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FIS 보통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본 분석은 제공된 연간 재무 데이터의 주요 패턴과 변화를 요약한 것이다. 모든 수치는 US$ 단위의 백만 달러이며, 빈 값은 누락 데이터를 의미한다.
- 수익의 시계열 특징
- 단위: 백만 달러. 전체 기간 동안 수익은 2005년 2766에서 시작해 2022년 14528로 증가하는 상승 추세를 보였다. 2008년 3446과 2009년 3770에서 소폭 증가로 전환되었고, 이후 2010년대에 걸쳐 완만한 상승을 지속했다. 2015년 6595에서 2016년 9241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19년 10333, 2020년 12552, 2021년 13877, 2022년 14528로 연속적으로 상승했다.
- 영업이익의 시계열 특징
-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437에서 시작해 2012년 1079까지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으나 2008년 335, 2009년 278로 중간에 하락이 있었다. 2010년 801로 반등했고 2014년 1271로 피크에 근접했다. 2015년 1099로 소폭 하락한 뒤 2016년 1298, 2017년 1492로 점진적으로 회복했다. 2018년 1458로 소폭 감소했고 2019년 969로 다시 하락했으며 2020년 552로 바닥을 찍었다. 2021년에는 1055로 반등했으나 2022년에는 -16119로 급격한 음수로 기록되어, 연간 이익 창출 능력에 극단적인 변동을 보여주었다.
- 보통주 귀속 순이익의 시계열 특징
-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197에서 시작해 2007년 561로 증가했고 2008년 215, 2009년 106으로 감소했다. 2010년 405로 회복하고 2011년 470, 2012년 461, 2013년 493, 2014년 679로 상승했다. 2015년 632, 2016년 568으로 소폭 하락했고 2017년 1319로 급등했다. 2018년 846으로 감소했고 2019년 298, 2020년 158로 약화되었다가 2021년 417로 소폭 반등했다. 2022년에는 -16720으로 큰 음수로 기록되어 연간 순이익에 큰 손실이 나타났다.
요약하면, 매출은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2022년에도 상승 흐름이 유지되었다.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2년의 큰 음수로 인해 급격한 변동성과 손실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향후 수익성 개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본 데이터의 기간은 2005년 말부터 2022년 말까지 두 재무 지표의 연도별 수치를 제시하고 있다. 관찰 가능한 특징은 초기의 점진적 증가, 중반의 변동성, 그리고 후반부의 급격한 확대와 그에 따른 조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 유동 자산
- 유동 자산은 791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22년 12월 31일에 12,818백만 달러로 증가했다. 기간 전반에는 연도별로 다소 변동이 나타났지만, 2015년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2019년 이후에도 2020년, 2021년,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2018년 대비 2019년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후 높은 수치를 계속 유지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05년 4,189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07년까지 빠르게 증가한 뒤 2008년 소폭 감소를 보였고, 2009년에서 2014년까지 재차 증가했다. 2015년에는 26,269백만 달러로 급격히 확대되었고, 2016년 26,031백만 달러, 2017년 24,517백만 달러, 2018년 23,770백만 달러로 일부 조정됐다. 이후 2019년 83,806백만 달러로 대폭 증가했고, 2020년 83,842백만 달러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1년 82,931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 2022년에는 63,278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했다. 이러한 흐름은 중장기적으로 대규모 확장 시점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총 FIS 주주 자본 |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기간에 걸친 유동부채와 총 부채, 주주 자본의 흐름은 2015년 이후에 급격한 규모 확대로 나타나며, 특히 2019년 이후의 증가가 상반된 구조를 보입니다. 유동부채의 증가 속도는 2018년까지 비교적 완만하다가 2019년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되었고, 총 부채의 두 버전은 2015년경 급등과 2019년~2021년 사이의 추가 상승을 동반합니다. 반면 주주 자본은 2019년 이후 대단히 큰 상승을 보였다가 2022년에는 다소 축소되는 흐름을 보입니다. 이들 패턴은 자본조달 구조가 2019년 전후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이후의 데이터는 그 변화의 지속 여부를 확인하는 데 중요합니다.
- 유동부채
- 2005년 598에서 2022년 16224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2018년까지는 비교적 완만한 상승이나 2010년대 중반에 약간의 변동이 있었으나, 2019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모습이 뚜렷하다. 2019년 10382를 기점으로 2020년 12361, 2021년 14466, 2022년 16224로 이어지며 약 27배에 가까운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급속한 상승은 단기간에 단기 채무의 증가 또는 단기적 유동성 확보를 위한 조달 활동이 크게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 총 부채(A 버전)
- 2005년 3481에서 2014년 7829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5년 16862로 급등한다. 이후 2016년 16186, 2017년 13573, 2018년 13548로 소폭 감소 또는 안정화되는 흐름을 보이다가 2019년 34350, 2020년 34355, 2021년 35399로 다시 크게 증가한다. 2022년까지의 값은 제공된 데이터에서 2022년 수치가 누락되지 않는 한 34350~35872 구간에서 유지되며, 2015년 이후의 급격한 증가와 2019년 이후의 지속적 높은 수준이 특징이다.
