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손실) | ON Semiconductor Corporation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3. 12. 31. | 8,253,000) | 2,538,700) | 2,183,700) |
2022. 12. 31. | 8,326,200) | 2,360,000) | 1,902,200) |
2021. 12. 31. | 6,739,800) | 1,287,600) | 1,009,600) |
2020. 12. 31. | 5,255,000) | 348,700) | 234,200) |
2019. 12. 31. | 5,517,900) | 432,700) | 211,700) |
2018. 12. 31. | 5,878,300) | 847,200) | 627,400) |
2017. 12. 31. | 5,543,100) | 680,900) | 810,700) |
2016. 12. 31. | 3,906,900) | 236,100) | 182,100) |
2015. 12. 31. | 3,495,800) | 261,100) | 206,200) |
2014. 12. 31. | 3,161,800) | 228,900) | 189,700) |
2013. 12. 31. | 2,782,700) | 218,200) | 150,800) |
2012. 12. 31. | 2,894,900) | (16,300) | (90,600) |
2011. 12. 31. | 3,442,300) | 113,400) | 11,600) |
2010. 12. 31. | 2,313,400) | 374,200) | 290,500) |
2009. 12. 31. | 1,768,900) | 142,600) | 61,000) |
2008. 12. 31. | 2,054,800) | (365,900) | (380,100) |
2007. 12. 31. | 1,566,200) | 277,200) | 242,200) |
2006. 12. 31. | 1,531,800) | 317,000) | 272,100) |
2005. 12. 31. | 1,260,600) | 167,600) | 100,6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해당 기간의 세 가지 재무 지표는 연도별로 나타난 흐름에서 전반적으로 매출의 장기적 증가와 함께 변동성도 동반하는 패턴을 보인다. 매출은 2005년대 초반에 시작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는 구간과 글로벌 경기 및 산업 사이클에 따라 단기간의 조정이 반복되었다.
수익은 2005년 1,260,000에서 시작해 2011년 3,442,300까지 상승한 뒤 2012년과 2013년에 소폭 감소하는 등 변동성을 나타냈다. 이후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상승 폭이 커지며 5,878,300에 도달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다소 조정되었으나 2021년 이후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해 2022년에는 8,326,200까지 올라갔고, 2023년에는 8,253,000으로 다소 소폭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05년 167,600에서 초기 상승세를 보이다가 2008년 -365,900로 큰 손실을 기록했다. 이후 2009년 142,600으로 반등했고, 2010년 374,200까지 증가했다. 2011년에는 113,400으로 하락했고 2012년에는 -16,300으로 다시 적자를 보였다. 2013년 218,200, 2014년 228,900, 2015년 261,100, 2016년 236,100으로 점진적 개선을 보이다가 2017년 680,900, 2018년 847,200으로 크게 상승했다. 2019년 432,700, 2020년 348,700으로 소폭 둔화되었지만 2021년 1,287,600으로 급격히 증가했고 2022년 2,368,000, 2023년 2,538,700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당기순이익(당사 귀속)은 2005년 100,600에서 시작해 2008년 -380,100으로 대폭 감소한 뒤 회복세를 보였다. 2010년 290,500, 2011년 11,600으로 약화됐고 2012년 -90,600으로 다시 마이너스였다. 2013년 150,800, 2014년 189,700, 2015년 206,200, 2016년 182,100으로 점진적 개선을 나타냈다. 2017년 810,700으로 급증했고 2018년 627,400으로 다소 낮아졌다. 2019년 211,700, 2020년 234,200으로 소폭 증가한 뒤 2021년 1,009,600, 2022년 1,902,200, 2023년 2,183,700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 수익
- 2005년 1,260,000에서 시작해 2006년 1,531,800, 2007년 1,566,200, 2008년 2,054,800로 증가를 보이다가 2009년 1,768,900로 감소했다. 2010년 이후 2011년 3,442,300까지 급격히 상승했고, 2012년~2013년 소폭 감소를 거쳐 2014년 3,161,800, 2016년 3,906,900으로 확대되었다. 2017년 5,543,100, 2018년 5,878,300으로 큰 증가를 보였고, 2019년 5,517,900, 2020년 5,255,000으로 다소 조정됐다. 2021년 6,739,800, 2022년 8,326,200으로 정점에 가까워졌고 2023년에는 8,253,000으로 소폭 감소했다.
