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순이익(손실) |
---|---|---|---|
2024. 9. 29. | 38,962) | 10,071) | 10,142) |
2023. 9. 24. | 35,820) | 7,788) | 7,232) |
2022. 9. 25. | 44,200) | 15,860) | 12,936) |
2021. 9. 26. | 33,566) | 9,789) | 9,043) |
2020. 9. 27. | 23,531) | 6,255) | 5,198) |
2019. 9. 29. | 24,273) | 7,667) | 4,386) |
2018. 9. 30. | 22,732) | 742) | (4,864) |
2017. 9. 24. | 22,291) | 2,614) | 2,466) |
2016. 9. 25. | 23,554) | 6,495) | 5,705) |
2015. 9. 27. | 25,281) | 5,776) | 5,271) |
2014. 9. 28. | 26,487) | 7,550) | 7,967) |
2013. 9. 29. | 24,866) | 7,230) | 6,853) |
2012. 9. 30. | 19,121) | 5,682) | 6,109) |
2011. 9. 25. | 14,957) | 5,026) | 4,260) |
2010. 9. 26. | 10,991) | 3,283) | 3,247) |
2009. 9. 27. | 10,416) | 2,226) | 1,592) |
2008. 9. 28. | 11,142) | 3,730) | 3,160) |
2007. 9. 30. | 8,871) | 2,883) | 3,303) |
2006. 9. 24. | 7,526) | 2,690) | 2,470) |
2005. 9. 25. | 5,673) | 2,386) | 2,14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9), 10-K (보고 날짜: 2023-09-24), 10-K (보고 날짜: 2022-09-25), 10-K (보고 날짜: 2021-09-26), 10-K (보고 날짜: 2020-09-27), 10-K (보고 날짜: 2019-09-29),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24), 10-K (보고 날짜: 2016-09-25), 10-K (보고 날짜: 2015-09-27), 10-K (보고 날짜: 2014-09-28), 10-K (보고 날짜: 2013-09-29), 10-K (보고 날짜: 2012-09-30), 10-K (보고 날짜: 2011-09-25), 10-K (보고 날짜: 2010-09-26), 10-K (보고 날짜: 2009-09-27), 10-K (보고 날짜: 2008-09-28), 10-K (보고 날짜: 2007-09-30), 10-K (보고 날짜: 2006-09-24), 10-K (보고 날짜: 2005-09-25).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는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항목별 값을 US$ 백만 달러 단위로 제공하며, 빈 값은 누락 데이터를 의미한다. 내부 보고서 형식의 분석으로, 각 항목의 시계열에서 나타나는 추세와 변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둔다.
수익은 2005년 5673에서 2014년 26487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 기간 동안 연간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2011년 이후 두 자릿수에 이르는 성장세를 이어갔다. 2015년과 2016년에는 증가폭이 축소되었고, 2017년과 2018년에는 다소 완만한 상승 또는 정체를 보이며 2018년에는 주변 수치가 22732로 약간 낮아지는 흐름이 나타났다. 2019년 이후에는 회복되며 2021년(33566)과 2022년(44200)에서 급격한 증가를 기록했고, 2023년에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2024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38962에 이르렀다. 전반적으로는 초기 10여 년간의 강한 성장과 더불어 2015년 이후의 변동성 증가, 그리고 2021년~2022년의 재확대되는 성장 구간이 두드러진다.
영업이익은 2014년까지 상승 흐름을 유지하다가 2015년(5776)과 2016년(6495)에 소폭 하강했고, 2017년(2614)과 2018년(742)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의 급락은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용 구조나 특정 시점의 일회성 요소 등에 의해 왜곡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후 2019년(7667)에는 반등했고, 2020년(6255)에도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21년(9789)과 2022년(15860)에는 다시 급격한 상승이 나타났으며, 2023년(7788)과 2024년(10071)에는 하락 후 부분 회복의 양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는 매출 흐름과의 연관성이 있으나, 특정 기간에 비용 구조의 큰 변동이 영업이익의 흐름에 큰 영향을 준 구간이 존재한다.
