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DuPont de Nemours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 매출액 | DuPont에 귀속되는 순이익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기간에 대한 두 재무 지표의 흐름을 내부 보고서 관점에서 분석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 순 매출액
- 2005년에서 2008년 사이 매출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증가 추세를 보였고, 2009년에는 금융 위기 영향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후 2010년대 초반에 다시 반등하여 2011년과 2012년, 2013년, 2014년에는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매출이 다시 하락했고,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상승폭이 크게 확대되며 2018년에는 연간 매출이 최대치에 도달했다. 그러나 2019년에는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여 21,512백만 달러로 축소되었다. 이 기간의 흐름은 대체로 성장과 축소의 반복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특히 2018년의 정점 이후 2019년의 급락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매출 변화의 크기와 시점은 외부 사이클의 영향이나 구조적 변화에 의해 좌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수익성 측면의 해석을 위해서는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
- DuPont에 귀속되는 순이익
- 2005년에서 2008년 사이 순이익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다시 소폭 반등했고, 2011년과 2012년에는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2013년에서 2015년 사이에는 회복되어 2015년에는 가장 높은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재차 감소했고, 2018년에 소폭 반등했으나 2019년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전 기간에 걸쳐 큰 변동성을 나타내며, 매출 흐름과의 연계성보다 특정 연도에 집중된 이익성의 편차가 더 뚜렷하게 관찰된다. 예를 들어 2015년 순이익은 약 7,685백만 달러로 한 해 중 가장 높았지만, 2018년에는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이익률 측면에서의 개선은 제한적이었다. 2019년의 순이익은 498백만 달러로 낮아져 이익성의 약화가 다시 뚜렷해졌다. 데이터만으로 원인이나 구조적 변화의 구체적 요인을 파악하기는 어렵고, 추가 정보에 의한 해석이 필요하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요약은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의 패턴과 변화를 내부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항목은 유동 자산과 총 자산이며 값은 US$ 백만 단위다. 각 연도는 2005년 말부터 2019년 말까지의 값을 담고 있으며, 누락 값은 없다.
- 관찰 포인트 1: 총 자산의 중장기 흐름과 급변 시점
- 2005년 45,934에서 2016년 79,511까지 비교적 완만한 증가가 이어지다가 2017년 192,164로 급격히 상승했다. 이 후 2018년 188,030으로 소폭 하락했고 2019년에는 69,396으로 다시 큰 폭 감소했다. 따라서 2017년의 비정상적으로 큰 상승이 이후의 가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재차 큰 축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급변은 데이터에 비일상적 요인(대규모 재무 이벤트나 재분류 등)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관찰 포인트 2: 유동 자산의 중간 축적과 2017년 이후의 급변
- 2005년 17,404에서 2013년 24,977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6년에는 23,659로 소폭 하락했다. 그러다 2017년에는 49,893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8년에도 49,603으로 유지되었지만 2019년에는 9,999로 급격히 감소했다. 2017년의 급증은 이후의 현금성 자산 혹은 유동성의 구조적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2019년 대폭 축소는 비정상적 변동의 반대 방향으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암시한다.
- 관찰 포인트 3: 패턴 간의 관계와 해석상의 주의점
- 두 항목은 2009년~2016년 사이에는 비교적 안정적이거나 점진적 증가를 보이다가 2017년에 집중적으로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이후 2018년의 재조정과 2019년의 급락은 변동성 확대를 시사하며, 특정 연도에 집중된 비일상적 이벤트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패턴은 데이터의 구조적 변화나 회계 처리의 재편 여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도 간 비교 시 주석이나 추가 재무정보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듀폰 주주 지분 합계 |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를 항목별로 분석하면, 데이터에 나타난 흐름과 변동성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아래는 각 재무 항목의 관찰 요약이다.
- 유동부채
-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값은 대체로 10,000~14,000백만 달러대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변동하는 경향을 보이다. 그러나 2017년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26,128백만 달러에 도달했고, 2018년에도 24,715백만 달러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19년에는 8,346백만 달러로 대폭 감소했다. 이처럼 단기간에 큰 변동이 나타난 것은 특정 시점의 재무활동 변화나 일시적 유동성 조정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전반적으로는 2017~2018년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으며, 2019년에 대폭 축소되었다.
- 총 부채
- 2005년에서 2008년 사이에는 9,000~11,000백만 달러대의 비교적 안정성을 보였다. 2009년과 2010년에 걸쳐 22,000~24,000백만 달러로 급격한 증가가 나타났고, 이후 2011~2016년 사이에는 약 17,000~21,000백만 달러대의 변동성을 보였다. 2017년에는 34,071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고 2018년에는 40,464백만 달러까지 상승한 뒤 2019년에는 17,447백만 달러로 다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러한 흐름은 대규모 자금조달이나 차입구조의 변화가 시점에 따라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2017~2018년의 급증은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라고 볼 수 있다. 2019년의 감소는 재무전략의 조정이나 차입구조의 재설정과 관련 있을 수 있다.
- 듀폰 주주 지분 합계
-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에는 15,324~19,389백만 달러 수준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08년에는 13,511백만 달러로 감소했다. 이후 2009~2016년 사이에는 20,855~25,987백만 달러대의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2017년에 발생했으며, 주주지분 합계가 100,330백만 달러로 급증했다. 이후 2018년에도 94,571백만 달러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9년에는 40,987백만 달러로 다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 급격한 상승은 일시적이거나 비정상적 재무활동의 반영일 수 있으며, 2019년의 하락은 재평가나 재정적 조정의 효과일 가능성이 있다. 전반적으로 2017년의 큰 상승 이후 다소 정상화되는 흐름이 나타났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제공되는 현금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되는 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현금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데이터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의 현금 흐름 구성 항목별 값을 제공하며, 모든 연도에 값이 제시되어 있다. 세 가지 주요 활동 영역에서 관찰되는 패턴은 연도에 따라 큰 변동성과 특정 시점의 비정상적 대규모 흐름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는 영업활동의 현금 창출 능력이 연도별로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고, 투자 및 재무활동의 현금 흐름은 특정 시점에 집중된 큰 규모의 금액 변동으로 인해 전체 현금 흐름의 의존 구조가 달라졌음을 시사한다.
