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Kimberly-Clark Corp.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의 이익률 동향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의 이익률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53%에서 시작하여 20.7%로 약간의 변동 폭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특별히 큰 변동은 없으며, 거의 평탄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 수익성 면에서 안정적임을 시사한다.
- 소비자 조직 부문의 이익률 변화
-
이 부문은 2016년에 18.72%였으며 이후 2018년까지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14.55%를 기록하였다.
2019년에는 소폭 회복되어 16.8%를 나타냈으며, 2020년에는 21.55%로 큰 폭의 상승을 보여준다.
이러한 추세는 소비자 조직 부문이 2020년보다 이후에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며, 최근 들어 효율성 또는 가격 전략의 성공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 K-C 프로페셔널 부문의 이익률 추이
-
이 부문은 2016년 19.14%에서 2017년과 2018년에는 약간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2019년에는 19.96%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이익률이 17.49%로 하락하여, 비교적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화는 이 부문의 수익성에 최근 압력이 있었음을 반영하며, 시장 또는 비용 구조 조정에 따른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퍼스널 케어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6년과 2017년 사이에 영업이익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에는 약간 하락하였으나 이후 다시 상승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에는 1933백만 달러로, 전체 기간 동안 평탄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영업이익은 안정적이면서도 점진적인 증가세를 시사한다.
- 순 매출액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순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각각 9046백만 달러에서 9339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글로벌 시장 확대 또는 제품 판매 증대 가능성을 반영한다. 이 기간 동안 매출은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부문 이익률은 2016년 20.53%에서 2017년 21.01%로 상승하였다가, 2018년 20.28%로 일시적으로 하락하였다. 이후 2019년 20.9%로 회복되고, 2020년에는 20.7%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전체 기간 동안 이익률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수익성은 양호한 편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소비자용 티슈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감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875백만 달러와 1007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1448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상승하여 전년 대비 약 44%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2020년에 강한 성장을 이루었음을 시사한다.
- 순 매출액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전반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2020년에 6718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2% 증가하였다. 이는 시장 확장 또는 판매 활동의 활성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지속적인 매출 증가는 회사의 시장 점유율 유지 또는 확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6년 18.72%에서 2018년 14.55%로 하락하였다가 2019년에는 16.8%로 반등하였다. 2020년에는 21.55%로 대폭 증가하여 가장 높게 기록되었으며, 이는 수익성 개선을 위한 비용 효율화 또는 가격 정책의 개선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익률의 상승은 회사의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K-C 프로페셔널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 매출액
= 100 × ÷ =
- 영업이익
- 2016년 이후 2017년까지는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에는 약간의 정체를 나타냈다. 2019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2020년에는 약 20%의 감소를 보여 전체적으로는 2016년 대비 일부 회복 후 다시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변동은 시장 상황이나 비용 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 순 매출액
-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에는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약 3,292백만 달러와 3,019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매출이 정체 또는 축소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며, 매출 규모가 하락하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2016년의 19.14%에서 2017년에는 약간 상승하여 19.73%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8년에는 18.75%로 하락했으며, 2019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19.96%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에는 크게 하락하여 17.49%에 머물러, 수익성 차원의 일부 약화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익률은 20% 내외에서 변동하며, 수익성의 안정성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의 자산 수익률은 2016년 30.24%에서 2017년 28.93%로 약간 하락했으며, 이후 2018년 29.53%로 소폭 회복되고 2019년에는 28.72%로 다소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2020년에는 22.78%로 상당히 큰 폭으로 하락하여, 수익률이 일관된 상승 또는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해당 세그먼트의 수익성에 있어 최근 몇 년간 어려움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 소비자 조직⸺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의 자산 수익률은 2016년 23.46%에서 2017년 20.65%로 감소했으며, 2018년에는 18.47%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2019년에는 20.33%로 소폭 반등했으며, 2020년에는 27.7%로 상당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 세그먼트의 수익성이 최근 몇 년간 개선되고 있음을 암시하며, 특히 2020년에 견고한 회복을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 프로페셔널⸺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의 자산 수익률은 2016년 28.03%에서 2017년 28.07%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2018년에는 27.75%로 약간 감소하였다. 이후 2019년에는 26.9%로 소폭 하락했고, 2020년에는 20.7%로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0년에 갑작스럽게 수익률이 낮아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세그먼트 전반에 걸친 수익성 하락을 의미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퍼스널 케어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동향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영업이익은 대부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6년 1,857백만 달러에서 2017년에는 약간 증가하여 1,907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8년 1,833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하였으나 다시 2019년 1,904백만 달러로 회복되었습니다. 2020년에는 1,933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전반적으로 영업이익은 일정 수준 내에서 꾸준히 유지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총 자산 규모의 변화
- 총 자산은 2016년 약 6,141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8,486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특히,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누적된 자산 증가가 두드러지며, 2020년에는 그 이전보다 상당한 상승(약 2,856백만 달러)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기업이 자산 규모를 확대하거나 신규 투자를 통해 자산을 증가시킨 결과로 해석됩니다.
