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제공되는 Hilton Worldwide Holdings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손실) | Hilton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의 추세를 보여주며, 모든 수치는 US$ 백만 달러 단위로 제시되어 있다. 팬데믹 기간인 2020년의 충격이 모든 지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고, 이후 2021년부터 회복세가 나타나 2022년과 2023년에는 매출과 이익 지표가 급반등하거나 회복세를 이어간 것으로 관찰된다. 전반적으로는 초기 증가기, 이듬해 감소기, 팬데믹 충격, 이후 회복의 흐름이 확인된다.
매출 측면에서 2013년에서 2016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1,663(백만 달러)으로 정점을 이룬 뒤, 2017년부터 2019년까지는 약간의 감소를 보이며 9,452로 하락했다. 2020년에는 4,307로 급격히 감소했고, 2021년은 5,788로 반등했으며 2022년은 8,773로 다시 상승했고 2023년에는 10,235로 회복 속도가 이어졌다. 이러한 흐름은 팬데믹의 직간접적 영향으로 인한 수요 급감과 그에 따른 운영 규모의 조정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2023년 매출은 2019년과 비교했을 때 회복 폭이 크지 않지만, 2019년 수준에 근접하거나 그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영업이익은 2013년 1,102에서 2015년 2,071으로 상승하며 개선 흐름을 보였고, 2016년 1,861로 소폭 하락했다. 이후 2017년 1,372, 2018년 1,432, 2019년 1,657로 다시 상승했고, 2020년에는 -418로 큰 폭의 손실이 발생했다. 2021년에는 1,010으로 반등했고 2022년 2,094, 2023년 2,225로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2015년 정점에 근접하거나 그보다 높은 수준까지 회복했다. 팬데믹 시기의 손실은 운영비 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일시적 매출 급감의 결합으로 해석되며, 이후의 회복은 매출 회복과 함께 규모의 확장과 비용 관리의 개선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주 귀속 순이익은 2013년 415에서 2015년 1,404로 급증한 뒤 2016년 348로 급락하고, 2017년 1,259로 회복했다. 이후 2018년 764로 감소했고 2019년 881로 반등했다. 2020년에는 -715의 큰 손실을 기록했고, 2021년 410으로 소폭 회복되며, 2022년 1,255, 2023년 1,141로 다시 회복 흐름이 지속되었다. 순이익의 변동성은 매출과 영업이익의 흐름보다 더 큰 편이며, 비영업적 요소나 일시적 손실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된 구간이 존재한다. 2022년의 대폭적인 반등은 영업이익의 개선과 함께 순이익의 회복을 뒷받침한 주요 요인으로 해석된다.
- 관찰된 주요 패턴
- 팬데믹 직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상승 기조를 유지하다가 2020년에 큰 타격을 받았고, 2021년 이후 매출과 영업이익이 빠르게 회복되며 2022년과 2023년에는 다시 견조한 성장 흐름으로 돌아섰다. 순이익은 더 큰 변동성을 보이며, 2020년 손실 이후 2021-2023년 사이에 점진적 회복이 나타났다.
- 매출의 구조적 변화와 리커버리
- 2013-2016년의 강한 매출 증가 이후 2017-2019년 다소 완만한 감소를 보였으나, 2020년의 급락 이후 2021년~2023년의 회복에서 매출 규모가 급격히 회복되었다. 이는 수요의 반등과 함께 운영 규모의 재정비가 동시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 수익성의 회복 속도
- 영업이익은 2020년 큰 손실에서 2021년 재개되었고 2022년과 2023년에는 사상의 최대치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순이익은 비영업적 요인에 따른 변동성이 큼에 따라 회복 속도가 영업이익의 개선보다 더 느리거나 불규칙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 시사점
- 전반적으로는 외부충격에 대한 회복력과 재개된 성장 흐름이 확인되나, 팬데믹과 같은 대외 요인의 변동성은 순이익에 비해 영업실적의 리듬을 더 크게 좌우하는 경향을 보인다. 매출이 회복되더라도 순이익의 구조적 개선 여부는 비용 관리, 이자 및 비영업적 비용의 흐름 등 요인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이 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의 흐름은 두 가지 자산 항목에서 확인되며, 시계열 간의 변화와 그에 따른 해석을 중심으로 요약된다.
