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delity N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 은 3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뱅킹 솔루션(뱅킹); Merchant Solutions(가맹점); 및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뱅킹 솔루션(뱅킹) | 42.56% | 44.93% | 43.00% | 41.78% | 39.50%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 47.31% | 50.31% | 46.51% | 49.38% | 21.38%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 49.76% | 48.44% | 47.01% | 46.14% | 45.2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뱅킹 솔루션(뱅킹)⸺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뱅킹 솔루션 부문의 이익률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8년 39.5%에서 2020년 43%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21년에 44.93%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42.56%를 기록하며 약간의 조정을 나타냈습니다. 이 추이는 해당 부문의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안정되고 향상되어 왔음을 시사하지만, 2022년에는 일시적인 변동이나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 Merchant Solutions(판매자)⸺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의 이익률은 2018년 21.38%로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였으나, 2019년과 2020년 두 해 동안 급격하게 상승하여 각각 49.38%, 46.51%를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2021년에는 50.31%로 지속적인 강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약간 하락하여 47.31%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광고나 결제 처리 수수료 등 판매자 서비스를 통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반영할 수 있으며, 2022년에는 약간의 조정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자본 시장 부문은 전체 기간 동안 꾸준한 수익성을 보여 왔으며, 45.21%에서 시작하여 2022년에는 49.76%까지 상승하였습니다. 매년 점진적이거나 미세한 상승세를 유지하며, 이익률은 47%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상승은 자본 시장 관련 서비스의 수익성이 안정적이고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회사 전체의 수익성과 관련된 핵심 부문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뱅킹 솔루션(뱅킹)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조정 EBITDA | 2,854) | 2,874) | 2,556) | 2,454) | 2,256) |
수익 | 6,706) | 6,396) | 5,944) | 5,873) | 5,712)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42.56% | 44.93% | 43.00% | 41.78% | 39.5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조정 EBITDA ÷ 수익
= 100 × 2,854 ÷ 6,706 = 42.56%
- 조정 EBITDA
-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조정 EBITDA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 2,256백만 달러에서 2021년 2,874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약간의 감소를 보여 2,854백만 달러에 머물렀습니다. 이는 전반적으로 수익성 측면에서 강화되고 있었던 흐름이 일부 조정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수익
- 수익은 2018년 5,712백만 달러에서 2022년 6,706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양호한 편입니다. 특히 2019년 이후로는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어, 영업 활동의 확장 및 시장 내 위치 강화가 확인됩니다. 2022년 수익 증가는 전반적 성장세를 견인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39.5%에서 2020년 43%까지 상승하였으며, 2021년에는 44.93%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2022년에는 42.56%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일부 수익성과 수익률이 부진하여 원가구조 또는 기타 비용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이익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수익성 강화를 보여줍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Merchant Solutions (가맹점)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조정 EBITDA | 2,258) | 2,262) | 1,752) | 994) | 59) |
수익 | 4,773) | 4,496) | 3,767) | 2,013) | 276)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47.31% | 50.31% | 46.51% | 49.38% | 21.3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조정 EBITDA ÷ 수익
= 100 × 2,258 ÷ 4,773 = 47.31%
- 조정 EBITDA
- 조정 EBITDA는 2018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 왔으나, 2019년 급증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다소 정체 또는 소폭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구체적으로, 2018년 59,994백만 달러에서 2019년 1,752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이후 2020년 2,262백만 달러, 2021년 2,258백만 달러로 변화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패턴은 일시적 변동성을 시사하며, 장기적인 성장세는 유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수익
- 수익은 전반적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8년 276백만 달러에서 2019년 2,013백만 달러로 급증했고, 이후 2020년 3,767백만 달러, 2021년 4,496백만 달러, 2022년 4,773백만 달러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성장은 특히 2018년 대비 2019년 상승폭이 매우 크며, 이후 연도별 성장 폭도 지속되고 있어, 회사의 매출 규모가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21.38%에서 급격히 상승하여 2019년 49.38%까지 도달하였으며, 이후 2020년 46.51%, 2021년 50.31%, 2022년 47.31%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지표는 회사의 수익성 향상과 비용 효율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2019년의 이익률 급증은 한 해 동안의 비용 구조 개선 또는 수익성 향상 전략이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이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수익성 측면에서 견고한 재무 성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자본시장 솔루션 (Capital Markets)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조정 EBITDA | 1,375) | 1,271) | 1,147) | 1,129) | 1,081) |
수익 | 2,763) | 2,624) | 2,440) | 2,447) | 2,391)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49.76% | 48.44% | 47.01% | 46.14% | 45.2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조정 EBITDA ÷ 수익
= 100 × 1,375 ÷ 2,763 = 49.76%
- 조정 EBITDA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21년과 2022년에 가파른 상승이 관찰됩니다. 2018년 1,081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1,375백만 달러로 약 27%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수익성과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비용 통제 또는 수익성 향상 전략의 성공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수익