- 영업이익(손실)
- 2008년 -365,900으로 큰 손실을 기록한 이후 2009년 142,600, 2010년 374,200까지 회복했다. 2011년 113,400, 2012년 -16,300으로 다시 소폭 적자였고, 2013년 218,200, 2014년 228,900, 2015년 261,100, 2016년 236,100으로 점진적 개선을 이어갔다. 2017년 680,900, 2018년 847,200으로 양호한 수익성 확대가 나타났고, 2019년 432,700, 2020년 348,700으로 다소 감소했다. 2021년 1,287,600, 2022년 2,368,000, 2023년 2,538,700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높은 운영 수익성을 유지했다.
- 당기순이익(당사 귀속)
- 2008년 -380,100의 손실 이후 2009년 61,000, 2010년 290,500으로 반등했다. 2011년 11,600, 2012년 -90,600으로 다시 마이너스였고, 2013년 150,800, 2014년 189,700, 2015년 206,200, 2016년 182,100으로 점진적 개선이 나타났다. 2017년 810,700으로 급증했고 2018년 627,400으로 다소 감소했다. 2019년 211,700, 2020년 234,200으로 소폭 증가한 뒤 2021년 1,009,600, 2022년 1,902,200, 2023년 2,183,700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3. 12. 31. | 5,912,300) | 13,215,200) |
2022. 12. 31. | 5,729,400) | 11,978,500) |
2021. 12. 31. | 3,781,600) | 9,626,000) |
2020. 12. 31. | 3,184,100) | 8,668,000) |
2019. 12. 31. | 3,020,000) | 8,425,500) |
2018. 12. 31. | 3,167,800) | 7,587,600) |
2017. 12. 31. | 2,933,200) | 7,195,100) |
2016. 12. 31. | 2,869,100) | 6,924,400) |
2015. 12. 31. | 1,891,500) | 3,869,600) |
2014. 12. 31. | 1,805,800) | 3,823,000) |
2013. 12. 31. | 1,710,200) | 3,257,000) |
2012. 12. 31. | 1,693,400) | 3,328,400) |
2011. 12. 31. | 2,127,700) | 3,883,500) |
2010. 12. 31. | 1,358,000) | 2,919,200) |
2009. 12. 31. | 1,168,600) | 2,414,300) |
2008. 12. 31. | 1,045,200) | 2,354,200) |
2007. 12. 31. | 745,300) | 1,637,600) |
2006. 12. 31. | 700,800) | 1,416,500) |
2005. 12. 31. | 600,300) | 1,148,5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도별 재무 데이터의 두 가지 자산 항목은 기간에 걸쳐 명확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특정 시점에 일시적 조정이 나타난다. 값은 US$ 천 단위로 제공되었다. 아래 내용은 내부 보고서에서 관찰된 패턴과 시사점을 요약한 것이다.
- 유동 자산
- 2005년 600,300에서 시작되어 2011년 2,127,700으로 상승한 뒤 2012년 1,693,400로 소폭 하락하는 등의 변동을 보였다. 2013년에서 2015년 사이에는 완만한 증가 추세가 지속되었고, 2016년 2,869,100으로 급격히 증가하며 증가 폭이 커졌다. 2017년 2,933,200, 2018년 3,167,800로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2019년 3,020,000으로 소폭 감소한 뒤 2020년 3,184,100, 2021년 3,781,600로 다시 상승하였다. 2022년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5,729,400을 기록했고, 2023년에는 5,912,300으로 약간 더 올랐다. 전 기간에 걸쳐 대체로 증가 흐름이 지속되었고, 특히 2016년 이후 증가 속도가 크게 빨라진 점이 특징이다. 2023년 말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증가폭이 작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의 유동 자산을 유지하고 있다.
