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이 항목은 전체 기간 동안 회사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18년 초반에 전체 자산의 약 41.09%를 차지하였으나, 2018년 6월에 급격히 감소하여 18.99%를 기록하였다. 이후 점차적인 변동을 보이며 2020년대에 이르러 일부 회복 또는 감소가 반복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2023년에는 다시 13%대에 오른 후 소폭 변화를 보이고 있다.
- 단기 투자
- 이 항목은 회사가 단기 유동성 확보 또는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으로,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이 높음을 보여준다. 2018년에는 48.74%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고, 이후 일관되게 40~70% 범위 내에서 변화하였다. 특정 기간에는 2018년 9월(79.33%), 2021년 6월(66.02%) 및 2023년 중반(63.74%)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유동성 전략이나 단기적 자금 운용 방침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 미수금
- 이 항목은 매출 또는 거래대금 정산과 관련된 미수금 잔액을 나타내며, 전반적으로 낮은 비중을 유지하였다. 2018년 9월 이후 1% 이하로 안정된 모습이며, 일부 기간에는 잠깐 동안 6% 이상을 기록하는 등 변동이 발생하였다. 이는 회사의 수금 또는 고객의 결제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계약 자산
- 이 항목은 계약과 관련된 수익 인식 또는 계약 진행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2018년 초에는 6.63%의 비중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1년 이후에는 기록이 없거나 미확인 상태이다. 이는 계약 기반 수익 인식 또는 계약의 축소 또는 만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회사의 수익창출 방식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선불 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
- 이 항목은 회사가 선불로 지급한 비용이나 기타 유동성을 갖는 자산으로, 전체 자산에서 안정적인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대체로 0.5% ~ 2.7% 범위 내에서 변화하며, 전체 유동 자산 내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정 기간(2022년 및 2023년 후반기)에서 약 2.5%를 넘는 시점도 관찰되며, 이와 같은 증가는 비용 선지급 또는 기타 유동성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 유동 자산
- 전 기간에 걸쳐 전체 자산 대비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80% 이상을 유지하는 강한 유동성 비중을 보여준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약 75% 이상을 유지하였으며, 특히 2018년과 2020년대 초반에 강한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회사가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여 재무 안정성을 유지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장기 투자
- 이 항목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기간에는 약 23.12%까지 상승하는 등, 회사가 장기 자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예를 들어 2018년에는 대부분 미확인 또는 미기록 상태였으며, 이후 2019년 이후에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는 회사가 장기 성장 또는 전략적 투자를 위해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 재산 및 장비, 그물
- 이 항목은 회사의 물리적 고정자산을 나타내며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8년 말 약 1.13%였던 비중이 2023년에는 약 10% 이상으로 확대되었는데, 특히 2020년 이후 급격히 상승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이는 회사의 설비 투자 또는 장기적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자산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 운용리스 사용권 자산
- 이 항목은 2021년 이후 급격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2023년까지 1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새로운 회계 기준 도입 또는 리스 자산의 인식 확대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장기 부채 또는 리스 자산의 증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며, 기업 재무구조의 변화 신호로 볼 수 있다.
- 기타 자산
- 비중이 변동적이지만 대체로 0.8%에서 1.4% 범위 내에 유지되고 있으며, 소폭씩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타 미분류 자산의 비중이 적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 비유동 자산
- 전체 자산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특히 2020년 이후 20~40% 범위 내 까지 확대되었다. 이는 회사가 물리적 설비, 장기 투자, 비유동 금융 자산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볼 수 있으며, 장기적 성장을 위한 자산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에 부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