- 수익 역시 2018년 2,391백만 달러에서 2022년 2,763백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연평균 성장률은 대략 4% 내외로 나타나며, 수익 증가는 시장 확대 또는 고객 기반 확대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익 증가는 기업의 성장 정상궤도에 있음을 시사하며, 각각의 연도별 성장 추세는 회사의 사업 활동이 안정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45.21%에서 2022년 49.76%로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비용 절감 또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회사의 전반적인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운영 효율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기업이 시장 내 경쟁력 유지에 성공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뱅킹 솔루션(뱅킹) | 0.83 | 0.76 | 0.97 | 1.18 | 0.98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 1.43 | 1.16 | 1.20 | 1.22 | 1.10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 0.83 | 0.70 | 0.82 | 1.24 | 1.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뱅킹 솔루션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감가상각 비율이 소폭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후 2020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2021년에는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다가 2022년에는 일정 부분 회복되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해당 부문의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율과 연관되어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자본 투자의 수준과 감가상각 정책의 변동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이 부문은 전반적으로 감가상각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1.1에서 출발하여 2019년에는 1.22로 소폭 상승했으며, 이후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1.2 및 1.16으로 일시적 조정을 겪었으나, 2022년에는 다시 1.43으로 급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판매자 솔루션 부문에서 자본 지출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거나, 감가상각 정책이 변화하면서 해당 지표가 상승하는 경향을 시사합니다.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이 부문에서는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1.3과 1.2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0.82와 0.7로 큰 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후 2022년에는 0.83으로 소폭 회복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2018~2019년에 비해 낮은 감가상각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본 시장 부문의 자본 투자가 줄거나 감가상각 정책이 조정됨에 따른 변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뱅킹 솔루션(뱅킹)
Fidelity N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 뱅킹 솔루션(뱅킹);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494) | 442) | 498) | 617) | 485)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597) | 583) | 513) | 523) | 494)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3 | 0.76 | 0.97 | 1.18 | 0.9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494 ÷ 597 = 0.83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는 485백만 달러였으며, 2019년까지 617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후 2020년에는 498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한 후, 2021년에는 다시 442백만 달러로 낮아졌으며, 2022년에는 소폭 상승하여 49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 패턴은 일정한 투자 활동 지속을 시사하며, 급격한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적임을 보여준다.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8년부터 2022년 사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8년에는 494백만 달러였으며, 2019년에는 523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2020년에는 513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이후 2021년에는 다시 583백만 달러로 상승하였다. 2022년에는 597백만 달러로 계속 증가하며, 감가상각 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이는 장기적인 자산의 감가상각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비용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2018년과 2020년에는 각각 0.98과 0.97로 거의 1에 가까운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과 거의 일치하거나 약간 낮음을 의미한다. 2019년에는 1.18로 상승했으며, 이 시기에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0.76과 0.83으로 다시 낮아지면서,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동은 투자 및 자산 처분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위한 비용과 투자의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Merchant Solutions (가맹점)
Fidelity N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 Merchant Solutions(판매자);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514) | 401) | 365) | 144) | 11)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360) | 346) | 305) | 118) | 10)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1.43 | 1.16 | 1.20 | 1.22 | 1.1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514 ÷ 360 = 1.43
- 자본 지출의 추세
- 2018년에서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11백만 달러였던 자본 지출은 2019년 144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이후 2020년 365백만 달러, 2021년 401백만 달러, 2022년에는 514백만 달러에 이르러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회사가 설비투자 또는 자본적 지출을 통해 사업 확장 또는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의 추이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2018년 10백만 달러였던 비용은 2019년 118백만 달러로 큰 폭의 상승을 나타내었으며, 2020년 305백만 달러, 2021년 346백만 달러, 2022년 360백만 달러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역시 자본적 지출과 함께 사업 규모의 확장 또는 자산 가치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감가상각 비용 대비 자본 지출 비율을 의미하며, 2018년의 1.1에서 2019년 1.22로 상승한 후 2020년과 2021년에 1.2와 1.16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1.43으로 다시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감가상각비에 비해 자본 지출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가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장기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전략적 의도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자본시장 솔루션 (Capital Markets)
Fidelity N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283) | 229) | 223) | 269) | 206)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342) | 329) | 273) | 217) | 158)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3 | 0.70 | 0.82 | 1.24 | 1.3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 283 ÷ 342 = 0.83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206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9년 269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이후 2020년 223백만 달러, 2021년 229백만 달러, 2022년 283백만 달러로 변동이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성장 흐름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회사가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 또는 시설 확장에 적극적임을 시사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8년 158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9년 217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후 2020년 273백만 달러, 2021년 329백만 달러, 2022년 342백만 달러로 점차 상승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자본 지출과 연계하여 자산 규모 또는 아산화가 증가했거나, 자본 투자의 규모와 일치하는 감가상각 비용이 원가에 반영되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1.3에서 시작하여, 2019년 1.24로 낮아졌다가 2020년 0.82, 2021년 0.7, 2022년 0.83으로 변동을 보여주고 있다. 해당 비율이 낮아진 2020년과 2021년은 자본 지출 대비 감가상각이 비교적 큰 폭으로 성장하였음을 반영한다. 특히 2021년에는 비율이 가장 낮아져, 감가상각이 자본 투자에 비해 현저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인프라 또는 장비의 감가상각을 증대하거나, 신규 투자가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더 크지 않은 시기를 나타낼 수 있다. 2022년에는 비율이 다시 상승하여 일부 균형을 되찾은 것으로 보인다.
