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2-01), 10-K (보고 날짜: 2024-02-03), 10-K (보고 날짜: 2023-01-28),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K (보고 날짜: 2020-02-0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20년 이후로 현금 및 현금성자산 비중은 전체 총자산의 약 6%에서 16.61%까지 상승하다가, 2023년에는 다시 4.18%로 낮아졌고, 이후 2024년과 2025년에 걸쳐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동은 지급 능력 또는 유동성 확보 전략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2021년에 큰 폭으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패턴은 팬데믹 이후 일시적 유동성 확보 노력의 일환일 가능성이 있다.
- 목록(총 자산의 %)
- 목록의 비중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약 20%에서 25% 사이)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과 2023년에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이후 2024년과 2025년에 약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투자가치 또는 재고자산의 전략적 변화를 시사한다.
- 계정 및 기타 미수금
- 미수금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22년에는 약 1.55%, 2023년에는 2.19%까지 상승하였다. 이는 고객 또는 거래처로부터의 미수액이 어느 정도 높아졌음을 의미하며, 지급기간 또는 신용거래 정책에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 공급업체 미수금 및 선불 비용
- 공급업체 미수금 역시 약간씩 증가하는 양상(약 0.98%에서 0.99%)을 보여주고 있으며, 선불 비용은 전체 자산 대비 거의 일정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들 항목은 회사의 운영 유동성과 지불 조건, 계약 전략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기타 유동자산과 유동 자산 전체
- 기타 유동자산은 약 3% 내외에서 안정적이며, 유동 자산의 비율은 2020년 30%에서 2021년 급증하여 40%를 기록한 후, 이후 2023년에는 약 33%로 낮아졌다. 이후 약 34% 후반까지 회복세를 보이며 조정기를 거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단기 자산 확보 또는 유동성 운용의 전략적 재조정에 기인한다.
- 비유동자산 구조
- 전체 자산 중에서 재산 및 장비, 그물은 2020년 61.44%에서 2023년 이후 57%대 후반까지 낮아지고 있으며, 2024년 이후 다시 59%에 가까운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다. 운용리스 자산과 기타 비유동자산도 미미하지만 점차 증가하는 흐름을 보여, 비유동 자산의 비중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거나 구조 재편이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총 자산의 비중 변화와 의미
- 전반적으로 총 자산에서 유동자산 비중은 변동이 있으나 수년간 안정성을 유지하는 반면, 비유동자산은 2020년 이후 약간씩 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기업의 자산 배분 전략이 유동성 강화 또는 장기적 운용 자산 증가를 목표로 재조정되고 있음을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