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Q (보고 날짜: 2014-09-30), 10-Q (보고 날짜: 2014-06-30), 10-Q (보고 날짜: 2014-03-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Q (보고 날짜: 2013-09-30), 10-Q (보고 날짜: 2013-06-30), 10-Q (보고 날짜: 2013-03-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Q (보고 날짜: 2012-09-30), 10-Q (보고 날짜: 2012-06-30), 10-Q (보고 날짜: 2012-03-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Q (보고 날짜: 2011-09-30), 10-Q (보고 날짜: 2011-06-30), 10-Q (보고 날짜: 2011-03-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Q (보고 날짜: 2010-09-30), 10-Q (보고 날짜: 2010-06-30), 10-Q (보고 날짜: 2010-03-31).
- 현금 및 등가물
- 이 항목은 전체 기간 동안 총 자산 대비 비중이 대체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26.08%에서 2014년 말에는 39.56%로 증가하면서, 기업이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금 비중을 늘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상당한 상승세를 나타내며, 단기 유동성 확보에 중점을 둔 전략적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단기 투자
- 단기 투자는 2010년까지 일부 누락된 값을 제외하고는 영세하거나 극히 낮은 비중을 유지하다가 2010년 후반부터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전체 기간 동안 비교적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2014년까지도 전체 자산 대비 7.48%를 최고치로 유지하고 있다. 이는 현금과 비슷하게 유동성 강화에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 미수금, 순거래
- 이 항목은 비교적 일정한 비율(약 7%~10%)로 유지되고 있으며, 일부 분기에는 약간의 변동성이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보면, 매출 채권의 비중이 안정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일정 기간 동안 점진적 증가 모습을 보이고 있어, 매출 회수와 관련된 잠재적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향을 보여준다.
- 재고
- 재고의 비중은 전체 자산에서 2.38%~3.02% 범위 내에서 변동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는 안정된 수준을 유지한다. 이로 인해 재고관리는 과도하게 비중을 늘리거나 감축하는 것에 따른 위험을 낮추는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 기타 유동자산
- 이 부문은 전체 기간 동안 비중이 대체로 안정적이며 4.26%~5.74% 범위 내에서 변동하였다. 다만, 2014년 이후 약간 상승하는 추세가 관찰되며, 이는 유동성 확보 또는 기타 비유동성 자산의 유동화 필요성에 따른 조치로 볼 수 있다.
- 중단된 운영의 자산
- 이 항목은 2013년부터 일부 분기에서 소폭 등장하다가 2014년 이후에는 거의 소멸하는 양상이다. 이는 중단된 운영의 자산이 축소되어, 기업이 핵심 사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강화했음을 암시한다.
- 유동 자산
- 유동 자산의 비중은 41.22%에서 55.34%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유동성 확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2011년 이후부터 큰 폭으로 상승하는 추세로, 영업활동 및 금융 안정성을 위한 유동성 비중 확충이 확인된다.
- 투자 및 기타 자산
- 이 항목은 전체 기간 동안 낮은 비중을 유지하였으며, 약 2% 내외에서 변동하였다. 변화 폭이 크지 않으며, 기업의 장기 투자와 기타 비유동자산에 대한 비중 조정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 이연법인세 자산
- 이연법인세 자산은 초기에는 낮은 비중(0.09%)에서 시작하여 2010년대 중반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가, 2014년 이후 다시 낮아지는 모습이다. 이는 예상 세금 혜택과 관련된 자산의 변동성을 반영한다.
- 재산, 식물 및 장비, 그물
- 이 자산은 전체 자산의 8%대 후반에서 10% 내외를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이다. 장기 자산에 대한 비중이 일정하여, 기업이 물적 자산에 대한 투자와 유지 관리를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친선
- 이 항목은 전체 자산 비중에서 19.27%에서 26.33%까지 변동하며, 변동성보다 안정적인 수준을 보여준다. 기업의 영업권과 브랜드 가치 등을 포함하는 무형자산의 일부로 해석 가능하며, 일부 기간에는 다소 축소된 경향도 나타난다.
- 무형자산, 순자산
- 무형자산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며, 12%대에서 18%대 코에서 바뀌었다가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2010년대 초중반에 증가세를 보인 후, 일부 분기에는 다소 축소된 모습이 관찰된다. 이는 브랜드, 특허권 등 무형 자산의 자산가치 평가 변화 또는 인식 조정일 수 있다.
- 비유동자산
- 이 항목은 전체 자산에서 44.66%에서 58.78%까지 변화하였다. 특히 2010년대 초반에 비중이 높아졌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으로 전환되어 기업이 일부 비유동 자산을 축소하거나 유동화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