순이익은 2018년에 큰 손실(-4864)을 기록하며 고점과 하락의 분기점을 형성했다. 2015년~2017년의 증가 추세를 지나 2018년의 급락으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었으며, 2019년(4386) 이후 다시 회복세를 보였다. 2021년(9043)과 2022년(12936)에는 견조한 증가를 이어갔고, 2023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7232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10142에 이르렀다. 전반적으로는 2018년의 손실 이후 회복과 성장의 흐름이 이어졌으나, 2023년의 감소가 재차 관측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매출 증가와 함께 이익률의 변동성도 함께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 수익의 특징
- 2005~2014년의 지속적 상승 이후 2015~2018년에는 성장 속도가 둔화. 2021년 이후 급격한 증가로 최고치에 근접했고 2023년 소폭 감소, 2024년 다시 상승.
- 영업이익의 특징
- 2014년까지 상승 후 2015~2018년 급락. 2019년 반등과 2021~2022년 큰 증가를 보인 뒤 2023년 재차 하락 및 2024년 소폭 반등.
- 순이익의 특징
- 2018년 큰 손실로 분기점 형성 후 2019년부터 회복. 2021~2022년 상승세 지속, 2023년 다소 감소, 2024년 다시 상승.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9. 29. | 25,231) | 55,154) |
2023. 9. 24. | 22,464) | 51,040) |
2022. 9. 25. | 20,724) | 49,014) |
2021. 9. 26. | 20,075) | 41,240) |
2020. 9. 27. | 18,519) | 35,594) |
2019. 9. 29. | 16,765) | 32,957) |
2018. 9. 30. | 17,384) | 32,686) |
2017. 9. 24. | 43,593) | 65,486) |
2016. 9. 25. | 22,981) | 52,359) |
2015. 9. 27. | 22,099) | 50,796) |
2014. 9. 28. | 22,413) | 48,574) |
2013. 9. 29. | 19,555) | 45,516) |
2012. 9. 30. | 15,645) | 43,012) |
2011. 9. 25. | 14,293) | 36,422) |
2010. 9. 26. | 12,133) | 30,572) |
2009. 9. 27. | 12,570) | 27,445) |
2008. 9. 28. | 11,723) | 24,563) |
2007. 9. 30. | 8,821) | 18,495) |
2006. 9. 24. | 7,049) | 15,208) |
2005. 9. 25. | 7,791) | 12,47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9), 10-K (보고 날짜: 2023-09-24), 10-K (보고 날짜: 2022-09-25), 10-K (보고 날짜: 2021-09-26), 10-K (보고 날짜: 2020-09-27), 10-K (보고 날짜: 2019-09-29),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24), 10-K (보고 날짜: 2016-09-25), 10-K (보고 날짜: 2015-09-27), 10-K (보고 날짜: 2014-09-28), 10-K (보고 날짜: 2013-09-29), 10-K (보고 날짜: 2012-09-30), 10-K (보고 날짜: 2011-09-25), 10-K (보고 날짜: 2010-09-26), 10-K (보고 날짜: 2009-09-27), 10-K (보고 날짜: 2008-09-28), 10-K (보고 날짜: 2007-09-30), 10-K (보고 날짜: 2006-09-24), 10-K (보고 날짜: 2005-09-25).
주어진 기간의 두 재무 항목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은 기간 동안의 방향성과 변동성을 포착하여 추세를 해석한다. 본 요약은 데이터의 패턴과 변화의 크기를 중심으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제시한다.