- 총 자산
- 2005년 1,148,500에서 시작해 2011년 3,883,500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2년 3,328,400, 2013년 3,257,000로 소폭 감소하는 등 변동을 보였다. 이후 2014년 3,823,000, 2015년 3,869,600으로 회복 및 보합 구간을 거친 뒤 2016년 6,924,400으로 급격히 확대되며 상승 기조가 명확해졌다. 2017년 7,195,100, 2018년 7,587,600, 2019년 8,425,500으로 증가폭이 지속되었고, 2020년 8,668,000, 2021년 9,626,000으로 확대가 이어졌다. 2022년에는 11,978,500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3년에는 13,215,200으로 또 한 차례 상승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반적으로 2016년 이후 증가 속도가 가파르게 나타났으며, 2023년 말에는 총 자산이 상당한 규모로 확대된 모습이다. 2011년 이후의 패턴은 변동성을 보이기도 했으나, 2016년 이후의 확장은 장기적 성장 흐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현재 부분 포함) | ON Semiconductor Corporation 주주 자본 총액(적자) | |
---|---|---|---|---|
2023. 12. 31. | 2,183,600) | 5,414,600) | 3,359,800) | 7,782,600) |
2022. 12. 31. | 2,061,400) | 5,771,500) | 3,230,700) | 6,188,500) |
2021. 12. 31. | 1,543,400) | 5,021,600) | 3,097,500) | 4,585,400) |
2020. 12. 31. | 1,674,500) | 5,109,900) | 3,491,300) | 3,538,500) |
2019. 12. 31. | 1,818,400) | 5,101,400) | 3,612,500) | 3,301,700) |
2018. 12. 31. | 1,469,300) | 4,393,500) | 2,766,100) | 3,171,600) |
2017. 12. 31. | 1,408,900) | 4,394,100) | 2,951,800) | 2,778,800) |
2016. 12. 31. | 1,502,600) | 5,046,500) | 3,622,300) | 1,823,200) |
2015. 12. 31. | 1,239,300) | 2,237,700) | 1,393,900) | 1,608,200) |
2014. 12. 31. | 1,040,800) | 2,175,600) | 1,192,600) | 1,626,500) |
2013. 12. 31. | 819,200) | 1,770,200) | 942,200) | 1,454,000) |
2012. 12. 31. | 1,024,300) | 1,937,700) | 1,011,900) | 1,361,100) |
2011. 12. 31. | 1,275,500) | 2,390,000) | 1,207,000) | 1,468,200) |
2010. 12. 31. | 710,900) | 1,531,200) | 888,800) | 1,366,000) |
2009. 12. 31. | 619,000) | 1,409,700) | 933,500) | 985,000) |
2008. 12. 31. | 544,000) | 1,658,200) | 1,169,300) | 678,700) |
2007. 12. 31. | 420,900) | 1,603,200) | 1,159,400) | 15,900) |
2006. 12. 31. | 433,000) | 1,621,100) | 1,176,000) | (225,400) |
2005. 12. 31. | 398,300) | 1,424,000) | 1,067,000) | (300,3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데이터는 각 기간의 유동부채, 총 부채,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현재 부분 포함), 주주 자본 총액(적자) 항목의 연도별 변화를 보여준다. 단위는 US$ 천이며, 기간 전반에 걸쳐 부채의 증가와 자본의 회복이 함께 나타나는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 유동부채
- 2005년 398,300천 달러에서 시작해 2023년 2,183,600천 달러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010년대 초반과 중반에 큰 폭으로 상승했고 2012-2013년에는 하락 구간이 나타났으며, 2014-2016년 재상승을 보였다. 이후 2017-2021년에는 다소 완만해지거나 감소하는 흐름이 관찰되었으나 2022-2023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기간 중 변동성이 높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증가하는 추세가 유지된다.
- 총 부채
- 2005년 1,424,000천 달러에서 시작해 2012년 5,046,500천 달러로 급증한 뒤 2013-2015년에는 다소 감소했다. 이후 2016년까지 증가하여 4,394,100천 달러대에서 정점에 이른 뒤 2019년~2021년 사이에 다소 정체 또는 소폭 변동을 보이다가 2022년~2023년에는 다시 상승해 5,414,600천 달러에 도달한다. 2012년의 급증은 기간 중 가장 큰 특징으로, 이후 일부 기간에 걸쳐 재조정이 발생하는 양상을 보인다. 전반적으로는 기간 동안 부채 규모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유지된다.
