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대차대조표는 채권자, 투자자 및 분석가에게 회사의 자원(자산)과 자본 출처(자본 및 부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회사 자산의 미래 수익 능력에 대한 정보와 미수금 및 재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금 흐름에 대한 표시를 제공합니다.
부채는 과거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사의 의무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해결은 기업으로부터 경제적 이익의 유출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 채무 구조와 유동성에 관한 추세
- 단기차입금과 금융리스채무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특히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크게 상승하였다. 미지급금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감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동부채 역시 2017년 이후 급증하여 2018년 정점을 찍었으며, 2019년에는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장기 부채(1년 이내 부채 제외) 역시 같은 기간 동안 증가 추세를 보이지만, 2019년에는 경우에 따라 급감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2018년 대비 상당히 축소된 것으로 해석된다. 비유동 부채는 2015년부터 계속해서 증가해왔으며, 2018년 정점을 기록한 후 2019년에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종합적으로, 회사의 유동성과 부채 부담은 2017년 이후 상당한 증가를 겪은 후 2019년 들어 일부 축소 또는 안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자본 구조와 자본적정성
- 총 자본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017년에는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2018년과 2019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여전히 2015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듀폰 주주 지분 합계는 2017년 급증하였다가 이후 2019년까지 점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대규모 자본 유입 후 일부 축소를 경험하였음을 시사한다. 총 부채와 자본 비율인 총 부채는 2017년을 기점으로 크게 상승한 후 2018년 정점에 이르렀으며, 2019년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자본과 부채 간의 비율이 2017년 이후 변화하며 재무구조 개선이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적립 이익금은 일시적 증감은 있더라도 2019년에는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하면서 재무 안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수익성과 재무 성과의 변화
- 이익잉여금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19년에는 급격한 적자로 전환되면서 손실 규모가 확대되었다. 기타 종합적 손실 역시 2019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누적 손실은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추가 납입 자본금은 2017년 이후 급증하여, 자본 확충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듀폰 주주 지분은 2017년 이후 일부 축소되었으며, 이는 손익의 악화와 관련이 깊다. 종합하면, 회사는 2017년 이후 수익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며, 2019년에는 적자 확대와 연결된 재무적 도전 과제를 직면하였다.
- 주주 지분과 지분구조의 변화
- 보통주는 2015년 이후 큰 변동 없이 아주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주요 자본 확충은 2017년 이후 추가 납입 자본금의 급증에 기인한다. 우선주는 2015년 이후 정보가 누락되어 있으나, 주주 지분 내에서 의미 있는 규모를 차지하였다. 지분 구조상 듀폰 주주 지분은 2017년 이후 상당한 규모로 변화했으며, 일부 자본 조달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비지배 지분 역시 전체 지분 구조 변화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체 자본 규모는 2017년 이후 급증한 후 2019년에는 상당히 축소되었으며, 이는 자본 재구조화 및 손실 회복에 따른 조정으로 판단된다.
- 총 재무 구조와 패턴
- 총 부채와 자본 합계는 전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7년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에 걸쳐 상당히 축소되었으며, 이는 부채 감축과 재무 구조 조정의 움직임을 시사한다. 2019년의 경우 자본과 부채 모두 하락하는 모습으로, 재무 안정성 확보와 손실 조정이 이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기간 내에는 부채 증가와 자본 확충이 병행되어 재무 구조가 크게 변화하였으며, 마지막 연도에는 재무 안정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