- 전반적 트렌드 요약
- 두 시계열은 모두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중간에 비정상적으로 큰 변동이 여러 차례 나타났다. 초기 2005년에서 2012년 사이에는 점진적 상승이 이어졌고, 2013년대에도 상승이 지속되었다. 2017년에는 두 시계열 모두에서 비정상적으로 큰 증가가 나타났고, 이후 2018년에 급격한 감소가 발생했다. 그 후 2019년부터 2024년까지는 다시 회복과 확장을 거치며 상승세를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자산 규모가 장기적으로 확대되었으나, 특정 연도에 집중된 급변으로 인해 단기적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 유동 자산의 트렌드
- 2005년 약 7,791에서 2013년까지 상승세를 이어가며 19,555까지 증가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도 증가하였고, 2017년에는 43,593로 급증하는 뚜렷한 상승을 보였다. 2018년에는 17,384로 급락했고 이후 2019년 16,765, 2020년 18,519, 2021년 20,075, 2022년 20,724, 2023년 22,464, 2024년 25,231로 점진적으로 회복 및 확대되었다. 2005년 대비 2024년 말의 유동 자산은 약 3.2배 수준으로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2017년의 급증과 2018년의 급락은 이 기간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총 자산의 트렌드
- 2005년 약 12,479에서 2012년까지 안정적으로 상승했고, 2013년에도 상승했다. 2017년에는 총 자산이 65,486으로 급증하는 큰 상승이 나타났으며, 이후 2018년 32,686로 급격히 축소되었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는 회복과 지속적 증가가 이어져 2024년 말에 약 55,154에 이른다. 전체 기간 동안의 평균적 성장까지 고려하면 약 8%대의 연평균 성장률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중간의 큰 변동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자산 규모가 확대되는 방향을 보인다. 2017년의 급등과 2018년의 급락은 총 자산 구조의 큰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유동 자산과 총 자산 간의 관계
- 두 시계열은 대체로 동조하는 방향으로 움직였으나, 2017년의 급증 구간에서 유동 자산의 상대적 증가폭이 특히 크게 나타나 총 자산 대비 유동 자산의 비중이 크게 올라갔다. 2013년대에도 유동 자산의 증가가 총 자산의 증가와 함께 확인되지만, 2017년의 피크 직후 2018년의 급락 구간에서 두 항목의 감소 폭이 커져 비중의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이후 2019년 이후 회복 국면에서는 총 자산의 증가와 함께 유동 자산도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2024년 말에는 두 항목 간 비중이 40%대 후반~50%대 초반으로 재정렬되는 경향을 보인다. 전 기간에 걸친 관계는 자산 규모의 확장 흐름이 지속되었음을 시사하지만, 특정 연도에 따른 비중 변동은 유동성 관리와 자산 구조의 변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 데이터의 이상 변동 포인트
- 가장 뚜렷한 이상 포인트는 2013년과 2017년의 급변이다. 2013년에는 유동 자산이 19,555에서 22,413로 증가했고, 총 자산은 45,516에서 48,574로 상승했다. 2017년에는 유동 자산이 43,593로 급증했고 총 자산은 65,486으로 급등했다. 그 이후 2018년에는 두 시계열 모두 급락하여 2014~2016년의 흐름과 뚜렷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였다. 이러한 급변은 데이터의 원천이나 회계 처리의 한시적 요인 등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후속 연도들의 정상화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요약 시사점
- 장기적으로 자산 규모의 확장 추세가 지속되었으나, 중간의 급변 구간이 재무 관리의 리스크 모니터링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동 자산의 비중은 기간에 따라 크게 변동했으며, 2017년의 피크 이후 점차 재정렬되는 양상을 보인다. 향후 분석에서 특정 연도에 발생한 상태 변화의 원인(예: 회계 정책 변경, 재무 구조 조정, 대규모 거래의 영향 등)을 확인하면 재무 건전성 및 유동성 관리에 대한 보다 구체적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주주의 자본 | |