- 자산수익률(ROA)의 변화
- 자산수익률은 2016년 30.24%에서 차차 하락하여 2020년에는 22.78%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2017년 28.93%, 2018년 29.53%, 2019년 28.72%로 집계된 이후, 2020년에는 저하된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는 자산 대비 수익성이 다소 축소되었음을 의미하며, 기업이 자산을 확장하는 가운데 효율성이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소비자용 티슈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추세와 분석
-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영업이익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 이후 다시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8년에 최저점을 기록한 후, 2019년에는 소폭 회복되었고 2020년에는 상당한 폭으로 증가하여 정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영업활동이 일시적 또는 구조적 요인에 따라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자산 규모와 변동성
- 전반적으로 자산은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6년 4,761백만 달러에서 2020년 5,227백만 달러로 약 1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가 지속적으로 자산을 확보하여 사업의 확장 또는 재투자에 힘쓰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 자산 수익률의 변화와 의미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은 2016년 23.46%에서 2018년 18.47%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19년에도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그러나 2020년에는 급격히 상승하여 27.7%에 이르렀다. 이는 자산 대비 수익성이 2020년에 크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내며, 효율적인 자산 활용 또는 영업이익의 증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영업이익 및 자산이 모두 증가하는 가운데 수익률이 상승한 점은 회사의 운영 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K-C 프로페셔널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6년 이후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603백만 달러와 633백만 달러, 2019년에는 약간 증가하여 657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0년에는 528백만 달러로 감소하여, 전년 대비 상당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영업이익이 일부 기간 동안 변동성을 보였음을 나타낸다.
- 자산
- 총 자산 규모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왔다. 2016년 2,151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2,551백만 달러로 늘어나, 약 2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증가는 회사의 자산 기반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비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28.03%, 28.0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8년 27.75%, 2019년 26.9%, 2020년에는 20.7%로 떨어졌다. 이러한 감소는 자산 대비 수익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의견할 수 있으며, 이는 자산 활용 효율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비교적 안정된 범위 내에서 움직였으며, 2016년에 1.47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17년과 2018년에는 약간 낮아졌습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37과 1.1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특히 2020년의 수치는 이전 연도보다 상당히 낮아져 자산의 효율적 활용이 둔화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해당 세그먼트의 운영 효율성에 일시적 혹은 지속적인 악재가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 조직⸺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경향을 띠고 있으며, 2016년 1.25에서 2017년 1.18로 소폭 하락 후, 2018년 1.27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후 2019년 1.21로 약간 낮아졌으며, 2020년에는 1.29로 다시 상승하여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세그먼트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운영 성과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자산 활용도가 일부 개선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K-C 프로페셔널⸺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2016년 1.46에서 2017년 1.42로 약간 낮아졌다가, 2018년에는 다시 1.48로 회복하는 등 변동 폭이 크지 않게 나타났습니다. 2019년에는 1.35로 일시적으로 하락하였으며, 2020년에는 다시 1.18로 크게 하락하였는데, 이는 다른 세그먼트와 달리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주는 점이 눈에 띕니다. 자산 활용 효율이 감소하는 모습을 통해 이 세그먼트의 운영 효율성 저하 또는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퍼스널 케어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 추세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분석 기간 동안, 순 매출액은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전반적인 증대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6년 9,046백만 달러에서 2020년 9,339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2018년 이후로도 꾸준한 매출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는 회사가 꾸준한 수요를 유지하거나, 일정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온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자산 규모의 변화
