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비율은 회사가 미수금 수집 및 재고 관리와 같은 일상적인 작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하는지 측정합니다.
Short-term activity ratios (요약)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 재고 회전율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재고 회전율이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년과 2019년에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급격한 상승을 기록하며 효율성이 일시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시사하나,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 매출채권회전율
- 이 비율은 전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2015년 이후로 다소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에 낮아지고 2018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매출 채권의 회수 효율성이 변동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 미지급금 회전율
- 이 지표는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약간의 변동을 보이지만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부채 상환이 비교적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운전자본 회전율
- 이 비율은 2015년의 높았던 수준을 기록한 이후 2016년 급감하였다가 2017년과 2019년에 급증하는 등 변동폭이 큽니다. 특히 2017년과 2019년의 상승은 운전자본 이용 효율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재고 순환 일수
- 이 지표는 2015년과 2017년에는 90일대를 유지하다가 2018년과 2019년에 100일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는 재고 보유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재고 회전이 느려졌음을 보여줍니다.
- 미수금 순환 일수
- 이 값은 대체로 안정적이며 2015년 39일에서 2017년 52일로 상승하였다가 2018년과 2019년에 다시 감소하는 패턴을 보여줍니다. 이는 고객으로부터의 현금 회수 기간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개선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작동 주기
- 이 지표는 전체적인 변동폭은 크지 않지만 2018년과 2019년에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운영 기간이 약간 길어졌음을 시사하며, 기업의 영업 주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급 계정 순환 일수
- 이 값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지급 기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급 조건이 연장되거나 회사의 지불 정책이 변화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현금 전환 주기
- 이 지표는 지속적으로 음수인 상태를 유지하며, 2015년 이후 더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가 영업활동에서 현금을 조기에 확보하거나, 재고 및 매출채권 회수에서 현금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하락 추세는 다소 부정적일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업무 수행에 있어 유리한 현금 유입 구조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회전율
평균 일수 비율
재고 회전율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운영 수익 비용 | 2,604,395) | 2,466,527) | 1,933,974) | 1,814,459) | 2,177,757) | |
재고 | 767,297) | 859,359) | 483,865) | 350,017) | 598,935) | |
단기 활동 비율 | ||||||
재고 회전율1 | 3.39 | 2.87 | 4.00 | 5.18 | 3.64 | |
벤치 마크 | ||||||
재고 회전율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재고 회전율 = 운영 수익 비용 ÷ 재고
= 2,604,395 ÷ 767,297 = 3.39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운영 수익 비용
-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8년과 2019년에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사의 총 운영 비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음을 의미하며, 수익성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비용 구조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 재고
- 재고 규모는 2015년 이후 2018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8년 거래기간에 정점에 달했으며, 이후 2019년에 소폭 감소하였다. 재고 증가는 제품 또는 자재의 보유량이 늘어난 것을 반영하며, 이는 생산 또는 판매 전략의 변화, 또는 재고 관리 정책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재고 회전율
- 재고 회전율은 2015년 3.64에서 2016년 5.18로 크게 상승하였다가, 2017년에는 4로 조정되었으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2.87과 3.39로 나타났다. 이는 재고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2016년 이후 다소 저하 추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재고 회전율의 하락은 재고 정리 또는 판매 성과 저하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매출채권회전율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영업수익과 기타 | 17,379,973) | 17,275,399) | 11,208,320) | 7,650,632) | 8,757,428) | |
미수금, 순 | 2,001,658) | 1,915,215) | 1,597,494) | 1,216,320) | 930,610) | |
단기 활동 비율 | ||||||
매출채권회전율1 | 8.68 | 9.02 | 7.02 | 6.29 | 9.41 | |
벤치 마크 | ||||||
매출채권회전율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매출채권회전율 = 영업수익과 기타 ÷ 미수금, 순
= 17,379,973 ÷ 2,001,658 = 8.68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영업수익과 기타
