복되었으며, 2013~2016년 구간은 대체로 2,800,000~3,000,000천 달러대의 범위를 보였다. 2017년 이후 매출은 가파르게 상승하기 시작해 2020년대에 들어서는 약 5,806,424천 달러를 기록하며 큰 폭으로 확대되었다. 2021년 6,918,734천 달러, 2022년 9,211,883천 달러, 2023년 10,496,056천 달러로 사상 최대 수준에 근접했다. 2024년에는 약 9,812,247천 달러로 다소 소폭 감소했지만, 2025년에는 12,156,162천 달러로 다시 큰 폭의 상승이 나타났다.
- 순이익 추세
- 2005년 순이익은 약 466,695천 달러로 흑자 구간을 보였지만, 2009년에는 약 -523,368천 달러로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후 2010년 약 212,300천 달러로 반등했고, 2011년(약 794,488천 달러)와 2012년(약 756,015천 달러)에는 회복세가 지속되었다. 2013년(~2014년)까지는 500,000~600,000천 달러대를 유지했고, 2015년(약 366,158천 달러)에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2016년(약 704,422천 달러)과 2017년(약 926,076천 달러)에는 다시 개선됐다. 2018년(약 1,175,617천 달러)과 2019년(약 1,216,785천 달러)에는 상승세가 이어졌고, 2020년에는 약 2,078,292천 달러, 2021년 약 3,321,807천 달러, 2022년 약 3,387,277천 달러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3년에는 약 2,761,896천 달러로 소폭 축소되었으나 2024년에는 약 4,061,643천 달러로 다시 크게 상승했다. 2025년 데이터는 누락되어 있다.
- 매출과 순이익의 관계 및 패턴
- 전반적으로 매출의 방향과 순이익 흐름은 동반 상승의 경향을 보이나, 초기에는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흑자 폭이 제한적이었고 2009년에는 흑자에서 손실로 전환되기도 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매출이 안정적으로 상승하자 순이익의 절대 규모도 점진적으로 커졌고, 2020년대 들어서는 매출과 순이익의 증가가 더욱 조화롭게 나타났다. 특히 2020년 이후 순이익은 매출 증가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확대되며 2021년과 2022년에는 이익 마진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023년에는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다소 축소되었고, 2024년에 다시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2025년 순이익 값은 누락되어 있어 향후 흐름은 추가 데이터의 확인이 필요하다.
- 데이터 품질 및 해석 주의점
- 순이익의 2025년 수치가 누락되어 있어 연간 이익 흐름의 완전한 해석이 제한된다. 또한 매출의 큰 증가가 순이익에 미치는 순효과는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연도에는 비정상적이거나 일시적인 항목으로 인해 마진이 왜곡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단일 지표만으로 장기적 성과를 판단하기보다는 매출 추세와 순이익의 상대적 마진 변화 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5. 6. 30. | ||
2024. 6. 30. | ||
2023. 6. 30. | ||
2022. 6. 30. | ||
2021. 6. 30. | ||
2020. 6. 30. | ||
2019. 6. 30. | ||
2018. 6. 30. | ||
2017. 6. 30. | ||
2016. 6. 30. | ||
2015. 6. 30. | ||
2014. 6. 30. | ||
2013. 6. 30. | ||
2012. 6. 30. | ||
2011. 6. 30. | ||
2010. 6. 30. | ||
2009. 6. 30. | ||
2008. 6. 30. | ||
2007. 6. 30. | ||
2006. 6. 30. | ||
2005. 6. 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0-K (보고 날짜: 2012-06-30), 10-K (보고 날짜: 2011-06-30), 10-K (보고 날짜: 2010-06-30), 10-K (보고 날짜: 2009-06-30), 10-K (보고 날짜: 2008-06-30), 10-K (보고 날짜: 2007-06-30), 10-K (보고 날짜: 2006-06-30), 10-K (보고 날짜: 2005-06-30).
주어진 데이터는 US$ 천 단위의 유동 자산과 총 자산의 연간 시계열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2005. 6. 30에서 2025. 6. 30까지의 값을 담고 있다. 단위는 US$ 천이며, 빈 값은 누락 데이터를 나타낸다. 분석은 내부 보고서의 목적에 맞춰 데이터에 나타난 추세와 패턴에 초점을 두고 서술된다.