- 영업활동으로 제공되는 현금
- 2005년에서 2008년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4,000~4,700백만 달러대의 현금을 창출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2009년에는 약 2,075백만 달러로 감소했으나 이후 2010년대 초반에는 다시 4,000백만 달러대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2013년에는 7,823백만 달러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2014년과 2015년에도 각각 약 6,502백만 달러와 7,516백만 달러로 높은 창출 능력을 유지했다. 이후 2016년 5,478백만 달러로 다소 축소되었으나 2017년에는 다시 8,695백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다. 2018년에는 4,731백만 달러로 떨어졌고 2019년에는 1,409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 기간에 걸쳐 비교적 큰 변동성을 보이며, 특정 시점의 큰 증가가 반복적으로 나타난 반면 2019년 말에는 큰 축소가 관찰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되는 현금(사용)
- 대체로 음수 흐름이 우세하며, 2005년에서 2008년까지는 약 -1,096에서 -2,737백만 달러 범위의 지출이 지속되었다. 2009년에는 대규모의 큰 음수 흐름으로 -14,767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이 시점의 자본투자 강화가 두드러진다. 그 이후로 2010년에는 약 135백만 달러의 소폭 흑자를 보였으나, 2011년부터 다시 음수로 전환되며 2012년까지 -2,687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1,469백만 달러와 -3,105백만 달러로 재차 큰 투자가 이어졌고, 2015년과 2016년에도 -1,350백만 달러 및 -3,479백만 달러로 상당한 자본지출이 지속되었다. 2017년에는 4,274백만 달러의 흑자(대규모 매각 또는 투자자산 회수 가능성)가 나타났지만,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2,462백만 달러와 -2,313백만 달러로 다시 음수로 돌아갔다. 전반적으로 대다수 연도에 걸쳐 음의 흐름이 우세하며, 특정 시점의 큰 흑자나 흑자 전환은 자산 매각이나 대규모 투자 회수와 같은 비정상적 이벤트와 연관된 패턴이 드물지 않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현금
- 2005년부터 2008년까지는 비교적 일관되게 음수 흐름이 나타났으며, 각각 약 -2,508에서 -978백만 달러 사이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12,659백만 달러의 큰 양의 재무활동 현금 흐름이 발생했고, 이후 2010년에는 소폭 음수로 돌아섰다(-178백만 달러). 그 뒤로 2011년에서 2019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음의 흐름이 주를 이뤄며, 연간 대규모 자금조달의 사용으로 나타나는 기간이 많았다. 특히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흐름은 점차 더 큰 음수로 악화되어 2019년에는 -11,550백만 달러로 마감된다. 2009년의 단일 대규모 조달 이후에는 자금조달 활동이 주로 지출로 상쇄되는 모습이 반복되며, 재무활동이 순현금 소요의 주요 원천으로 작용한 기간이 길게 나타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주어진 기간은 2005년 말부터 2019년 말까지의 연간 수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 보고서의 맥락에서 관찰되는 패턴은 특정 시점의 급변과 이후의 재정적 재정렬로 요약된다.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 주당순이익은 대체로 비슷한 흐름을 보이며, 배당금은 수익성 변화에 비해 다소 완만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아래는 각 지표별로 관찰된 주요 패턴의 요약이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 14.07달러로 시작해 2006년 11.61, 2007년 9.09로 점차 하락하다가 2008년과 2009년 말에는 1달러대까지 급락한다. 이후 2010년부터 부분적으로 회복되며 2011년 6.18, 2012년 2.13으로 변동성을 보이다가 2013년 11.16, 2014년 8.73, 2015년 19.35로 급등한 이후 2016년 10.71로 다시 하락한다. 2017년에는 2.76로 더 큰 폭의 감소를 보이고, 2018년 4.98, 2019년 0.67로 마감하며 큰 변동성을 재확인한다. 이 지표는 2008–2009년의 충격 이후 대체로 회복 구간을 보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재정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기본 EPS와 동일한 연도별 흐름을 따르며, 2005년 13.86에서 시작해 2009년 말 0.96까지 급락한 뒤 2010년 이후 점진적으로 회복된다. 2013년 11.04, 2014년 8.61, 2015년 18.45, 2016년 10.56으로 변동성이 큰 구간이 이어지고, 2017년 2.73, 2018년 4.95, 2019년 0.67로 마감한다. 기본 EPS와의 차이는 연도에 따라 소폭 존재하지만 전반적으로 같은 패턴을 나타내며, 외부 충격과 수익성의 변화가 반영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주당 배당금
- 2005년 4.02에서 시작해 2006년 4.50, 2007년 4.92, 2008년 5.04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다가 2009년 1.80으로 대폭 감소한다. 2010년에도 1.80을 유지한 후 2011년 2.70, 2012년 3.63, 2013년 3.84, 2014년 4.59, 2015년 5.16, 2016년 5.52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2016년을 정점에 근접한다. 이후 2017년 5.28, 2018년 4.56으로 소폭 감소하고 2019년에는 2.16로 큰 폭으로 하락한다. 전반적으로 수익성 변화에 따른 배당의 민감도는 존재하나, 초기의 급등·급락 구간을 거쳐 중장기적으로는 완만한 움직임을 보이다가 하락 국면으로 마무리되는 패턴이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