-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과 비교했을 때, 2016년에는 약 12.6% 감소했으나 이후 2017년에는 상당한 회복을 보여 2015년보다 높은 수준인 11,208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18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약 15.4% 오른 17,275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19년에는 거의 정체된 모습으로 약간 증가하여 17,379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러한 패턴은 수익이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시기를 겪은 후 강한 회복세를 보였음을 시사하며, 전반적으로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미수금, 순
- 미수금의 총액은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2015년 930,610천 달러에서 2016년 1,216,320천 달러로 증가했고, 이후 2017년에도 약 31.4%의 상승을 보여 1,597,494천 달러에 달했다. 이후 2018년에는 소폭 증가세를 유지하며 1,915,215천 달러로 늘었고, 2019년까지도 계속 증가하여 2,001,658천 달러를 기록하였다. 미수금의 증가는 매출 증가와 연계된 채권 회수 지연 또는 고객 신용 기간의 확대를 반영할 수 있으며, 기업의 신용 정책이나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 매출채권회전율
- 이 비율은 2015년 9.41에서 2016년 6.29로 급락하여 채권 회전이 느려진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2017년부터 다시 회복되어 7.02를 기록했고, 2018년에는 9.02로 크게 상승하며 효율성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2019년에는 약 8.68로 약간 감소하는 모습이지만 여전히 이전 기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채권 회전율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비율의 증가는 채권 회수 주기의 단축 또는 고객 지불 조건의 개선을 의미할 수 있으며, 회사의 재무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미지급금 회전율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운영 수익 비용 | 2,604,395) | 2,466,527) | 1,933,974) | 1,814,459) | 2,177,757) | |
미지급금 | 2,429,127) | 2,239,850) | 1,847,131) | 1,511,826) | 1,471,953) | |
단기 활동 비율 | ||||||
미지급금 회전율1 | 1.07 | 1.10 | 1.05 | 1.20 | 1.48 | |
벤치 마크 | ||||||
미지급금 회전율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미지급금 회전율 = 운영 수익 비용 ÷ 미지급금
= 2,604,395 ÷ 2,429,127 = 1.07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운영 수익 비용 분석
- 운영 수익 비용은 2015년 약 2,177,757천 달러에서 2018년 2,466,527천 달러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9년에는 약 2,604,395천 달러로 지속적인 상승을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확장되고 수익이 증가하는 동안 비용 역시 함께 증가하는 패턴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비용 증가는 매출 성장의 일환일 가능성이 있으며, 회사가 영업 비용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효율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미지급금 분석
- 미지급금은 2015년 1,471,953천 달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 2,429,127천 달러에 이르렀다. 이 증가세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급이 지연되거나, 공급망 관리 및 지불 조건이 변화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미지급금의 증가는 기업이 지급 기일을 조절하거나 단기 채무 부담을 늘리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현금 유동성 관리 전략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미지급금 회전율 분석
- 미지급금 회전율은 2015년 1.48에서 2016년 1.2로 감소했고, 이후 2017년 1.05, 2018년 1.1, 2019년 1.07로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미지급금이 증가하는 동안, 지급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졌음을 의미하며, 회사가 채무를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회전율의 감소는 회사가 공급자와의 협상이나 지불 조건 개선에 노력하거나, 지급 지연에 따른 조정이 이루어졌음을 반영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유동성 또는 단기 채무 이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운전자본 회전율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유동 자산 | 5,273,339) | 5,057,390) | 3,279,108) | 3,554,603) | 2,592,244) | |
덜: 유동부채 | 4,486,988) | 3,728,364) | 2,725,542) | 2,027,291) | 1,819,287) | |
운전자본 | 786,351) | 1,329,026) | 553,566) | 1,527,312) | 772,957) | |
영업수익과 기타 | 17,379,973) | 17,275,399) | 11,208,320) | 7,650,632) | 8,757,428) | |
단기 활동 비율 | ||||||
운전자본 회전율1 | 22.10 | 13.00 | 20.25 | 5.01 | 11.33 | |
벤치 마크 | ||||||
운전자본 회전율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운전자본 회전율 = 영업수익과 기타 ÷ 운전자본
= 17,379,973 ÷ 786,351 = 22.10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운전자본
- 2015년 이후 운전자본은 약 773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6년 급증하여 1,527백만 달러에 이르렀으나, 이후 2017년에는 크게 감소하여 554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1,329백만 달러까지 회복되었다. 2019년에는 786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하였다. 전반적으로 운전자본은 변동성이 있으며, 특히 2016년과 2018년 기간 동안 큰 변동을 보이고 있다.