- 자산은 연도별로 변동이 있으나, 전체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 6,141백만 달러에서 2020년 8,486백만 달러로 약 38%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업이 계속해서 자산을 확충하거나 자본적 지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20년에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자산이 늘어난 점이 특징적입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의 변화
- 이 비율은 2016년 1.47에서 2020년 1.1로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산 회전율의 하락은 자산을 활용한 매출 창출 효율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 증대에 비해 매출 증가가 상대적으로 느려졌거나, 비효율적인 자산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 일부 자산의 운용 방식 또는 투자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할 수도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소비자용 티슈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 분석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관찰된 순 매출액은 전반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간의 변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과 2017년 사이에는 거의 유사한 수준인 5967백만 달러와 5932백만 달러로 유지되었으며,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줍니다. 2020년에는 약 6718백만 달러로 전년보다 증가하여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이는 시장 내 수요 증대 또는 제품 라인업의 개선, 또는 판매 전략의 변화 등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 자산 수준 변화
- 자산은 2016년에는 4761백만 달러였으나 2017년에는 5007백만 달러로 증가 후, 2018년에는 4738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4954백만 달러와 5227백만 달러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면서 자산 규모가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이 운영 활동의 확장 또는 재무 전략에 따른 자본 지출 증대 등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6년 1.25에서 2017년 1.18로 일시적으로 하락했으나,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27과 1.21로 소폭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2020년에는 1.29로 다시 상승하여 회사의 자산 이용 효율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비율이 높아질수록 자산이 매출 창출에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전반적으로 기업의 운영 효율성 또는 자산 활용도가 향상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K-C 프로페셔널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의 추세
- 2016년 이후로, 순 매출액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에는 정점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2019년에 약간의 하락이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시장 환경이나 경쟁 상황, 기업 전략 변화 등에 따른 결과일 수 있으며, 2018년까지는 성장세가 지속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자산 규모의 변화
- 자산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16년 2151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2551백만 달러로 늘어났습니다. 이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자산을 축적하거나 투자 확대를 추진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자산 확대가 회사의 장기적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의 1.46에서 2020년에는 1.18로 저하되었으며, 이는 자산이 보유하는 효율성이 감소하거나 자산의 활용도가 낮아졌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성 저하나 투자실행 효율성의 둔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기업이 자산 활용의 최적화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의 자본 지출 비율 추이
- 2016년 이후, 감가상각 비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에는 가장 낮은 수준인 0.97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2019년에는 1.2로 반등하였으며, 2020년에는 다시 급증하여 1.78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해당 부문에서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활동이 일정 기간동안 유사하거나 줄어든 후, 2020년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특징적입니다.
- 소비자 조직 부문의 자본 지출 비율 추이
- 이 부문에서도 감가상각 비율은 전반적으로 평균 수준에 가까운 값을 유지하는 가운데, 2016년 0.89에서 2017년 0.99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2018년에는 약 0.9로 유지되었습니다. 2019년에는 1.31로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1.17로 다소 낮아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지출 활동이 변동하는 동안 감가상각 규모 역시 동반 변동했음을 나타내며, 특히 2019년에 일시적인 증대 현상이 관찰됩니다.