-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현재 부분 포함)
- 2005년 1,067,000천 달러에서 시작해 2010년대 초반에 약간의 변동 후 2011년~2012년에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4-2015년에 다시 상승했다. 2016년에 3,622,300천 달러로 급증한 이후 2017년~2018년에 다소 감소했고 2019년 이후에는 3,097,500천 달러에서 2023년 3,359,800천 달러로 재차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기간엔 특정 시점의 차입 급증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후 재조정과 함께 이후 해에 다시 증가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 주주 자본 총액(적자)
- 2005년에는 -300,300천 달러로 부정 자본 상태였으나 2007년에 흑자로 전환되었다. 이후 꾸준히 양의 자본으로 증가해 2011년 ~ 2016년대에 걸쳐 증가 폭이 커졌고, 2017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2018년~2020년 사이에 조금의 가파른 증가를 보인 뒤 2021년 4,585,400천 달러, 2022년 6,188,500천 달러, 2023년 7,782,600천 달러로 크게 상승했다. 이러한 흐름은 누적 이익의 축적과 더불어 자본 확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기간 전반에 걸쳐 부채의 규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며, 특정 시점에선 대규모의 급증과 재조정이 반복된다. 반면 자본은 초기의 음수에서 빠르게 흑자로 전환된 뒤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2023년 말 기준으로 자본의 규모가 부채의 구성을 넘어서는 수준에 도달했다. 이러한 패턴은 재무구조의 개선과 자본 기반의 확장을 시사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유동성 관리와 대규모 차입 의존도의 변화 여부를 추가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3. 12. 31. | 1,977,500) | (1,737,900) | (686,500) |
2022. 12. 31. | 2,633,100) | (705,400) | (370,000) |
2021. 12. 31. | 1,782,000) | (915,100) | (569,400) |
2020. 12. 31. | 884,300) | (453,600) | (244,000) |
2019. 12. 31. | 694,700) | (1,510,900) | 623,100) |
2018. 12. 31. | 1,274,200) | (548,900) | (605,100) |
2017. 12. 31. | 1,094,200) | (364,500) | (810,900) |
2016. 12. 31. | 581,200) | (2,434,600) | 2,264,700) |
2015. 12. 31. | 470,600) | (264,500) | (99,800) |
2014. 12. 31. | 481,300) | (565,600) | 91,400) |
2013. 12. 31. | 327,300) | (118,200) | (174,000) |
2012. 12. 31. | 276,000) | (133,400) | (299,700) |
2011. 12. 31. | 545,500) | (423,700) | (97,200) |
2010. 12. 31. | 551,800) | (335,700) | (119,400) |
2009. 12. 31. | 276,900) | (126,300) | (83,800) |
2008. 12. 31. | 393,800) | 127,700) | (337,100) |
2007. 12. 31. | 317,100) | (276,100) | (35,500) |
2006. 12. 31. | 349,800) | (130,200) | (184,500) |
2005. 12. 31. | 193,100) | 34,800) | (99,6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데이터는 세 가지 현금흐름 활동의 연도별 수치를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각 항목의 패턴과 시사점을 관찰한다. 수치는 US$ 천 단위이며, 옮겨진 해석은 표의 관찰치에 기반한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전 기간에 걸쳐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 2005년대 초반에는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시작해 2010년대 중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특히 2017년과 2018년에 급격한 증가로 정점에 이르렀다. 이후 2019년에는 다소 감소했으나 2020년에서 2022년까지 다시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3년에는 다소 하향 조정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운영활동으로 창출되는 현금이 장기간 강하게 확대되다가 일부 연도에 변동이 나타난다는 특징을 시사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대체로 음의 흐름이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며, 2008년만 잠시 양수였고 이후 대부분의 연도에서 자본지출 증가를 반영하는 큰 음의 흐름이 누적되었다. 