데이터의 두 항목은 모든 기간에 값이 제공되어 있어 연도별 흐름의 해석에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 유동 자산
- 해당 기간의 유동 자산은 2005년 약 3.20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09년 하반기까지 감소하다가 2011년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흐름을 보인다. 2011년에서 2014년 사이에는 3.68-4.59백만 달러 범위로 비교적 안정적 수준을 유지했고, 2015~2016년에는 다시 소폭 감소해 약 3.90백만 달러대에 머무르는 구간이 있다. 2017년 이후에는 4.3~4.6백만 달러대의 수준으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2019년에 소폭 축소되었고, 2020년부터는 빠른 증가가 감지된다. 2025년 최종 수치는 약 10.70백만 달러로, 시작 시점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의 흐름은 유동성 관리 측면에서의 개선과 단기 자금 운용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동 자산의 총 자산 대비 비중은 초기에는 대략 80% 안팎으로 높았으나 2019년대 총 자산 증가를 반영하며 낮아졌다가 2020년대에 들어 재차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2025년 기준으로 유동 자산은 총 자산의 약 66% 수준으로 재구성되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05년 3.99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10년대 전반까지 비교적 완만한 상승을 보이다가 2015년에는 약 4.83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는 등 변동성을 나타낸다. 2018년까지의 상승 폭은 제한적이었으나 2019년부터 급격한 확장을 기록하여 9.01백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도 증가세를 지속하고, 2022년 12.60백만 달러, 2023년 14.07백만 달러, 2024년 15.43백만 달러, 2025년 16.07백만 달러로 계속 증가했다. 이러한 흐름은 자산 규모의 비약적 확장과 함께 비중 측면에서도 2019년 이후 유동 자산의 비중 증가와 함께 총 자산의 구조가 커다르게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2019년 이후의 증가가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이후 연속적인 증가를 통해 자산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KLA 주주 지분 합계 | |
---|---|---|---|---|
2025. 6. 30. | ||||
2024. 6. 30. | ||||
2023. 6. 30. | ||||
2022. 6. 30. | ||||
2021. 6. 30. | ||||
2020. 6. 30. | ||||
2019. 6. 30. | ||||
2018. 6. 30. | ||||
2017. 6. 30. | ||||
2016. 6. 30. | ||||
2015. 6. 30. | ||||
2014. 6. 30. | ||||
2013. 6. 30. | ||||
2012. 6. 30. | ||||
2011. 6. 30. | ||||
2010. 6. 30. | ||||
2009. 6. 30. | ||||
2008. 6. 30. | ||||
2007. 6. 30. | ||||
2006. 6. 30. | ||||
2005. 6. 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0-K (보고 날짜: 2012-06-30), 10-K (보고 날짜: 2011-06-30), 10-K (보고 날짜: 2010-06-30), 10-K (보고 날짜: 2009-06-30), 10-K (보고 날짜: 2008-06-30), 10-K (보고 날짜: 2007-06-30), 10-K (보고 날짜: 2006-06-30), 10-K (보고 날짜: 2005-06-30).
주어진 연도별 재무지표는 유동부채와 총 부채의 규모가 시기에 따라 크게 변동하며, 주주지분은 상대적으로 더 큰 변동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일부 기간은 값이 누락되어 있어 완전한 해석에는 한계가 남지만, 관찰 가능한 패턴과 변화의 방향성에 대해 객관적으로 요약한다.
- 유동부채
- 2005년~2014년 구간은 대체로 완만한 증가 및 소폭 변동으로 나타났으며 2005년 931,862에서 2014년 895,611 사이에 큰 급격한 변화 없이 변동했다. 다만 2015년 이후 급격한 증가 흐름이 시작되어 2019년 1,768,486, 2020년 1,699,786로 상승하고 2021년 2,103,227, 2022년 2,871,083, 2023년 3,742,842, 2024년 4,660,774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25년에는 4,085,795로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2005년 대비 2025년에 약 4.4배 가까이 증가한 셈으로, 운영상 단기부채의 증가가 커다란 추세로 나타난다.
