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 유동자산 구성 및 추세
- 전체 자산에서 유동자산의 비중은 2018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22년 말 이후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어 2023년 3월에는 약 37.9%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동자산 내에서는 현금 비중이 변동이 크지 않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추세였다. 재고비중은 2018년 이후 점차 증가하며 2022년에는 18.11%까지 치솟았으며, 이는 재고자산의 증가 또는 재고관리 전략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기타 유동자산 역시 비교적 안정적이나 소폭 증감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 비유동자산의 변화와 구조
- 비유동자산은 총 자산 대비 약 62~80%까지 다양한 비중을 차지하며, 점진적으로 줄어들거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특히, 유형자산인 공장 및 설비의 비중은 전체적으로 높게 유지되어 있으며, 201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2년에는 일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감가상각 누적액은 점차 상승하는 추세로서, 감가상각률이 지속되면서 순자산이 안정적이거나 다소 증가하는 모습이다.
- 자산 내 믹스 변화 및 자산효율성
- 유형자산 가운데 공장 및 설비의 원가 비중은 2018년 약 56%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2021년에는 72% 이상에 달했으며, 이후 일부 축소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투자 또는 매각 정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무형자산은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며, 친선과 기타 기타 무형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다. 이는 자산의 물리적 증대보다 무형자산이나 기타 자산에 대한 투자 또는 매각 정책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 자산과 부채의 균형 및 재무 전략
- 총 자산의 구성을 볼 때, 총 자산에서 유동자산은 최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유동성 확보 또는 단기 유동성 강화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유형자산의 비중은 안정적이거나 축소되는 모습이며, 감가상각 누적액 증가는 자산의 자연 감가상각을 반영한다. 종합적으로, 자산 구성은 단기 유동성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투자와 재고의 비중이 함께 증가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구조는 운영 유연성과 단기 재무 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조치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