- 영업수익과 기타
- 이 항목은 2015년 8,757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6년 소폭 하락 후 2017년 큰 폭으로 상승하여 11,20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8년에는 약 17,275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019년에도 약 17,380백만 달러를 유지하며 정체 또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수익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회사의 영업활동이 안정적이거나 성장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운전자본 회전율
- 이 비율은 2015년 11.33에서 시작하여 2016년 5.01로 급감했고, 이후 2017년에는 20.25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2018년에는 13으로 감소하였다. 2019년에는 22.1로 다시 상승하였다. 운전자본 회전율은 회사의 재고, 매출채권, 매입채무 등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2017년과 2019년의 큰 폭의 증가는 자산운용의 효율성 향상을 시사한다. 그러나 2016년의 낮은 수치는 일시적이거나 비효율적 관리의 결과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재고 순환 일수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 ||||||
재고 회전율 | 3.39 | 2.87 | 4.00 | 5.18 | 3.64 | |
단기 활동 비율 (일 수) | ||||||
재고 순환 일수1 | 108 | 127 | 91 | 70 | 100 | |
벤치 마크 (일 수) | ||||||
재고 순환 일수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재고 순환 일수 = 365 ÷ 재고 회전율
= 365 ÷ 3.39 = 108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재고 회전율 추세
-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재고 회전율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기준으로 상승하여 3.64에서 5.18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재고 관리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2017년에는 이 수치가 4로 다소 감소하였고, 2018년에는 다시 한차례 하락하여 2.87로 낮아졌다. 이후 2019년에는 3.39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재고 회전율은 일시적인 변동을 겪다가 2018년 동안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후 점차 회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재고관리 효율성에 일정한 변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 재고 순환 일수 추세
-
재고 순환 일수는 2015년 100일에서 2016년 70일로 감소하여, 재고를 보유하는 기간이 짧아지고 효율성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2017년에는 일수가 다시 91일로 늘어나며, 재고가 더 오래 걸리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18년에는 재고 순환 일수가 127일로 크게 늘어나면서 재고 회전이 둔화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재고 보유 기간이 상당히 길어졌음을 나타낸다.
2019년에는 이 수치가 108일로 다소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2015년의 수준보다는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재고가 비교적 오래 보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재고 순환 일수는 2018년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이는 재고 관리 또는 시장 수요에 관련된 문제를 반영할 수 있다. 이후 점차 단축되어 재고 회전 속도가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미수금 순환 일수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 ||||||
매출채권회전율 | 8.68 | 9.02 | 7.02 | 6.29 | 9.41 | |
단기 활동 비율 (일 수) | ||||||
미수금 순환 일수1 | 42 | 40 | 52 | 58 | 39 | |
벤치 마크 (일 수) | ||||||
미수금 순환 일수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미수금 순환 일수 = 365 ÷ 매출채권회전율
= 365 ÷ 8.68 = 42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매출채권회전율
-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매출채권회전율은 상대적으로 변동이 크지 않으며, 2015년 9.41에서 2016년 6.29로 급감한 후 2017년 7.02, 다시 2018년 9.02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9년에는 8.68로 소폭 하락했지만 전반적으로 2015년 수준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매출채권의 회수 속도가 일관되게 유지되거나 일시적인 변화 후 회복되는 양상을 보여주며, 회사의 신용 및 채권 회수 정책이 비교적 안정적임을 시사한다.
- 미수금 순환 일수
- 2015년 39일이었던 미수금 순환 일수는 2016년 58일로 크게 증가하여 미수금 회수에 다소 시간이 더 걸리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이후 2017년 52일, 2018년 40일, 2019년 42일로 점차 회복 또는 안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미수금 회수 기간이 연평균적으로 늘었다가 이후 다시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고객 결제 조건 또는 회수 전략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미수금 순환 일수는 변동성이 있으나, 최근 연도에서는 40일 내외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는 추세이다.
작동 주기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 ||||||
재고 순환 일수 | 108 | 127 | 91 | 70 | 100 | |
미수금 순환 일수 | 42 | 40 | 52 | 58 | 39 | |
단기 활동 비율 | ||||||
작동 주기1 | 150 | 167 | 143 | 128 | 139 | |
벤치 마크 | ||||||
작동 주기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작동 주기 = 재고 순환 일수 + 미수금 순환 일수
= 108 + 42 = 150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재고 순환 일수
- 분석 기간 동안 재고 순환 일수는 상당한 변동을 보여왔으며, 2015년 100일에서 2016년 70일로 감소한 후, 2017년 91일로 증가하였고,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27일과 108일로 다시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재고 관리 및 공급망 운영에 일시적 및 전반적인 조정이 있었음을 시사하며, 일부 기간에 재고 회전률이 낮아졌음을 의미합니다.
