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분기별 데이터
손익 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회사의 사업 활동의 재무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손익 계산서는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했는지, 그리고 해당 수익 창출과 관련하여 어떤 비용이 발생했는지 알려줍니다.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Parker-Hannifin Corp.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Q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Q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Q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Q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10-Q (보고 날짜: 2017-12-31), 10-Q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7-06-30), 10-Q (보고 날짜: 2017-03-31), 10-Q (보고 날짜: 2016-12-31), 10-Q (보고 날짜: 2016-09-30).
- 전반적인 매출 추세와 성장률 분석
- 기간 전반에 걸쳐 순 매출액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6년 9월 30일 기준 약 2,743,131천 달러에서 2022년 12월 31일에는 4,082,387천 달러로 증가하였다. 중기적으로는 2016년 이후 꾸준한 매출 증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2017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2020년 이전까지는 계절적 변동이 있으며,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도 강한 성장세를 지속하였다. 그러나 2020년 이후 매출이 조금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지만, 여전히 전년 대비 증가는 유지되고 있어 전반적인 성과는 긍정적이다.
- 수익성 지표와 이익률 집약적 변화 동향
- 매출 총이익은 매출액 증가와 함께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016년 말 약 637백만 달러에서 2022년 말 약 1,438백만 달러까지 늘어났다. 이와 함께 매출 총이익률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원가 효율성과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업이익도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로, 2016년 314백만 달러에서 2022년 12월에는 601백만 달러에 달한다. 이러한 수익성의 개선은 매출 상승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 및 비용 효율화 전략이 병행된 것으로 분석된다.
- 비용 구조와 이자 비용의 변화
- 판매비, 일반관리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에 있으며, 특히 2019년 이후 상당히 급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의 증감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최근 몇 차례는 일부 비용 절감 노력으로 영업이익이 다소 회복되고 있다. 이자 비용은 전체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2019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부채 규모가 확대되었거나 금리 상승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 증가와 재무 건전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 순이익과 주주지분 배분
- 순이익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방향을 유지하며, 2016년 210백만 달러에서 2022년 말 395백만 달러까지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 이후 일정 수준 이상의 성장세를 지속,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보통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 역시 유사한 추세를 나타내며, 기업의 내부 배당 가능 이익 규모가 증가됨을 의미한다. 일부 기간에는 환산수익률(ROE 등) 품질 저하 가능성도 고려되지만, 전반적인 재무성과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기타 수입과 비용의 영향력
- 이외의 순수익은 전체적으로 변동성이 크고, 2019년 이후 특히 부정적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핵심 사업 또는 일회성 비용/수익의 변동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재무상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내역은 기업의 수익성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보조적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