- 총 부채(첫 번째 항목)
- 2005년~2007년은 1,073,207에서 1,087,? 정도의 소폭 증가를 보이나 2008년에 1,866,660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2009년~2014년까지는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했다(약 1,665,546에서 1,869,318까지). 2015년에는 4,404,573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2016년~2018년에는 약 4,273,318~3,998,845로 일부 축소되는 흐름을 보이다가 2019년부터 다시 급격히 상승하여 6,330,823, 2020년 6,598,950, 2021년 6,895,482까지 증가했다. 2022년에는 11,197,980로 크게 늘고, 2023년 11,152,604, 2024년 12,065,238로 최고치를 찍은 뒤 2025년 11,375,473으로 다소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큰 변동성을 수반하며 2015년 이후 부채 규모가 크게 확대되는 추세가 반복된다.
- 총 부채(두 번째 항목)
- 2008년부터 2014년까지는 소폭의 증가를 보이다가 2015년 급격히 증가(3,190,416)하고, 2016년(3,056,? 수준)과 2017년(2,930,457)에는 다소 축소되었다가 2018년 2,237,402로 하락했다. 이후 2019년 3,423,382, 2020년 3,469,670, 2021년 3,442,767로 비슷한 구간을 유지하다가 2022년 6,660,718로 급격히 증가하고 2023년 5,890,736, 2024년 6,630,135로 다시 상승하며 2025년 5,884,257로 감소했다. 이 항목 역시 2015년 이후 급격한 구조 변화 가능성과 함께 큰 변동성을 나타낸다.
- KLA 주주 지분 합계
- 2005년부터 2014년까지는 3,045,257에서 3,669,346 사이로 점진적이지만 꾸준한 증가를 보이다가 2015년 421,439로 급락했다. 이후 2016년 689,114로 반등했고 2017년 1,326,417, 2018년 1,620,511, 2019년 2,659,108로 연쇄적으로 증가하였다. 2020년 2,665,424, 2021년 3,377,554로 증가 흐름이 지속되었으나 2022년에는 1,401,351으로 일시적으로 하락했고 2023년 2,919,753, 2024년 3,368,328, 2025년 4,692,453으로 다시 상승하며 5년 간 점진적 성장을 마감한다. 전반적으로 주주지분은 2015년의 큰 하락 이후 회복과 더불어 2020년대에 들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요약적으로, 기간 전반에 걸쳐 유동부채와 총 부채의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구간이 다수 관찰되며, 특히 2015년 이후의 급격한 부채 확대가 큰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주주지분은 2015년의 급락 이후 회복되며 2020년대에 들어 증가 폭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패턴은 자금조달의 변화나 자본구조 재편의 영향 아래에서 레버리지가 크게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두 번째 총 부채 항목의 변화는 첫 번째 항목과 동일한 시점에 다른 규모의 변동을 보여, 분류나 회계상 차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불일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데이터의 몇몇 기간은 누락되어 있어 완전한 해석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주석이나 추가 재무정보가 확인되면 보다 정밀한 해석이 가능하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
2025. 6. 30. | |||
2024. 6. 30. | |||
2023. 6. 30. | |||
2022. 6. 30. | |||
2021. 6. 30. | |||
2020. 6. 30. | |||
2019. 6. 30. | |||
2018. 6. 30. | |||
2017. 6. 30. | |||
2016. 6. 30. | |||
2015. 6. 30. | |||
2014. 6. 30. | |||
2013. 6. 30. | |||
2012. 6. 30. | |||
2011. 6. 30. | |||
2010. 6. 30. | |||
2009. 6. 30. | |||
2008. 6. 30. | |||
2007. 6. 30. | |||
2006. 6. 30. | |||
2005. 6. 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0-K (보고 날짜: 2012-06-30), 10-K (보고 날짜: 2011-06-30), 10-K (보고 날짜: 2010-06-30), 10-K (보고 날짜: 2009-06-30), 10-K (보고 날짜: 2008-06-30), 10-K (보고 날짜: 2007-06-30), 10-K (보고 날짜: 2006-06-30), 10-K (보고 날짜: 2005-06-30).