---|---|---|---|---|
2024. 9. 29. | 10,504) | 28,880) | 14,634) | 26,274) |
2023. 9. 24. | 9,628) | 29,459) | 15,398) | 21,581) |
2022. 9. 25. | 11,866) | 31,001) | 15,482) | 18,013) |
2021. 9. 26. | 11,951) | 31,290) | 15,745) | 9,950) |
2020. 9. 27. | 8,672) | 29,517) | 15,726) | 6,077) |
2019. 9. 29. | 8,935) | 28,048) | 15,933) | 4,909) |
2018. 9. 30. | 11,236) | 31,758) | 16,370) | 928) |
2017. 9. 24. | 10,907) | 34,740) | 21,893) | 30,746) |
2016. 9. 25. | 7,311) | 20,591) | 11,757) | 31,778) |
2015. 9. 27. | 6,100) | 19,382) | 10,969) | 31,421) |
2014. 9. 28. | 6,013) | 9,408) | —) | 39,169) |
2013. 9. 29. | 5,213) | 9,429) | —) | 36,088) |
2012. 9. 30. | 5,302) | 9,467) | —) | 33,523) |
2011. 9. 25. | 5,289) | 9,450) | 994) | 26,951) |
2010. 9. 26. | 5,468) | 9,714) | 1,086) | 20,858) |
2009. 9. 27. | 2,813) | 7,129) | —) | 20,316) |
2008. 9. 28. | 2,291) | 6,619) | —) | 17,944) |
2007. 9. 30. | 2,258) | 2,660) | —) | 15,835) |
2006. 9. 24. | 1,422) | 1,802) | —) | 13,406) |
2005. 9. 25. | 1,070) | 1,360) | —) | 11,11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9), 10-K (보고 날짜: 2023-09-24), 10-K (보고 날짜: 2022-09-25), 10-K (보고 날짜: 2021-09-26), 10-K (보고 날짜: 2020-09-27), 10-K (보고 날짜: 2019-09-29),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24), 10-K (보고 날짜: 2016-09-25), 10-K (보고 날짜: 2015-09-27), 10-K (보고 날짜: 2014-09-28), 10-K (보고 날짜: 2013-09-29), 10-K (보고 날짜: 2012-09-30), 10-K (보고 날짜: 2011-09-25), 10-K (보고 날짜: 2010-09-26), 10-K (보고 날짜: 2009-09-27), 10-K (보고 날짜: 2008-09-28), 10-K (보고 날짜: 2007-09-30), 10-K (보고 날짜: 2006-09-24), 10-K (보고 날짜: 2005-09-25).
주어진 기간에 나타난 항목별 수치 흐름을 바탕으로 내부적으로 관찰되는 패턴과 변화의 특징을 요약한다. 특정 기업이나 표 자체에 대한 언급은 피하고, 데이터에 나타난 변화의 경향과 가능성을 중립적으로 서술한다.
- 유동부채의 흐름
- 2005년 1,070에서 시작해 2010년 5,468로 큰 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단기 부채의 구조적 확대를 시사한다. 이후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5,302~6,013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작게 유지되지만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10,907, 11,236으로 급격히 상승하여 단기간에 재무길이가 늘어난 구간이 존재한다. 2019년 8,935로 감소한 뒤 2020년 8,672, 2021년 11,951, 2022년 11,866으로 다시 상승하는 등 변동성이 지속된다. 2023년은 9,628로 하락하고 2024년에 10,504로 회복되며, 전 기간에 걸쳐 높고 변동성이 큰 경향이 지속된다.
- 총 부채(첫 번째 행)의 흐름
- 2005년 1,360에서 시작하여 2007년 2,660까지 증가한 뒤 2008년 급등하여 6,619에 도달한다. 이후 2010년 9,714로 상승하고, 2015년 19,382, 2017년 34,740로 크게 늘어난 뒤 2018년 31,758, 2019년 28,048로 완만하게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난다. 2020년 29,517, 2021년 31,290, 2024년 28,880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2017년 정점을 기점으로 다소 완만한 둔화를 보이는 모습이다.