- K-C 프로페셔널 부문의 자본 지출 비율 추이
- 이 부문은 감가상각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6년 0.82에서 시작해 2018년에는 1.3에 달했고, 2019년에는 1.76, 2020년에는 1.84로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K-C 프로페셔널 부문이 지속적인 자본 지출 증대와 감가상각 증가를 경험하며, 해당 활동이 확장 또는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19년과 2020년간의 지속적인 상승은 이 부문의 투자 집중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줍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퍼스널 케어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6년 이후 2020년까지 자본 지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421백만 달러에서 2020년 616백만 달러로 약 46% 정도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성장률도 상승하는 모습이다. 이 증가는 기업의 시설 투자 및 자산 확장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반영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6년 305백만 달러에서 2018년 426백만 달러까지 상승한 후, 2019년 430백만 달러로 약간 정체되었다가 2020년에는 347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의 내용 연수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경, 또는 특정 자산의 처분과 관련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자본 지출 대비 감가상각의 비율로서, 2016년 1.38에서 2018년 0.97까지 하락하는 압축된 모습이다. 2019년에는 1.2로 소폭 상승했으며, 2020년에는 1.78로 급증하였다. 이 비율의 증가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보다 훨씬 크게 증가했음을 의미하며, 기업이 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였거나, 미래의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상당한 자본 지출을 진행했음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소비자용 티슈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자본 지출은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습니다. 2016년 250백만 달러에서 2019년 489백만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2020년에는 391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생산 설비 또는 인프라 확장 등 기업의 장기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6년 280백만 달러에서 2018년 331백만 달러로 상승하였고, 이후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372백만 달러와 334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자본 지출과 병행하여 자산의 감가상각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보고 기간 내에서 자산의 가치 하락에 따른 비용 산출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지표는 감가상각 및 상각과 자본 지출 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2016년 0.89에서 2017년 0.99로 상승하였고, 2018년 0.9로 회복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1.31로 급증하였으며, 2020년에는 1.17로 다소 낮아졌습니다. 이 패턴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을 초과하는 시기와 일치하며, 기업이 설비 투자 확대 또는 자산 증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19년의 높은 비율은 대규모 투자 활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K-C 프로페셔널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 2020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자본 지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 95백만 달러에서 2020년 204백만 달러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2018년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나타내며, 2019년과 2020년 각각 195백만 달러와 204백만 달러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가 미래 성장을 위한 자산투자 또는 인프라 강화에 지속적으로 재원을 배분하는 전략을 시행 중임을 시사합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과 상각 금액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18년 이후에는 다소 변동이 크지 않으며 2019년과 2020년 각각 111백만 달러를 기록해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감가상각 비용은 자본 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변화폭이 크지 않으며, 선택된 감가상각 정책 또는 자산 내구 수명이 일정하다는 점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6년 0.82에서 시작하여 꾸준히 상승하여 2020년 1.84에 달하는 등 크게 증가한 양상을 보입니다. 이는 감가상각 비용 대비 자본 지출의 비율이 2016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음을 의미하며, 회사가 더 많은 자본 지출을 감가상각 비용에 반영하고 있거나, 자본 투자의 규모가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현저히 커졌음을 나타냅니다. 이 변화는 기업이 투자 활동을 강화하는 과정임 또는 감가상각 기준을 변경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순 매출액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
기업 &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전체 매출 동향
-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총 매출액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19,140백만 달러로 집계되어, 2016년의 18,202백만 달러에 비해 약 5%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추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의 매출 분석
-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연평균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2016년의 9,046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9,339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전 기간 동안 안정적인 매출 유지와 약간의 성장을 보여줍니다. 이는 해당 부문이 핵심 사업 부문임을 반영하며, 시장 수요의 안정적 또는 증가 추세를 시사합니다.
- 소비자 조직 부문의 매출 동향
- 소비자 조직 부문은 2016년 5,967백만 달러였던 매출이 2018년까지는 소폭 증가하여 6,015백만 달러에 이르렀으며,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019년에는 5,993백만 달러, 2020년에는 6,718백만 달러로 각각 증가해, 특히 2020년에 급격한 상승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소비자 수요의 일부 회복 또는 신규 시장 개척 효과일 수 있습니다.