- 미수금 순환 일수
- 미수금 회전 일수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변화하였으며, 2015년 39일에서 2016년 58일로 증가하였으나 이후 2017년 52일, 2018년 40일, 2019년 42일로 다소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미수금 관련 현금 회수 측면에서 일부 단기적 조정을 거쳐 안정성을 보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작동 주기
- 작동 주기는 전체 운영 기간 동안 비교적 일관성을 유지하며, 2015년 139일에서 2016년 128일로 줄었으나, 2017년 143일로 다시 상승하였고, 2018년에는 167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2019년에는 150일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 수치는 전체 운영 효율성과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지표로서, 특정 연도에 운영 주기가 늘어난 것은 일시적 또는 구조적인 운영 조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지급 계정 순환 일수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 ||||||
미지급금 회전율 | 1.07 | 1.10 | 1.05 | 1.20 | 1.48 | |
단기 활동 비율 (일 수) | ||||||
지급 계정 순환 일수1 | 340 | 331 | 349 | 304 | 247 | |
벤치 마크 (일 수) | ||||||
지급 계정 순환 일수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지급 계정 순환 일수 = 365 ÷ 미지급금 회전율
= 365 ÷ 1.07 = 340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미지급금 회전율
- 이 지표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공급자에게 지급하는 지급액의 속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지급이 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 기간 동안 미지급금 회전율은 2015년 1.48에서 점차적으로 낮아져 2017년 1.05에 이르렀으며, 이후 약간 증가하여 2018년 1.1, 2019년 1.07로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미지급금 회전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지급이 다소 느려졌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변화는 공급자와의 지급 조건이 완화되거나, 지급을 유예하는 금융 전략의 변화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지급 계정 순환 일수
- 이 지표는 미지급금을 평균 지급일까지 걸린 시간을 일수로 나타낸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지급이 늦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 대상 기간 동안 지급 계정 순환 일수는 2015년 247일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 349일에 이르게 되었다. 이후 일부 축소되었으나 2018년 331일, 2019년 340일로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대체로 공급자에게 지급하는 기간이 늘어났음을 의미하며, 기업의 유동성 관리 또는 지급 조건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급 기간의 연장은 공급망의 안정성 또는 협력 관계의 조정과도 연관될 수 있다.
현금 전환 주기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 ||||||
재고 순환 일수 | 108 | 127 | 91 | 70 | 100 | |
미수금 순환 일수 | 42 | 40 | 52 | 58 | 39 | |
지급 계정 순환 일수 | 340 | 331 | 349 | 304 | 247 | |
단기 활동 비율 | ||||||
현금 전환 주기1 | -190 | -164 | -206 | -176 | -108 | |
벤치 마크 | ||||||
현금 전환 주기경쟁자2 | ||||||
Chevron Corp. | — | — | — | — | — | |
ConocoPhillips | — | — | — | — | — | |
Exxon Mobil Corp.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 2019 계산
현금 전환 주기 = 재고 순환 일수 + 미수금 순환 일수 – 지급 계정 순환 일수
= 108 + 42 – 340 = -190
2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재고 순환 일수
- 2015년 이후 2016년에 급격히 단축된 후 2017년에는 다시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2018년과 2019년에는 재고 순환일수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재고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미수금 순환 일수
- 이 항목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에서 2017년에 약간 증가한 후 2018년과 2019년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변화는 미수금 회전 기간의 변화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현금 회수 기간이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지급 계정 순환 일수
- 이 지표는 연도별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16년 이후 상당한 상승이 관찰되며, 이는 지급 기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급 계정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은 자금 유동성이나 공급업체와의 결제 조건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현금 전환 주기
- 이 값은 음수 값을 나타내며, 주기를 기준으로 볼 때 현금이 회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회수 기간이 더 짧음을 의미한다. 2015년 이후 계속해서 적자폭이 커지고 있는데, 이는 현금 회수 속도가 느려지고 현금 이머징 주기가 길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6년 이후에는 현금 전환 주기가 더 악화된 양상을 나타내며, 전체적인 유동성 관리에 있어 도전이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