- 총 부채(두 번째 행)의 흐름
- 데이터의 누락이 존재하나 2010년대 중반 이후의 패턴은 비교적 뚜렷하다. 2010년 1,086, 2011년 994로 시작한 после 이후 2015년 10,969, 2016년 11,757, 2017년 21,893으로 급증한다. 이후 2018년 16,370, 2019년 15,933, 2020년 15,726, 2021년 15,745, 2022년 15,482, 2023년 15,398, 2024년 14,634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흐름을 보인다. 누락 구간이 다수 존재하므로 연도 간 직접 비교의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나, 중반 이후의 급증 및 이후의 완만한 감소 경향은 명확히 나타난다. 이러한 패턴은 중간 시점의 재분류나 계정 구성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주주의 자본의 흐름
- 2005년 11,119에서 시작하여 2014년 39,169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5년 31,421로 하락하고 2016년 31,778으로 소폭 반등한다. 2017년에는 30,746으로 다시 감소하며, 2018년 급락해 928까지 떨어진 이상한 변화를 보인다. 이후 2019년 4,909, 2020년 6,077, 2021년 9,950으로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2022년 18,013, 2023년 21,581, 2024년 26,274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2018년의 급격한 감소는 특징적이며, 이후 회복과 더불어 자본 규모가 점차 확충되는 흐름이 나타난다.
관찰된 패턴에서 주목할 점은 두 단계의 자본 구조 변화와 장기적 부채 증가 흐름이다. 특히 2017년경의 총 부채 피크와 2018년 주주의 자본 급감은 자본 구조에 큰 조정이 있었음을 시사하며, 이후 2019년 이후에는 자본의 점진적 회복과 함께 부채의 일부 축소 또는 재구성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누락 데이터와 동일 라벨의 중복 표기 등 데이터 품질 이슈가 존재하므로 해석 시 신중한 보완 데이터가 필요하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을 통해 제공(사용)된 순현금 |
---|---|---|---|
2024. 9. 29. | 12,293) | (3,625) | (9,288) |
2023. 9. 24. | 11,698) | (621) | (6,605) |
2022. 9. 25. | 9,266) | (5,804) | (7,196) |
2021. 9. 26. | 10,536) | (3,356) | (6,798) |
2020. 9. 27. | 5,814) | (5,263) | (5,707) |
2019. 9. 29. | 7,286) | (806) | (6,386) |
2018. 9. 30. | 3,895) | 4,381) | (31,487) |
2017. 9. 24. | 4,693) | 18,463) | 5,879) |
2016. 9. 25. | 7,400) | (3,488) | (5,522) |
2015. 9. 27. | 5,506) | (3,572) | (2,261) |
2014. 9. 28. | 8,887) | (1,639) | (5,480) |
2013. 9. 29. | 8,778) | (1,578) | (4,845) |
2012. 9. 30. | 5,998) | (6,877) | (757) |
2011. 9. 25. | 4,900) | (4,489) | 1,518) |
2010. 9. 26. | 4,076) | (839) | (2,405) |
2009. 9. 27. | 7,172) | (5,457) | (833) |
2008. 9. 28. | 3,558) | (2,819) | (1,307) |
2007. 9. 30. | 3,811) | (1,898) | (1,111) |
2006. 9. 24. | 3,253) | (2,623) | (1,092) |
2005. 9. 25. | 2,686) | (776) | (1,05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9), 10-K (보고 날짜: 2023-09-24), 10-K (보고 날짜: 2022-09-25), 10-K (보고 날짜: 2021-09-26), 10-K (보고 날짜: 2020-09-27), 10-K (보고 날짜: 2019-09-29),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24), 10-K (보고 날짜: 2016-09-25), 10-K (보고 날짜: 2015-09-27), 10-K (보고 날짜: 2014-09-28), 10-K (보고 날짜: 2013-09-29), 10-K (보고 날짜: 2012-09-30), 10-K (보고 날짜: 2011-09-25), 10-K (보고 날짜: 2010-09-26), 10-K (보고 날짜: 2009-09-27), 10-K (보고 날짜: 2008-09-28), 10-K (보고 날짜: 2007-09-30), 10-K (보고 날짜: 2006-09-24), 10-K (보고 날짜: 2005-09-25).