- 유동 자산(US$ 단위: 백만 달러)
- 2013: 2383, 2014: 2499, 2015: 2585, 2016: 3557, 2017: 1986, 2018: 1983, 2019: 2093, 2020: 4202, 2021: 2871, 2022: 2870, 2023: 2614. 해석: 2013년에서 2016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에 피크를 형성했으나 2017년부터 2018년까지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2019년에는 소폭 회복했고 2020년에는 큰 폭으로 상승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뒤,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감소세를 보이며 2023년 수치는 2013년보다 다소 높으나 2016년 피크 대비로는 낮다. 전반적으로 단기 유동성의 변동성이 커진 구간이 있었고, 팬데믹 직후의 급격한 증가와 그 이후의 조정이 관찰된다.
- 총 자산(US$ 단위: 백만 달러)
- 2013: 26562, 2014: 26125, 2015: 25716, 2016: 26211, 2017: 14308, 2018: 13995, 2019: 14957, 2020: 16755, 2021: 15441, 2022: 15512, 2023: 15401. 해석: 2013년에서 2016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7년에 대폭 축소되었고 2018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2019년 소폭 반등했고 2020년에는 다시 상승했으나 2021년 이후에는 15,400~15,600대 범위에서 비교적 안정화되었다. 전반적으로 2010년대 중반의 규모에서 2020년대 초에 큰 조정을 겪은 후, 이후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의 순환적 변동이 지속되는 양상이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현재 만기를 포함한 장기 부채 | Hilton 주주 자본 총합(적자) |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유동부채
-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유동부채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2,142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3년에는 3,722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중간에 일부 변동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증가하는 흐름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증가는 회사의 단기 부채 부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총 부채
- 총 부채 역시 같은 기간 동안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며 전반적으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2013년 22,286백만 달러였던 것이 2023년에는 17,748백만 달러로, 일부 연도에 내림세가 관찰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늘어난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2018년 이후 부채가 다시 증가하는 움직임이 뚜렷하며, 이는 자본 조달이나 채무 구조 조정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 현재 만기를 포함한 장기 부채
- 이 항목은 전체 부채 내에서 만기를 포함한 장기 부채의 추세를 보여준다. 2013년 12,723백만 달러에서 2023년 9,196백만 달러로 변화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유사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2016년 이후에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후 일부 회복세를 나타내지만, 장기 부채의 규모는 대체로 안정성을 띠고 있다.
- 주주 자본 총합(적자)
- 주주 자본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며 4,363백만 달러에서 5,985백만 달러에 이른 후, 이후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이 뚜렷하다. 2016년 이후에는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2023년에는 -2,360백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회사의 순자산이 축소되고 있으며, 적자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2019년 이후 적자가 가속화되고 있는 점은 재무 구조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주어진 기간의 현금 흐름 항목별 추세를 내부 보고서 형식으로 관찰한 결과, 운영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구성 변화와 변동성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래는 각 항목의 연도별 값과 전반적 패턴에 대한 요약이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단위: US$ 백만 달러
- 2013: 2101, 2014: 1366, 2015: 1394, 2016: 1350, 2017: 924, 2018: 1255, 2019: 1384, 2020: 708, 2021: 109, 2022: 1681, 2023: 1946
- 추세 요약: 초기에는 점진적 감소 흐름이 지속되다가 2017년 저점(924)을 보였다. 이후 2018~2019년에 소폭 회복되었으나 2020년 팬데믹 영향을 크게 받아 급락(708)했다. 2021년에는 추가적으로 큰 감소를 보였으나 2022년 재차 급반등하여 2023년에는 1,946로 다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팬데믹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았던 구간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 연도별 순현금 흐름(세 가지 활동의 합): 2013 -144, 2014 -14, 2015 +62, 2016 +843, 2017 -1022, 2018 -176, 2019 +148, 2020 +2633, 2021 -1741, 2022 -207, 2023 -399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단위: US$ 백만 달러
- 2013: -382, 2014: -310, 2015: 392, 2016: -478, 2017: -222, 2018: -131, 2019: -123, 2020: -107, 2021: -57, 2022: -123, 2023: -305
- 추세 요약: 전반적으로 음수로 나타나 지속적인 자본투자 및 자산 취득에 따른 현금 유출이 우세했다. 2015년에 예외적으로 양수 392를 기록했으나, 그 이후로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대부분 음수로 나타나 투자활동에서의 현금 지출이 주된 흐름이었다. 2023년에는 음수 규모가 다시 확대되었다.
