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28), 10-K (보고 날짜: 2023-12-30),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25), 10-K (보고 날짜: 2020-12-26).
- 유동자산 비중의 변화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유동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약 24.75%에서 26.82%로 수치상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23년에는 26.82%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약간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증가는 회사가 단기 유동성 확보에 조금 더 집중하거나, 운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동자산의 비중이 체계적으로 조정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장기자산 구성 및 비중의 변화
- 기타 무기한 무형자산, 무형자산, 유형자산(재산, 식물 및 장비)의 비중은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재산 및 장비의 비중은 23.00%에서 28.16%로 상승하며 자산 포트폴리오 내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는 기업이 운영 인프라 확장이나 설비 투자를 계속 진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무형자산은 40.97%에서 32.51%로 전반적으로 축소되었으나, 유형자산과 함께 자산 구조 내에서 주요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 단기 투자 및 유동성 관련 항목
- 단기 투자는 상대적으로 항시적이거나 단기 운용차원에서 유지하는 비중이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2020년 1.47%에서 2024년 0.77%로 하락폭이 크진 않지만 주목할 만 하며, 이는 운용 전략의 변경 또는 시장 환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체 자산의 비중에서 다소 변동하였으나, 2023년 이후 다시 높아지는 모습이 나타나 유동성 확보를 강화하는 전략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무형자산의 변화와 자본 구조
- 무형자산은 그 대부분이 무기한으로 계속 유지되는 자산인 친선, 기타 무기한 무형자산으로 구성되며, 전체 무형자산 내 비중이 높은데, 특히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각각 36.65%에서 32.51%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무기한 무형자산의 비중이 다소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자산 구성은 브랜드 가치 또는 독자적 무형자산의 지속적 가치 유지 전략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기타 항목 및 자산 유동성의 추가적 변화
- 운용리스 사용권 자산은 1.8%에서 3.4%까지 증가하여 점차 기업의 임차권 또는 사용권 관련 자산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투자 및 기타 자산 항목들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다각화된 자산 배분을 지속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전체 자산 구조의 안정성
- 총 자산은 100% 기준에서 2020년 75.25%, 2021년 76.42%, 2022년 76.64%, 2023년 73.18%, 2024년 74.04%로 나타나 대체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비유동자산은 전체 자산의 약 73%~76%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유지되어 회사의 포트폴리오가 장기적 안정성을 지향하는 방향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