주어진 데이터는 연도별로 세 가지 현금흐름 항목의 값을 담고 있으며, 단위는 US$ 백만 달러이다. 각 행은 해당 기간의 현금흐름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며, 누락값은 데이터가 없는 해를 의미한다. 분석은 각 현금흐름의 장기적 흐름과 연도별 특징에 초점을 맞춘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의 장기적 흐름
- 해당 항목은 초기에는 점진적 증가 흐름에서 시작하여 2009년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2005년 2,686 → 2009년 7,172).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는 변동폭이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나 대체로 상승 추세를 보이다가 2015년에 하락했고, 2016년 이후 또다시 반등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강한 상승세가 뚜렷해져 2021년 10,536에서 2024년 12,293로 연간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 기간에 걸쳐 보이는 전반적 상승 흐름은 영업활동이 창출하는 현금흐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견고해졌음을 시사한다.
- 투자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의 패턴
- 대체로 음수(현금 유출)로 나타나는 경향이 강하지만, 몇 차례 예외가 나타난다. 초기 다수 연도에서 음수로 기록되었고, 2013년과 2014년도 소폭 음수였지만 규모는 작았다. 2017년에 대규모 양의 현금흐름(18,463의 양수)이 발생하며 큰 반전을 보였고, 2018년에도 양의 흐름(4,381)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2019년 이후 2024년까지는 다시 음수로 전환되거나 규모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패턴은 자본지출 및 비핵심 자산 매각과 같은 투자활동의 구조적 변화가 해마다 크게 달라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사용)된 순현금의 변화 유형
- 재무활동은 일반적으로 음수값이 다수 나타나 자금조달 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큰 편이다. 다수 해에서 음수이지만, 2011년(1,518의 양수)과 2017년(5,879의 양수)처럼 조달 또는 구조조정 활동으로 인한 일시적 양의 흐름이 나타난 사례도 있다. 2018년에는 대규모 음의 흐름(-31,487)이 관찰되어 재무활동의 현금흐름이 크게 악화되었고, 이후 2019년~2024년까지도 상당한 음의 흐름이 지속되며 조달/상환 활동이 지속적으로 자금 유출에 기여했다. 전반적으로 재무활동은 대체로 지출 지향적이며, 특정 연도에만 현금흐름이 크게 개선되는 특성을 보인다.
- 주요 시사점 및 패턴의 요약
- 전반적으로 운영활동 현금흐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021년 이후의 수치가 매우 강한 상승과 함께 2024년까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이는 내부 현금창출력이 강화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투자활동의 현금흐름은 대개 음수로 나타나 현금이 외부로 유출되지만, 2017년의 예외적 양의 흐름은 대규모 자산 매각이나 비주요 자산의 매각 등으로 현금이 대규모로 들어온 시점을 반영한다. 재무활동의 흐름은 비교적 부정적 경향이 강하나, 2011년과 2017년의 양의 흐름은 일시적 자금 조달 활동의 존재를 시사한다. 2018년의 극단적 음의 흐름은 재무활동에서의 자금 상환이나 대규모 재무정책 변화가 있었음을 암시하며, 이후에도 재무활동 쪽의 현금유출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특정 연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9. 29. | 9.09 | 8.97 | 3.30 |
2023. 9. 24. | 6.47 | 6.42 | 3.10 |
2022. 9. 25. | 11.52 | 11.37 | 2.86 |
2021. 9. 26. | 7.99 | 7.87 | 2.66 |
2020. 9. 27. | 4.58 | 4.52 | 2.54 |
2019. 9. 29. | 3.63 | 3.59 | 2.48 |
2018. 9. 30. | -3.32 | -3.32 | 2.38 |
2017. 9. 24. | 1.67 | 1.65 | 2.20 |
2016. 9. 25. | 3.84 | 3.81 | 2.02 |