다음 분석은 주어진 기간의 현금흐름 표항목들에 나타난 흐름과 패턴을 내부 보고서 형식으로 요약 and 해석한 것이다. 운영활동으로 인한 현금창출능력이 전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강화되었고,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은 대체로 현금유출의 흐름을 보이며 다변동성을 보였다. 후반부로 갈수록 운영현금흐름의 상승세가 강화되는 반면, 재무활동의 순현금흐름은 큰 폭의 음수로 나타나는 해가 다수 관찰된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초기 몇 차례의 해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양의 현금창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2005년에는 약 5,067.35백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매년 증가폭이 커지며 2020년대에 들어서는 연간 순현금 창출이 2,000백만 달러를 넘어 3,000백만 달러대까지 올랐다. 2021년 이후에는 특히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약 3,312.70백만 달러, 2023년 약 3,668.81백만 달러, 2025년에는 약 4,081.90백만 달러에 이르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은 전반적으로 영업활동에서의 현금창출 역량이 크게 강화되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2009년과 2014년처럼 한두 해에 걸쳐 소폭 하락하는 구간도 존재하여, 업황이나 운영효율성의 단기적 변동이 현금창출에 일시적으로 반영되곤 했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투자활동의 순현금흐름은 전 기간에 걸쳐 대체로 음의 흐름을 보이며 자본지출과 자산투자에 따른 현금유출이 주를 이룬다. 2006년에는 소폭의 현금유입(약 225.07백만 달러)이 나타났고, 2015년에는 큰 규모의 순현금유입(+918.22백만 달러)이 관찰되며 예외적인 구간이 있었지만, 그 외의 해들은 대체로 음의 흐름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4년의 큰 음의 흐름(약 -676.11백만 달러)과 2019년의 큰 음의 흐름(약 -1,180.98백만 달러), 2024년의 대규모 음의 흐름(약 -1,476.99백만 달러)은 대규모 자본지출이나 자산 매각/투자 활동의 강력한 영향을 시사한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변동성이 증가하며 일부 해에 ±의 흐름이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는 여전히 음의 흐름이 주류를 이룬다.
- 재무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의 순현금흐름은 모든 기간에서 음수로 기록되며, 해별 변동성은 크지만 최근 수년간 규모가 크게 확대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초기에는 달리 큰 폭이 아니었으나, 2015년에는 대규모 음(-1,302.97백만 달러)이 나타났고, 이후 2018년의 약 -1,270.10백만 달러, 2022년 이후에는 더 큰 규모의 음으로 확대되었다. 구체적으로 2022년 약 -2,257.01백만 달러, 2023년 약 -2,830.29백만 달러, 2024년 약 -1,776.02백만 달러, 2025년 약 -3,785.69백만 달러에 이르는 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흐름은 대체로 배당금 지급, 차입금 상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자금조달 활동의 강도 증가를 시사한다.
