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 자산
분기별 데이터
대차대조표는 채권자, 투자자 및 분석가에게 회사의 자원(자산)과 자본 출처(자본 및 부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회사 자산의 미래 수익 능력에 대한 정보와 미수금 및 재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금 흐름에 대한 표시를 제공합니다.
자산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회사가 통제하고 미래의 경제적 이익이 기업으로 흘러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자원입니다.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 유동 자산
- 전체 기간 동안 유동 자산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으며, 2019년 6월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19년 6월과 2020년 6월 사이에 두드러진 상승이 관찰되며, 2020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자산 유동성 확보 또는 단기 유동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조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초기에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19년 이후부터는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2020년 상승 이후 투자와 운영자금 확보를 위한 현금 유동성 확보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현금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재무적 안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 정산 예치금 및 가맹점 유동
- 이 항목은 2019년 이후 큰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된 수치를 유지하다가, 2021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이는 가맹점 수수료 또는 정산 유동성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영업 활동의 확장 또는 거래처 수 증가를 반영할 수 있다.
- 매출채권, 신용손실충당금 순
- 이 항목은 2018년에서 2019년 사이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2021년 이후 다시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약간의 변동이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신용 손실 충당금 관리가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기타 미수금
- 이 항목은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수치가 변화하며, 2022년 이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미수금이 다소 늘어났음을 의미하며, 고객 채권 회수 과정이나 특정 거래처와의 정산 기간이 길어지고 있음을 암시할 수 있다.
- 자산 구조와 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은 2018년 이후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특히 2019년 이후 급증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이는 무형자산과 소프트웨어 자산의 증대로 나타나며, 기술 투자 또는 인수합병으로 대규모 무형자산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총 자산은 전체적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2022년에는 60조를 넘어서면서 회사 규모가 확대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무형자산, 순 자산 및 소프트웨어
- 무형자산은 2018년 이후 계속적으로 증가하며, 2022년까지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소프트웨어 자산도 꾸준히 증가했으며, 이는 내부 기술 역량 강화나 제품 개발 활동의 활발함을 반영한다. 이와 함께 이연 계약 비용도 증가하는 추세로 제품 및 서비스 계약에 따른 비용 발생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이연 계약 비용, 순
- 이 항목은 2018년 초반에는 소폭 증가하다가 2020년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이다. 이는 계약 기반 수익 실현을 위한 선행 비용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회사의 장기 계약 체결 또는 구독형 서비스 확대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 총 자산
- 전체 자산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23년에는 약 61조 원 규모에 달한다. 이는 영업 및 자산 확보 전략의 성공과 회사의 성장세를 반영하는 결과 또는 인수합병 등의 자산 확장 활동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요약 평가
- 전체적으로 볼 때, 해당 기업은 2018년 이후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왔으며, 특히 무형자산과 유동 자산의 증가는 기술력 확보와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해석될 수 있다. 동시에, 신용 관련 자산과 단기 유동성을 적절히 관리하면서 재무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장기적 성장 기반을 강화하는 전략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