2015. 9. 27. | 3.26 | 3.22 | 1.80 |
2014. 9. 28. | 4.73 | 4.65 | 1.54 |
2013. 9. 29. | 3.99 | 3.91 | 1.20 |
2012. 9. 30. | 3.59 | 3.51 | 0.93 |
2011. 9. 25. | 2.57 | 2.52 | 0.81 |
2010. 9. 26. | 1.98 | 1.96 | 0.72 |
2009. 9. 27. | 0.96 | 0.95 | 0.66 |
2008. 9. 28. | 1.94 | 1.90 | 0.60 |
2007. 9. 30. | 1.99 | 1.95 | 0.52 |
2006. 9. 24. | 1.49 | 1.44 | 0.42 |
2005. 9. 25. | 1.31 | 1.26 | 0.3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29), 10-K (보고 날짜: 2023-09-24), 10-K (보고 날짜: 2022-09-25), 10-K (보고 날짜: 2021-09-26), 10-K (보고 날짜: 2020-09-27), 10-K (보고 날짜: 2019-09-29),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24), 10-K (보고 날짜: 2016-09-25), 10-K (보고 날짜: 2015-09-27), 10-K (보고 날짜: 2014-09-28), 10-K (보고 날짜: 2013-09-29), 10-K (보고 날짜: 2012-09-30), 10-K (보고 날짜: 2011-09-25), 10-K (보고 날짜: 2010-09-26), 10-K (보고 날짜: 2009-09-27), 10-K (보고 날짜: 2008-09-28), 10-K (보고 날짜: 2007-09-30), 10-K (보고 날짜: 2006-09-24), 10-K (보고 날짜: 2005-09-25).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다음 분석은 제공된 연간 데이터의 패턴과 변동성을 중심으로 내부 보고서 수준의 객관적 요약을 제공합니다.
단위는 미국 달러($)이며, 주당 금액은 소수점 두 자리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 기본 주당순이익 추세
- 2005년 약 1.31에서 시작해 2007-2008년 사이 점진적으로 상승한 뒤 2009년에는 0.96으로 감소합니다. 2010년대 초반에는 다시 상승해 2012-2014년에 최대치에 근접하며 4.73까지 올랐습니다. 그 이후 2015년 3.26로 하락하고 2016년 3.84, 2017년 1.67로 하향 기조가 지속되다가 2018년에는 급격히 음수로 전환되어 -3.32를 기록합니다. 2019년 이후 2019년 3.63, 2020년 4.58, 2021년 7.99, 2022년 11.52로 강한 회복세가 나타났고, 2023년 6.47로 다소 하락한 뒤 2024년 9.09로 반등합니다. 전반적으로는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관찰되나 2018년의 급락과 이후의 변동성이 두드러집니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추세
- 기본 EPS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2005년 약 1.26에서 시작해 2009년 0.95로 감소합니다. 2010년대 초반에는 상승해 2012-2014년에 각각 3.51-4.65 수준으로 증가합니다. 2015년 3.22로 하락한 뒤 2016년 3.81, 2017년 1.65로 추가 하락합니다. 2018년에는 기본 EPS와 마찬가지로 -3.32의 음수 값을 기록하고, 2019년 3.59, 2020년 4.52, 2021년 7.87, 2022년 11.37로 강한 회복을 보입니다. 2023년 6.42, 2024년 8.97로 상승 폭이 줄어들며 마무되었습니다. 기본과의 흐름은 거의 일치하나, 일부 연간 차이는 미세하게 존재하는 편입니다.
- 주당 배당금 추세
- 2005년 0.32달러로 시작해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2006년 0.42, 2007년 0.52, 2008년 0.60, 2009년 0.66 등 초기부터 증가율이 점진적이고 규칙적입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0.81-0.93에서 큰 폭으로 상승하며 2012년 1.2, 2013년 1.54, 2014년 1.84-2.0대의 증가를 이어갑니다. 이후에도 연도별 증가를 지속해 2015년~2024년에는 2.48~3.30 사이로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음의 EPS 구간에도 배당금은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현금 배당 정책이 비교적 견고하게 유지되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