수익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뱅킹 솔루션(뱅킹) | 6,706) | 6,396) | 5,944) | 5,873) | 5,712)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 4,773) | 4,496) | 3,767) | 2,013) | 276)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 2,763) | 2,624) | 2,440) | 2,447) | 2,391) |
법인 및 기타 | 286) | 361) | 401) | —) | 44) |
합계 | 14,528) | 13,877) | 12,552) | 10,333) | 8,42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운영 수익의 전반적인 성장 추세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 수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 8423백만 달러에서 2022년 14528백만 달러로 약 72.5% 증가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성장은 연평균 성장률을 감안할 때 꾸준한 시장 확대 또는 사업 분야별 성과 향상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개별 사업 부문별 분석
-
뱅킹 솔루션 부문은 연도별 일정한 성장세를 나타내며, 2018년 5712백만 달러에서 2022년 6706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수익이 꾸준히 늘어난 모습이 관찰됩니다.
Merchant Solutions 부문은 2018년 상당히 낮았던 276백만 달러에서 2019년 2013백만 달러로 급증하였고, 이후 연이어 성장하여 2022년 4773백만 달러에 달해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2019년 이후 강력한 성장세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본 시장 솔루션 역시 연평균 성장률이 안정적이며 2018년 2391백만 달러에서 2022년 2763백만 달러로 증가하였고, 지속적인 수익 성장을 보여줍니다.
법인 및 기타 부문은 데이터가 2019년 이후 누락되어 있으며, 2020년 이후에는 361백만 달러와 286백만 달러로 약간의 변동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수익이 정체 또는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전체적 수익 증대 및 부문의 기여도 변화
-
전체 수익 증가는 여러 사업 부문에서의 성장 덕분에 균형 있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특히 Merchant Solutions의 비중이 급증하며 전체 성장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뱅킹 부문의 안정적 성장은 지속적인 고객 기반 유지를 시사하며, 자본 시장 부문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전체적인 수익 다변화와 포트폴리오 강화를 시사합니다.
한편, 법인 및 기타 부문의 데이터가 부재하여 이 부문의 영향력은 파악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흐름은 성장을 지속하는 방향임에 틀림없으며, 각 부문별 전략적 강화가 회사의 지속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감가상각 및 상각(구매 회계 상각 포함)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뱅킹 솔루션(뱅킹) | 597) | 583) | 513) | 523) | 494)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 360) | 346) | 305) | 118) | 10)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 342) | 329) | 273) | 217) | 158) |
법인 및 기타 | 2,547) | 2,757) | 2,623) | 1,586) | 758) |
합계 | 3,846) | 4,015) | 3,714) | 2,444) | 1,42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첫 번째로 관찰되는 점은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것입니다. 2018년 약 1,420백만 달러에서 2022년 약 3,846백만 달러로 증가하여, 약 2.7배 가량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자본 집행 또는 자산 규모의 확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각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법인 및 기타 부문의 감가상각 비용이 가장 크며, 2018년 758백만 달러에서 2022년 2,547백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 부문은 특히 2019년과 2020년에 걸쳐 상당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이후에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해당 부문에서의 자산 증가 또는 고가 자산의 상각이 활성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면, 뱅킹 솔루션 부문의 감가상각 비용은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점진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494백만 달러에서 2022년 597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 부문은 전체 감가상각 비용에서 상대적으로 작음을 감안할 때, 비교적 안정적인 자산 구성과 활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판매자(merchant solutions) 부문과 자본 시장 부문도 각각 상승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판매자 부문은 2018년 10백만 달러에서 2022년 360백만 달러로 증가했고, 자본 시장 부문은 158백만 달러에서 342백만 달러로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증가 역시 해당 부문들의 자산 증대나 사업 확장과 연관된 변화임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각 부문에서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이 모두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산 규모의 확대 또는 업계 전반의 투자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법인 및 기타 부문은 급격한 상승이 지속되어, 이 부문의 성장 또는 자산 활용이 활발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증가세는 향후 자산 관리 전략, 투자 정책 및 사업 확장 계획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조정 EBITDA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뱅킹 솔루션(뱅킹) | 2,854) | 2,874) | 2,556) | 2,454) | 2,256)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 2,258) | 2,262) | 1,752) | 994) | 59)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 1,375) | 1,271) | 1,147) | 1,129) | 1,081) |
