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ConocoPhillips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분기별로 수치는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0년 3분기에는 6.01%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후 2020년 6월부터 2021년 3분기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21년 6월 이후에는 일시적으로 상승(11.26%)하였으며, 이후 다시 5% 내외로 안정세를 유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러한 변동은 현금 유동성 확보 전략 또는 시장 환경 변동에 따른 일시적 자금 운용 전략의 결과일 수 있다.
- 단기 투자
- 단기 투자는 전체 자산 대비 비율이 일정 수준 유지되며, 2020년 6월 이후 2021년 3월까지는 2%~6%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2021년 하반기와 2022년 동안에는 감소하는 모습이 두드러지며, 최저점인 0.36%를 기록하였다. 이후 비중이 점차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며 2025년 6월 기준 약 0.36%로 나타나, 유동성 확보와 단기 투자 전략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미수금 및 어음, 충당금 순
- 이 항목은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22년 12월 이후에는 4.65%로 다소 축소되는 모습이다. 이는 미수금 회수율 개선 또는 크레딧 관리를 통한 안정화 전략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이후에도 대체로 안정적인 비중을 유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 Cenovus Energy 투자
- 이 항목의 전체 자산 대비 비율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22년 이후 미확인 데이터의 공백이 존재한다. 이는 광범위한 투자 전략의 조정 또는 자산 매각 또는 재배치를 통해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조절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후 데이터가 결측되어 추세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 재고
- 재고는 전체 자산에서 비교적 일정한 비중(대략 1.1%~1.55%)으로 유지되면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대체로 안정적이다. 일부 분기에서는 약간의 증감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큰 변화 없이 재고 수준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선불 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
- 이 항목은 분기별로 차이를 보이면서도 평균적으로 0.8%~3% 범위 내에서 변화한다. 2020년 후반부부터 2023년까지는 비교적 낮은 비중을 유지하다가, 일부 분기, 특히 2023년 6월, 9월에 1%대 후반으로 다소 증가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유동성 또는 선불 비용 관련 자산 운용 전략의 변화를 시사할 수 있다.
- 유동 자산
- 2020년 후반부터 2023년까지는 11%~23% 사이에서 변동하며, 특히 2021년 9월 이후로는 약 14%~20%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2023년 이후에는 일부 분기 하락이 관찰되며, 이는 유동성 관리를 위한 자산 조정 또는 운영상의 우선순위 변화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유동성 비중은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시장 상황 변화에 따른 유동성 확보 전략인 것으로 보인다.
- 투자 및 장기 미수금
- 이 항목은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2020년 13.39%에서 2024년 8% 초반대로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기 투자와 미수금 관리의 전략적 조정 혹은 자산 포트폴리오 재구성 결과일 수 있다. 특히 2021년 이후로는 대체로 비중이 낮고 안정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 대출 및 선급금, 특수관계자
- 이 항목은 2020년 0.26%로 시작하여 2020년 9월 이후에는 값을 기록하지 않고 있으며, 이후 데이터를 비롯한 구체적 추세는 파악이 어렵다. 이는 해당 자산 항목에 대한 분기별 데이터 제공이 중단되었거나, 관련 자산이 비중이 낮아 재무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순 자산, 플랜트 및 장비, 누적 DD&A 순
- 이 항목은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높아 62.5%에 달하는 2020년 3분기 이후, 대체로 65% 내외에서 유지되어왔다. 2024년 3월 이후에는 약 75%대에 이르는 수준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감가상각 누적액이 증가하거나, 플랜트와 장비 등 고정자산이 지속적으로 장기화되어 가치가 축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향은 기업의 자산집약적 특성을 반영하며, 장기적 운영자산 투자와 유지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기타 자산
- 기타 자산의 비중은 2020년 3.64%에서 점차 2% 후반에서 3% 초반으로 변동하며, 전체 자산 내에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다. 이 항목은 기타 자산이 포트폴리오 다각화 또는 비핵심 자산으로서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비유동자산
- 이 항목은 전체 자산 대비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으며, 2020년 79.79%에서 2024년 88.63%에 이른다. 이는 기업이 비유동 자산에 매우 의존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며, 장기 자산 투자와 감가상각에 따른 자산 축적이 주요 특성임을 반영한다. 비유동자산 증가는 기업의 자산 구조가 주로 고정자산 중심임을 의미하며, 장기적 성장 기반 마련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 총 자산
- 전체로서 일정한 비중과 구조를 유지하며,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자산 항목들의 변화와 조정을 통해 자산 포트폴리오가 점차 장기 자산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자산이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비유동자산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은 기업의 성장 전략과 투자 방향이 장기 자본 투자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