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분기별 데이터에 따르면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매우 낮으며, 일시적 또는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시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0.02%~0.4% 범위 내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1년 12월과 2022년 3월에 각각 1.74%와 0.53%로 일시적 상승이 관찰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자산 규모 대비 현금 보유 비중이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 미수금, 의심스러운 계정에 대한 충당금 감소
- 이 항목은 기간에 따라 변동이 크며, 전반적으로 자산의 약 2%에서 10% 사이에 분포한다. 2018년 초에는 2.44%였고, 이후 2019년과 2020년을 거치면서 5%대 초반으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 이후에는 6%를 넘는 수준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증가는 미수 채권의 회수 리스크 또는 채권 규모의 증가를 시사할 수 있다.
- 공정가치의 파생상품
- 이 항목은 지속적으로 자산의 약 1% 내지 6% 범위 내에 분포하며, 특히 2019년 후반과 2020년 초에 잦은 상승을 보여 2020년 6월 이후 6% 이상을 기록하는 기간이 나타난다. 이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평가에 변화가 있었거나, 헤지거래 등 금융파생상품의 규모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 미수소득세
- 이 항목은 2019년 중반 이후 데이터가 누락된 상태이며, 2019년 하반기부터 2020년까지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이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서 전체 추세를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존재하는 시기에는 세금 관련 충당금 또는 선불금 성격으로 분석될 수 있다.
- 선불 비용 및 기타
- 이 항목은 전체 자산의 0.1%에서 3.3% 사이에 분포하며, 2021년 이후에는 1% 내지 2.5% 구간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항목은 운영과 관련된 선불 자산 또는 기타 비용 충당에 해당하며, 최근에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유동 자산
- 유동 자산은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방증한다. 2018년에는 약 4.3%였던 것이 점차 상승하여, 2022년 6월과 9월에는 각각 약 17.3%와 18.1%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유동성 확보를 위한 자산 비중을 높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회사가 단기 유동성 유지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 재산, 공장 및 장비
- 이 항목은 전체 자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18년에는 약 98%였고 이후에도 대체로 112% 내지 119%의 비중에서 안정적이다. 다만, 감가상각 누적액이 계속 증가하며 순 자산 비중이 80% 내외로 유지되고 있어, 실질적인 유형자산 가치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 누적된 감가상각 및 고갈
- 이 항목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2018년 이후 약 15%에서 시작해 2022년까지 39%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이 지속되어 장부가치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순 자산, 공장 및 장비
- 감가상각을 반영하여 조정된 순자산은 2018년 82.79%에서 2022년 기준 약 80% 내외로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유형자산의 가치가 감소하는 과정과 일치한다.
- 계약 자산 및 무형 자산
- 계약자산은 2021년 이후 줄어들어 1.78%와 1.9%로 나타나고 있으며, 무형자산은 2018년에는 2.59%였으나 이후 꾸준히 감소하여 2021년 이후 데이터 누락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무형 자산의 희석 또는 처분을 의미할 수 있다.
- 기타 자산
- 기타 자산은 2018년 3.08%에서 2021년 약 3%대 후반까지 증가하다가 2022년에는 다시 약 2%대 초반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여러 소액 자산 항목들이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는 의미다.
- 비유동자산
- 전체 자산 중 비유동자산의 비중은 대부분 86% 이상으로 유지되며, 2018년 95.69%에 시작해 2022년 약 82.69%에 이르기까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자산 구조가 점차 유동자산 비중을 늘리면서 유동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