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 매출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2. 12. 31. | 27,518) | 3,837) | 2,419) |
2021. 12. 31. | 25,371) | 4,262) | 4,169) |
2020. 12. 31. | 21,454) | 3,289) | 4,202) |
2019. 12. 31. | 17,772) | 2,719) | 2,459) |
2018. 12. 31. | 15,451) | 2,194) | 2,057) |
2017. 12. 31. | 13,094) | 2,127) | 1,795) |
2016. 12. 31. | 10,842) | 1,586) | 1,401) |
2015. 12. 31. | 9,248) | 1,461) | 1,22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 수익성 및 성장 추세
- 기간 내에 전체 매출인 순 매출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대부분의 연도에 걸쳐 연평균 증가율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2020년 이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기업의 시장 점유율 확대 또는 서비스 확대에 힘입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영업이익 변동성
- 영업이익 역시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2015년 1,461백만 달러에서 2021년에 정점인 4,262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에는 약 3,837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 변동은 비용 구조의 변화 또는 일회성 비용 영향일 수 있으며, 그러나 전반적으로 영업이익은 증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 순수익 흐름
- 순수익은 2015년부터 꾸준히 상승하며 최대치인 2021년에는 4,16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2,41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전반적인 성장세를 보이나, 2022년의 감소는 일회성 이벤트 또는 환율 변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 전반적 평가
- 이 기간 동안 눈에 띄는 것은 지속적인 수익 성장과 수익성 지표의 강세입니다. 그러나 2022년 이후 일부 지표에서 감소하는 모습도 보여, 향후 수익성 유지 및 성장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전략적 검토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2. 12. 31. | 57,517) | 78,717) |
2021. 12. 31. | 52,574) | 75,803) |
2020. 12. 31. | 50,995) | 70,379) |
2019. 12. 31. | 38,495) | 51,333) |
2018. 12. 31. | 32,963) | 43,332) |
2017. 12. 31. | 32,645) | 40,774) |
2016. 12. 31. | 25,733) | 33,103) |
2015. 12. 31. | 20,648) | 28,88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 유동 자산의 변화 추이
-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유동 자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기 2,048백만 달러에서 2016년 2,573백만 달러로 상승하였다가,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017년 3,264백만 달러, 2018년 3,296백만 달러, 2019년 3,849백만 달러로 상승했고, 2020년 이후에는 5,095백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2022년에는 5,751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유동 자산이 회사의 유동성 확보와 재무 유연성을 위해 안정적으로 확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총 자산의 성장
- 총 자산 역시 동일 기간 동안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5년의 28,881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78,717백만 달러로 약 2.7배 증가하였다. 특히 2018년 이후에는 2019년과 2020년에 급격한 폭증이 관찰되며, 이는 주로 총 자산이 규모 확대와 자산 배분 전략에 따라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재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 전체 재무 추세와 의미
- 이 기간 동안 유동 자산과 총 자산 모두 확대되어 회사의 재무 규모와 유동성 확보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연도별 성장률은 일관되게 긍정적이며, 특히 자산 규모의 확장은 영업활동과 투자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재무 안정성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PayPal 주주 총 지분 | |
---|---|---|---|---|
2022. 12. 31. | 45,101) | 58,443) | 10,835) | 20,274) |
2021. 12. 31. | 43,029) | 54,076) | 9,048) | 21,727) |
2020. 12. 31. | 38,447) | 50,316) | 8,939) | 20,019) |
2019. 12. 31. | 26,919) | 34,404) | 4,965) | 16,885) |
2018. 12. 31. | 25,904) | 27,946) | 1,998) | 15,386) |
2017. 12. 31. | 22,863) | 24,780) | 1,000) | 15,994) |
2016. 12. 31. | 16,878) | 18,391) | —) | 14,712) |
2015. 12. 31. | 13,617) | 15,122) | —) | 13,75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 유동부채 분석
-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유동부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13,617백만 달러였던 유동부채는 2022년에는 45,101백만 달러에 이르러 약 3.3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특히 2020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연속적으로 큰 폭의 증가가 관찰되며, 2020년의 38,447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45,10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기업이 단기 부채를 확대하거나 유동성 관리 전략을 조정한 결과일 수 있으며, 전체 유동성 압박이 가중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총 부채(단순 합계) 분석