- 종합적인 패턴과 시사점
- 전반적으로 운영현금흐름의 강도 증가가 투자 및 재무활동의 현금흐름에 일정 부분 여유를 제공하는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2015년 이후의 시점에서 그 차이가 커지며 긍정적 잔액이 다수의 해에서 관찰되었다. 다만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은 여전히 큰 규모의 현금유출을 보이는 해가 다수로 나타나, 순현금의 변동성은 여전하다. 특히 2019년 및 2024년의 투자활동 음의 흐름, 2022년~2025년의 재무활동 큰 음의 흐름은 대규모 자본지출 및 재무구조 조정의 강도가 높았음을 시사한다. 운영현금흐름의 상승세가 지속되는 한편, 투자 및 재무활동의 방향성에 따라 연간 순현금흐름의 변동 폭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현금자산 관리 및 유동성 유지 관점에서 주요 관찰 포인트가 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5. 6. 30. | |||
2024. 6. 30. | |||
2023. 6. 30. | |||
2022. 6. 30. | |||
2021. 6. 30. | |||
2020. 6. 30. | |||
2019. 6. 30. | |||
2018. 6. 30. | |||
2017. 6. 30. | |||
2016. 6. 30. | |||
2015. 6. 30. | |||
2014. 6. 30. | |||
2013. 6. 30. | |||
2012. 6. 30. | |||
2011. 6. 30. | |||
2010. 6. 30. | |||
2009. 6. 30. | |||
2008. 6. 30. | |||
2007. 6. 30. | |||
2006. 6. 30. | |||
2005. 6. 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K (보고 날짜: 2016-06-30), 10-K (보고 날짜: 2015-06-30), 10-K (보고 날짜: 2014-06-30), 10-K (보고 날짜: 2013-06-30), 10-K (보고 날짜: 2012-06-30), 10-K (보고 날짜: 2011-06-30), 10-K (보고 날짜: 2010-06-30), 10-K (보고 날짜: 2009-06-30), 10-K (보고 날짜: 2008-06-30), 10-K (보고 날짜: 2007-06-30), 10-K (보고 날짜: 2006-06-30), 10-K (보고 날짜: 2005-06-30).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주당 기본 순이익(Basic EPS) 및 희석 주당 순이익(EPS) 흐름의 관찰
- 두 지표는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서로 근접한 값을 보인다. 2009년의 음수(-3.07 USD)로 손실 구간이 나타난 이후 2010년에는 단기 반등으로 1.24 USD를 기록하고, 이후 2011년 4.75 USD, 2012년 4.53 USD, 2013년 3.27 USD 등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이 지속되었다. 2014년(3.51 USD)과 2015년(2.26 USD) 사이에는 다소 완만한 증가 흐름이 나타났고, 2016년부터는 다시 상승세가 강화되었다(2016년 4.52 USD, 2017년 5.92 USD). 2018년 5.13 USD, 2019년 7.53 USD, 2020년 7.76 USD로 추세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2021년에는 13.49 USD로 급격한 상승이 나타났다. 2022년(22.07 USD)과 2023년(24.28 USD)의 기록 수준 상승이 이어진 뒤 2024년에는 약간 하락하여 20.41 USD를 보였고, 2025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하며 30.53 USD에 도달했다. 두 계열 간 차이는 일반적으로 작은 편으로, 0.1 USD 내외의 차이로 나타나 dilution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작용하는 구간이 많았다. 전반적으로 2010년 이후 이익 창출 능력의 확장과 함께 EPS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흐름이 확인되며, 2020년대에 들어 성장 속도가 가팔라진 경향이 뚜렷하다.
- 주당 배당금의 변화 및 특이점에 대한 관찰
- 배당금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1년 1.00 USD, 2012년 1.40 USD, 2013년 1.60 USD, 2014년 1.80 USD로 연속 상승했다. 그러나 2015년에는 18.50 USD로 갑자기 큰 증가가 나타나고, 이후 2016년부터는 다시 2.08 USD로 회복되어 이전 흐름으로 돌아간다. 2016년 2.08 USD, 2017년 2.14 USD, 2018년 2.52 USD, 2019년 3.00 USD, 2020년 3.30 USD, 2021년 3.60 USD, 2022년 4.20 USD, 2023년 5.20 USD, 2024년 5.65 USD, 2025년 6.75 USD로 이후에는 연도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 지속된다. 2015년의 비정상적 수치 외에는 전반적으로 배당금이 올라가는 추세로 해석되며, 장기적으로 현금 배당 확대를 통한 주주환원 정책이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데이터 품질 및 해석 시 주의점
- 데이터는 모든 항목에서 누락 값이 없으나, 주당 배당금의 2015년 18.50 USD는 다른 연도와의 비교에서 현저히 이례적이다. 이 시점은 일회성 배당 지급이나 데이터 입력 실수의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다. 기본 EPS와 희석 EPS는 방향성 및 추세가 거의 일치하며, 두 지표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작고 변동도 큰 편이 아니다. 따라서 EPS의 전반적 상승 흐름은 수익성 개선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으며, 배당의 점진적 증가와의 관계를 통해 현금 창출 능력의 개선도 함께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