- K-C 프로페셔널 부문의 매출 변화
- K-C 프로페셔널 부문은 2016년 3,150백만 달러에서 2018년 3,382백만 달러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9년에 약간 하락하여 3,292백만 달러로 조정되고, 2020년에는 다시 하락하여 3,019백만 달러에 그쳤습니다. 이는 업계 특성 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 기업 및 기타 부문의 매출 표출
- 이 부문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이며, 2016년 39백만 달러에서 점차 증가하여 2020년에는 64백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연평균 성장률은 높지 않지만, 지속적인 소액 매출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신규 비즈니스 또는 부수적 사업 부문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전체적인 분석 요약
- 이 재무 데이터는 전체 매출액이 안정적인 성장 경로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이 지속적인 강세를 보임을 보여줍니다. 소비자 조직 부문은 2020년 들어 큰 폭의 매출 증가를 나타내어, 기업의 시장 전략 또는 소비자 수요의 회복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반면, K-C 프로페셔널 부문은 일부 기간 동안 매출 변동을 겪으며 성장세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회사는 핵심 사업 부문의 강한 시장 입지와 점진적 시장 확장으로 안정적 성장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
기업 & 기타 | |||||
그 외의 수입 및 (비용), 순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영업이익의 전반적인 추세
-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영업이익은 상당히 변동성을 보였으며, 2018년에는 2,229백만 달러로 가장 낮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나,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2,991백만 달러와 3,244백만 달러로 회복하여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 2020년 사이에는 약 8.5%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의 영업이익
- 이 부문은 일관된 성장세를 보여 2016년 1,857백만 달러에서 2020년 1,933백만 달러로 약 4.2%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연평균 성장률은 높지 않으나, 안정적 유지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소비자 조직 부문의 영업이익
- 이 부문은 2016년 1,117백만 달러에서 2018년 875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2019년 상승하여 1,007백만 달러, 2020년에는 1,448백만 달러로 회복 및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에는 전년 대비 약 44%의 급증이 관찰되어, 회복과 성장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 K-C 프로페셔널 부문
- 이 부문은 2016년 603백만 달러에서 점차 소폭 상승하여 2018년 63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657백만 달러와 528백만 달러로 변동이 있었다. 특히 2020년에는 약 19.7%의 하락을 겪었으며, 이는 이 부문에서의 일시적인 부진을 나타낼 수 있다.
- 기업 및 기타 부문의 영업이익과 기타 수입·비용
- 기업 & 기타 부문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적자가 지속되었으며, 2018년에는 -1,112백만 달러로 가장 심한 적자를 기록하였다. 2019년과 2020년에 개선되어 각각 -787백만 달러와 -719백만 달러로 적자폭이 감소하였다. 기타 수입 및 비용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마이너스로 유지되다가,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210백만 달러와 54백만 달러의 순수익을 기록하여 적자 축소와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 총 영업이익의 변화
- 모든 부문별 성과를 반영하여, 2016년 3,317백만 달러에서 2018년 급감하여 2,229백만 달러에 이르렀다가, 이후 회복세를 보여 2019년 2,991백만 달러, 2020년에는 3,244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하였다. 이는 전체적인 기업의 수익성이 회복되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감가상각 및 상각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
기업 &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 감가상각 및 상각
-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으며, 2018년에 정점을 기록한 후 2019년까지 소폭 증가하였으나, 2020년에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해당 제품 부문의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이 일시적인 성과 또는 투자 전략의 변경에 따라 변화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 조직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부문의 비용은 2016년부터 꾸준히 상승하여 2018년에 정점을 이루었으며, 2019년 이후에는 소폭 감소하거나 정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시장 수요나 생산 규모 변화에 따른 조정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K-C 프로페셔널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항목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6년에서 2019년 사이에는 약간의 변동만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에는 다소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큰 변화는 아니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비용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기업 & 기타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부문은 매우 작은 규모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요 부문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부수적이거나 비핵심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 비용임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 전체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총 비용은 2016년 705백만 달러에서 2018년 882백만 달러까지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917백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후 2020년에는 796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일부 부문의 비용 감축이나 자산 정리로 인한 영향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비용은 연속된 증가세 후 2020년에 조정을 겪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자본 지출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
기업 &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자본 지출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개인 위생 용품 부문의 자본 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421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9년 2018년 이후 점차 상승하여 2020년 616백만 달러에 이르렀으며, 특히 2018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이 높아져 신규 설비 투자 또는 제품 개발에 대한 회사의 전략적 확대 노력을 엿볼 수 있다.