- 총 부채는 2015년부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58,443백만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2015년의 15,122백만 달러에서 2022년까지 약 3.9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업의 부채 규모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2017년 이후 급증하는 양상을 나타내며, 2018년 이후에도 연평균 증가율이 계속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채 증가가 자본투자, 인수합병 또는 기타 채무조달 활동에 기인할 수 있으며, 부채 구조의 변화와 함께 기업의 재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기타 부채 항목 분석
- 2016년 이후 1,000백만 달러를 기준으로 하는 부채 항목이 나타나 있으며, 2017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2017년에는 1,000백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이후 2018년(1,998백만 달러), 2019년(4,965백만 달러), 2020년(8,939백만 달러), 2021년(9,048백만 달러), 2022년(10,835백만 달러)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부채 항목이 주로 차입 또는 기타 채무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장기적인 금융 전략 또는 재무구조 조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주주 지분 분석
- 2022년 기준으로, 회사의 주주 총 지분은 20,274백만 달러로 나타났으며, 이전 연도의 21,727백만 달러보다 다소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5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왔으며, 대체로 2015년의 13,759백만 달러에서 2021년의 21,727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증가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 또는 자본구조의 개선을 시사할 수 있으나,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최근 재무 전략의 조정이나 배당 정책 변화가 반영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2. 12. 31. | 5,813) | (3,421) | (1,110) |
2021. 12. 31. | 6,340) | (5,485) | (764) |
2020. 12. 31. | 5,854) | (16,218) | 12,492) |
2019. 12. 31. | 4,561) | (5,733) | 3,688) |
2018. 12. 31. | 5,483) | 840) | (1,262) |
2017. 12. 31. | 2,531) | (5,358) | 4,084) |
2016. 12. 31. | 3,158) | (4,999) | 2,038) |
2015. 12. 31. | 2,546) | (6,389) | 3,07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주며, 전반적으로 회사의 영업 활동이 현금 창출에 안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2017년 이후 다소 변동이 있으나, 2018년과 2019년 사이에는 일시적인 하락이 있었으며,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6340백만 달러와 5813백만 달러로 높은 수준의 현금 유입을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의 영업수익성과 수익 구조가 견고하며, 효율적인 영업 전략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이 항목은 특히 2016년과 2020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음수값을 기록하며, 투자를 위한 현금 지출이 많았음을 보여준다. 2016년과 2017년에는 지속적으로 높은 투자를 수행하였으며, 2018년과 2019년에도 상당한 금액이 투자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이후에는 투자 지출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22년에는 약 3421백만 달러로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를 성장 및 확장하기 위한 투자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반영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이 항목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데, 2015년과 2017년, 2019년, 2020년, 2022년 등 여러 해에 현금 흐름이 유입되거나 유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2016년과 2020년에는 각각 2038백만 달러와 12492백만 달러의 현금유입이 있었으며, 이는 주로 차입금 조달이나 채무상환, 또는 자사주 매입과 같은 재무 활동의 변동성을 반영한다. 2018년과 2022년에는 약간의 유출이 관찰되며, 이는 배당 지급이나 주주환원 활동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재무 활동의 변화는 회사의 재무 전략의 변동성과 자본 조달, 배당 정책의 흐름을 보여준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2. 12. 31. | 2.10 | 2.09 | 0.00 |
2021. 12. 31. | 3.55 | 3.52 | 0.00 |
2020. 12. 31. | 3.58 | 3.54 | 0.00 |
2019. 12. 31. | 2.09 | 2.07 | 0.00 |
2018. 12. 31. | 1.74 | 1.71 | 0.00 |
2017. 12. 31. | 1.49 | 1.47 | 0.00 |
2016. 12. 31. | 1.16 | 1.15 | 0.00 |
2015. 12. 31. | 1.00 | 1.00 | 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
-
2015년부터 2021년까지의 기간 동안,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여 왔으며, 이 두 지표 간에는 거의 일치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2015년 1달러 미만에서 시작하여 2017년경에는 각각 1.49달러와 1.47달러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지속하였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74달러, 2.09달러로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는 큰 폭으로 상승하여, 각각 3.58달러와 3.55달러로 정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승은 수익성 개선과 주식 가치 상승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나,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2.1달러로 낮아졌다. 이는 일시적 또는 구조적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두 지표가 거의 동일한 패턴을 나타내며, 희석된 주당순이익이 약간 더 높은 값을 보여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희석 효과를 감안한 주당순이익이 회사의 전체 수익성 개선을 일부 반영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 주당 배당금
- 주당 배당금에 관한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아 구체적인 배당 정책이나 배당 수준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배당 성향에 대한 판단이나 투자 유인에 대한 분석은 수행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