- 연도별 순현금 흐름(세 가지 활동의 합): -144, -14, +62, +843, -1022, -176, +148, +2633, -1741, -207, -399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단위: US$ 백만 달러
- 2013: -1863, 2014: -1070, 2015: -1724, 2016: -29, 2017: -1724, 2018: -1300, 2019: -1113, 2020: 2032, 2021: -1793, 2022: -1765, 2023: -2040
- 추세 요약: 대체로 음의 흐름이 지배적이며, 자금조달 및 배당/주주환원 등으로 인한 현금 지출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2017년과 2015년, 2013년~2014년 등에서 큰 규모의 현금 유출이 관찰된다. 2020년에는 예외적으로 2,032의 순현금 조달이 발생해 단기간 현금 여력을 크게 확충했으나, 그 해를 기점으로 2021년~2023년에는 다시 큰 폭의 현금 유출이 지속되었다.
- 연도별 순현금 흐름(세 가지 활동의 합): 2013 -144, 2014 -14, 2015 +62, 2016 +843, 2017 -1022, 2018 -176, 2019 +148, 2020 +2633, 2021 -1741, 2022 -207, 2023 -399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제시된 연간 데이터는 주당순이익(EPS) 및 주당 배당금(DPS)의 변화를 연도별로 보여 준다. 내부 보고서 형식의 시각으로, 관찰된 패턴과 변화에 집중하여 객관적으로 요약한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13: 1.35, 2014: 2.05, 2015: 4.27, 2016: 1.06, 2017: 3.88, 2018: 2.53, 2019: 3.07, 2020: -2.58, 2021: 1.47, 2022: 4.56, 2023: 4.36
- 희석된 주당순이익
- 2013: 1.35, 2014: 2.05, 2015: 4.26, 2016: 1.05, 2017: 3.85, 2018: 2.50, 2019: 3.04, 2020: -2.58, 2021: 1.46, 2022: 4.53, 2023: 4.33
- 주당 배당금
- 2013: 누락, 2014: 누락, 2015: 0.42, 2016: 0.84, 2017: 0.60, 2018: 0.60, 2019: 0.60, 2020: 0.15, 2021: 누락, 2022: 0.45, 2023: 0.60
관찰된 주요 패턴은 다음과 같다. 기본 EPS와 희석 EPS는 대체로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연도 간 차이는 대개 몇 센트 내에 좁혀진다. 2015년에는 두 지표 모두 정점에 도달하는 경향을 보이고, 2016년에는 하락, 2017년에는 다시 반등한 뒤 2019년까지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 2020년에는 큰 하락으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2021년에 회복세를 보이지만 2020년의 마이너스 값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못했다.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큰 상승세로 회복되며 사상 최댓값에 근접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다만 2023년 수치는 2022년보다 약간 하락했으며, 2020년의 충격 이후의 회복이 다소 연속적이지 않음을 시사한다.
배당금은 2015년부터 기록이 시작되며, 2016년에 이전 대비 큰 증가(0.84)가 나타났고, 이후 2017~2019년까지는 0.60으로 비교적 안정된 지급 흐름을 보였다. 2020년에는 배당이 크게 감소(0.15)하였고, 2021년은 데이터가 누락되어 추세를 판단하기 어렵다.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0.45와 0.60으로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지만, 팬데믹 이전의 안정적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한 모습이다. 누락된 데이터가 있는 연도는 해당 기간의 현금 배당 정책 변화 여부에 대한 판단을 제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