- 소비자 조직⸺자본 지출
- 소비자 조직 부문은 다소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자본 지출이 증가하는 방향을 유지하고 있다. 2016년 250백만 달러에서 2018년까지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2019년 잠시 정체되거나 다소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020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39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시장 확대 또는 신제품 개발을 위한 투자 강화를 시사한다.
- K-C 프로페셔널⸺자본 지출
- 이 부문의 자본 지출은 2016년 95백만 달러에서 2020년 204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2018년과 2019년 사이에 비교적 큰 폭의 성장(157백만 달러에서 195백만 달러)으로, 글로벌 또는 기업 고객 대상 제품 시장 확대 혹은 인프라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 기업 & 기타⸺자본 지출
- 이 분류의 자본 지출은 5백만 달러에서 7백만 달러로 다소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규모는 크지 않다. 레인지 내에서 제한적이지만, 장기적 또는 특별 프로젝트를 위한 소규모 투자를 지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 합계⸺자본 지출
- 전 부문을 포함한 총 자본 지출은 2016년 771백만 달러에서 2020년 1217백만 달러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특히 2018년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보여, 회사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인프라 확장 또는 신시장 개척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 중임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투자 패턴이 두드러진다.
자산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2017. 12. 31. | 2016. 12. 31. | |
---|---|---|---|---|---|
개인 위생 용품 | |||||
소비자 조직 | |||||
K-C 프로페셔널 | |||||
기업 &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 개인 위생 용품⸺자산
- 이 항목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의 6,141백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8,486백만 달러로 증가하여, 약 38%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 기간 동안 자산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어, 해당 부문의 시장 점유율 또는 사업 규모가 확장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2020년에는 전년 대비 큰 폭의 증가를 나타내어 구조적 또는 운영상의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소비자 조직⸺자산
- 이 부문은 전체 기간 동안 비교적 안정된 자산 규모를 유지하고 있으나, 소폭의 증감이 반복되고 있다. 2016년 4,761백만 달러에서 2020년 5,227백만 달러로 약 10%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2017년과 2018년에는 다소 정체 또는 축소된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 다시 회복하는 양상이다. 이는 시장 혹은 사업 활동의 변화, 또는 투자와 관련된 전략적 조정을 반영할 수 있다.
- K-C 프로페셔널⸺자산
- 이 부문은 꾸준한 성장을 보여 2016년 2,151백만 달러에서 2020년 2,551백만 달러로 약 18.5% 증가하였다. 연평균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전문용품 또는 프로페셔널 서비스 부문의 확장 또는 인수합병 활동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해당 부문의 자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 기업 & 기타⸺자산
- 이 항목은 2016년 1,549백만 달러 이후로 축소 또는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19년까지 약 20% 가량 감소하였다. 그러나 2020년에는 1,259백만 달러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업 구조조정, 비핵심 자산 매각 또는 재무 전략 변경 등에 기인할 수 있다.
- 합계⸺자산
- 전반적으로 총자산은 2016년 14,602백만 달러에서 2020년 17,523백만 달러로 약 20% 증가하였다. 이는 각 부문별 자산 증가와 더불어 기업의 자본 확장 또는 투자 활동이 활발했음을 반영한다. 특히 2020년에는 전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여 기업의 성장 또는 포트폴리오 확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