2016년에는 연간 음의 폭이 특히 크게 확대되었고, 2017년~2019년에도 대규모 투자지출이 이어졌다. 2020년 이후에는 음의 흐름의 규모가 다소 축소되거나 유지되었으나 여전히 연간 큰 지출이 관찰된다. 2023년에는 연간 음의 흐름이 다시 큰 편에 속한다는 점에서 설비투자나 자산 취득의 지속적 강화를 나타낼 수 있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초기 다수 연도에서 음의 흐름이 일반적이었으나, 2016년에 대규모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이 발생하며 현금조달이 급격히 확대되었다. 이후 2017년~2018년에는 재무활동의 순현금이 다시 음전되었고, 2019년에는 일시적으로 양전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2020년 이후에는 재무활동의 순현금이 다시 음의 흐름으로 전환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지속되어 2023년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패턴은 차입·자본조달, 배당 및 자사주 활동 등 재무활동의 구성 변화에 따라 현금흐름이 큰 변동성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 전반적인 순현금 흐름의 패턴
- 연간 순현금 흐름은 운영활동의 강한 성장과 투자활동의 대규모 지출, 재무활동의 변동성으로 인해 연도마다 큰 편차를 보였다. 2016년에는 운영 현금흐름의 큰 증가와 함께 재무활동의 현금유입이 크게 작용하여 순현금흐름이 급격히 개선되었다. 반면 2017년과 2019년에는 투자와 재무활동의 요인으로 순현금이 감소하는 해가 있었다. 2022년에는 연간 최대치에 근접한 순현금흐름이 관찰되었으나 2023년에는 투자와 재무활동의 강한 음의 요인으로 다시 하향했다. 전반적으로는 운영현금창출력의 강화가 장기적으로 긍정적 기여를 했으나, 대규모 투자와 재무활동의 타이밍에 따라 연도별 현금흐름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3. 12. 31. | 5.07 | 4.89 | 0.00 |
2022. 12. 31. | 4.39 | 4.25 | 0.00 |
2021. 12. 31. | 2.37 | 2.27 | 0.00 |
2020. 12. 31. | 0.57 | 0.56 | 0.00 |
2019. 12. 31. | 0.52 | 0.51 | 0.00 |
2018. 12. 31. | 1.48 | 1.44 | 0.00 |
2017. 12. 31. | 1.92 | 1.89 | 0.00 |
2016. 12. 31. | 0.44 | 0.43 | 0.00 |
2015. 12. 31. | 0.49 | 0.48 | 0.00 |
2014. 12. 31. | 0.43 | 0.43 | 0.00 |
2013. 12. 31. | 0.34 | 0.33 | 0.00 |
2012. 12. 31. | -0.20 | -0.20 | 0.00 |
2011. 12. 31. | 0.03 | 0.03 | 0.00 |
2010. 12. 31. | 0.67 | 0.65 | 0.00 |
2009. 12. 31. | 0.14 | 0.14 | 0.00 |
2008. 12. 31. | -1.00 | -1.00 | 0.00 |
2007. 12. 31. | 0.83 | 0.80 | 0.00 |
2006. 12. 31. | 0.85 | 0.80 | 0.00 |
2005. 12. 31. | 0.24 | 0.21 | 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간 재무 지표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성되었다. 기본 주당순이익(Basic EPS)과 희석된 주당순이익(Diluted EPS)은 미국 달러로 표기되어 있으며, 배당금 항목은 값이 누락되어 있어 현 시점에서 확인이 불가하다.
- 관찰된 주요 패턴
-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에는 기본 EPS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8년에는 대폭 감소하여 마이너스(-1)로 급락했다. 그 후 2009년과 2010년에는 반등이 시도되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남았고, 2011년과 2012년에는 다시 감소하거나 마이너스에 근접하는 시기가 나타났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비교적 안정된 양상을 회복하며 0.3~0.6대의 범위에서 움직였다. 그러나 2017년에 급격한 상승이 나타나 기본 EPS가 약 1.92로 크게 증가했고, 2018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19년과 2020년에는 다소 변동이 있었지만 대체로 0.5~0.6대의 범위에서 움직였고, 2021년 이후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해 2.37(201입)에서 4.39(2022)로 이어졌으며 2023년에는 5.07에 도달했다.
- 기본 EPS와 희석 EPS의 관계
- 두 지표의 흐름은 거의 일치하며, 차이는 대개 소수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2005년~2007년의 값에서 차이는 0.03~0.04 내외이며, 2008년에는 두 지표 모두 -1로 동일한 음수 값을 보인다. 2013년 이후의 구간에서도 기본과 희석 간 차이는 거의 무시할 만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전반적으로 희석 효과가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주식형 보상이나 전환사채 등의 희석 요인이 EPS에 큰 차이를 주지 않는 구조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배당금 데이터의 가용성
- 배당금 항목은 데이터에서 값이 비어 있으므로, 기간 동안의 배당 정책 여부나 지급 규모를 데이터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배당 관찰이나 배당 관련 의사결정의 패턴은 추가 자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