- 총 부채(B 버전)
- 2005년 2564에서 시작해 2014년 5068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5년 11513으로 급격히 상승한다. 이후 2016년 10478, 2017년 8763, 2018년 8985로 감소 또는 완화되다 2019년 20192로 다시 크게 증가하고 2020년 20015, 2021년 20353으로 이어진다. 2022년 수치는 누락되어 있어 비교를 완전하게 마무리하기 어렵지만, 2015년 이후의 급등과 2019년 이후의 재급등 패턴은 버전 A와 유사한 방향성을 보인다. 누락된 2022년 데이터의 확인이 필요하다.
- 총 FIS 주주 자본
- 2005년 695에서 시작해 2006년 3143, 2007년 3781, 2008년 3533, 2009년 8309, 2010년 6403 등으로 점진적 변화를 거친 뒤 2015년 9321, 2016년 9741, 2017년 10835, 2018년 10215로 소폭 등락한다. 그러나 2019년 49440으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2020년 49300으로 다소 감소한 뒤 2021년 47347, 2022년 27218로 다시 축소된다. 2019년의 급등은 구조적 변화나 비정기적 항목의 반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후 회귀로 2022년에는 초기 대비 축소된 수준이 나타난다. 이 흐름은 자본구조가 2019년 이후 크게 재편되었음을 시사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2005년부터 2012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으며, 2011년까지는 안정적인 상승세가 유지되었다. 특히 2012년 이후로는 급격한 증가가 나타나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442백만 달러와 4,810백만 달러에 달하는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는 조직의 핵심 사업이 수익성과 현금창출 능력에서 강한 성과를 일관되게 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2005년 이후 일부 해에는 현금 유입이 기록되었으나(2009년 249백만 달러, 2010년 -644백만 달러 등), 대부분의 기간 동안은 투자 활동에 따른 현금 유출이 지속된 모습이다. 특히 2012년부터 2021년까지는 큰 폭의 투자 지출이 발생하였으며, 2014년과 2018년에는 상당한 금액의 투자 지출이 확인되었다. 2020년 이후에는 투자 지출 규모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투자 활동이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2005년부터 2012년까지는 비교적 변동이 크지 않거나 중립적, 또는 부정적인 흐름이 나타난 후,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현금이 유입되는 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기간 뒤 2017년부터 2022년까지는 상당한 자금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2015년과 2018년 같은 해에 각각 큰 규모의 현금 유입과 유출이 기록되었으며, 2020년과 2022년에는 현금 유출이 크게 늘어난 모습이 관찰된다. 이는 자본 조달, 배당금 지급 또는 부채 상환과 같은 재무 활동이 대규모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다음은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찰된 추세를 요약한 분석이다. 각 항목은 미국 달러 단위로 표시되며, 빈 값은 누락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분석은 다년간의 흐름과 특정 시점의 급등/급락 등을 중심으로 서술되며, 패턴의 지속성과 예외를 함께 다룬다.
- 기본 주당순이익
- 전 기간에 걸쳐 변동성이 큰 편인데, 2005년 1.54에서 2007년 2.91으로 증가한 뒤 2008년(1.12)과 2009년(0.45)에 걸쳐 급락했다. 이후 2010년(1.17)부터 2012년(1.58)까지 비교적 회복되었고, 2013년(1.70)~2014년(2.38) 사이에는 추가 상승이 나타났다. 2015년(2.22)~2016년(1.74) 구간에서 다소 감소했다가 2017년(4.00)으로 큰 고점을 기록했고, 2018년(2.58)~2020년(0.26) 사이에는 다시 약세를 보였다. 2021년(0.68)에는 소폭 반등했으나 2022년에는 대폭 하락해 음수(-27.68)가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중장기적으로 큰 변동성과 특정 시점의 비정상적 손실을 포함하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기본 EPS와 유사한 방향성을 보였다. 2005년 1.53에서 2007년 2.86으로 상승했고, 2008년(1.11)과 2009년(0.44)에 급락했다. 이후 2010년(1.15)~2012년(1.55)까지 회복되었고, 2013년(1.68)~2014년(2.35) 사이에 다시 상승했다. 2015년(2.19)~2016년(1.72) 구간에서 소폭 하락한 뒤 2017년(3.93)로 최고점에 근접했다. 그 뒤 2018년(2.55)~2020년(0.25)까지 하락했고, 2021년(0.67) 소폭 반등한 뒤 2022년에는 기본 EPS와 마찬가지로 대폭 감소해 음수(-27.68)를 기록했다. 기본과 흐름이 유사하지만 미세한 차이로 움직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 주당 배당금
- 배당금은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연속적으로 0.20달러가 유지되었고, 2012년부터 대폭 상승하기 시작했다. 2012년 0.80에서 2013년 0.88, 2014년 0.96으로 증가 폭이 커졌고, 2015년~2016년 각각 1.04로 확대되었다. 2017년 1.16, 2018년 1.28, 2019년~2020년 1.40으로 이어지며 점진적 상승 추세를 보였다. 2021년 1.56, 2022년 1.88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수익성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현금 배당 정책은 2012년 이후 꾸준히 강화되는 흐름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