법인 및 기타 | (292) | (290) | (195) | (373) | (263) |
합계 | 6,195) | 6,117) | 5,260) | 4,204) | 3,13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일반적인 수익성 패턴 및 성장 추세
- 전체 조정 EBITDA 수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증가가 관찰됩니다. 2018년의 3,133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6,195백만 달러로 두 배 이상 증대되어, 회사의 영업수익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한 증가 흐름은 기업의 여러 핵심 사업 부문에서의 성과가 개선되었음을 나타내며, 특히 Merchant Solutions와 자본 시장 솔루션 부문에서의 성장률이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 각 사업 부문별 성과 동향
- 뱅킹 솔루션 부문은 2018년 2,256백만 달러에서 2022년 2,854백만 달러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 이후 큰 폭의 상승을 보여줍니다. Merchant Solutions 부문은 2018년 상당히 낮았으며, 2019년 급격히 증가하여 994백만 달러를 기록한 후, 이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본 시장 솔루션도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2018년 1,081백만 달러에서 2022년 1,375백만 달러에 도달하였으며, 성과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법인 및 기타 부문은 손실이 지속되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적자를 유지하였고, 이러한 부문은 구조적인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총괄적 관점
- 전반적으로, 이 기업은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강화의 추세 내에 있으며, 핵심 부문인 은행 솔루션, 판매자 솔루션, 자본 시장 솔루션에서의 성과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일부 부문에서는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해당 부문에 대한 효율성 제고 및 비용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인 성장 기류 속에서, 수익성 향상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집니다.
자본 지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뱅킹 솔루션(뱅킹) | 494) | 442) | 498) | 617) | 485) |
Merchant Solutions(판매자) | 514) | 401) | 365) | 144) | 11) |
자본 시장 솔루션(자본 시장) | 283) | 229) | 223) | 269) | 206) |
법인 및 기타 | 162) | 214) | 64) | 13) | 11) |
합계 | 1,453) | 1,286) | 1,150) | 1,043) | 71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자본 지출 추세 분석
- 전체적으로 회사의 자본 지출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19년 이후에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8년 7억 1300만 달러였던 전체 자본 지출은 2019년 10억 4300만 달러로 대폭 증가했으며, 이후 2020년 11억 500만 달러, 2021년 12억 8600만 달러, 2022년 14억 5300만 달러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세부 분야별 자본 지출 변화
- 뱅킹 솔루션 분야는 2018년 이후 지속적인 변동을 보였으며, 2019년 급증했던 이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거나 약간의 변동이 나타났습니다. 2018년 4억 8500만 달러였던 자본 지출은 2019년 6억 1700만 달러로 증가했고, 이후 2020년 4억 9800만 달러, 2021년 4억 4200만 달러, 2022년 4억 9400만 달러로 평탄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판매자 솔루션은 2018년 1100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9년 1억 4400만 달러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2020년 3억 6500만 달러, 2021년 4억 10만 달러, 2022년 5억 1400만 달러로 연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디지털 결제나 전자상거래 관련 서비스 수요 증가와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본 시장 솔루션은 비교적 안정적인 패턴을 보입니다. 2018년 2억 6000만 달러에서 2019년 2억 69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이후 2020년 2억 2300만 달러, 2021년 2억 2900만 달러, 2022년 2억 8300만 달러로 나타나 강한 성장 대신 점진적 증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법인 및 기타 분야는 급격한 변동이 관찰되는데, 2018년 1억 1000만 달러에서 2019년 1억 3000만 달러로 소폭 상승을 시작으로, 2020년 6억 4000만 달러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후 2021년 2억 1400만 달러까지 감소했으나, 다시 2022년 1억 6200만 달러로 나타나 변화가 크고 불규칙적입니다. 이러한 변동은 해당 부문의 프로젝트 또는 투자 전략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