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T-Mobile US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다음 데이터는 각 항목의 연말 시점 값으로 구성된 백만 달러 단위의 연간 수치를 제시한다. 모든 기간에 값이 채워져 있으며, 추세 분석은 내부 보고서의 맥락에서 데이터가 나타내는 흐름에 초점을 둔다.
- 수익
- 전반적으로 장기 상승 흐름이 관찰된다. 2013년 24,420에서 2019년 44,998까지 증가했고, 2020년에 68,397로 급격히 상승한 뒤 2021년 80,118, 2022년 79,57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3년 78,558, 2024년 81,400으로 소폭 상승하며 마감했다. 연간 성장률을 보면 2013→2014(+약 21%), 2019→2020(+약 52%)와 같은 큰 폭의 증가가 나타났고, 2020년 이후에는 다소 안정된 수준에서 2021~2022년 사이 소폭 변동이 있었다. 2023년~2024년에는 매출 규모가 다시 소폭 증가하는 흐름이 확인된다.
- 영업이익
- 기간 전반에 걸쳐 증가 추세가 뚜렷하나, 2020년대 초반에는 이익률이 하락했다. 2013년 996에서 2019년 5,722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0년 6,636, 2021년 6,892, 2022년 6,543로 상대적으로 정체되거나 소폭 감소했다. 이후 2023년 14,266, 2024년 18,010으로 크게 개선되며 이익 규모가 급증했다. 이로써 영업이익률은 2013년대 중반의 약 4%대에서 2019년 말까지 상승하다 2020~2022년에는 약 8~9%대까지 축소되었다가 2023년 이후 18%대 내외로 회복 또는 확대되었다.
- 순수익
- 순수익은 초기에는 저수준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7년 4,536까지 급격히 상승했다. 이후 2018년 2,888, 2019년 3,468로 다소 변동했고, 2020년 3,064, 2021년 3,024, 2022년 2,590로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그러나 2023년 8,317로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고 2024년 11,339로 마감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순수익 마진은 2013년 약 0.14%에서 2017년 약 11.16%까지 상승했고, 2018~2022년에는 대략 3~8%대에서 등락하며 2023년 이후 10~14%대까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요약하면, 이 기간 동안 매출은 장기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2020년의 급격한 증가를 기점으로 이후의 상황에서 높은 매출 수준이 지속되었다. 영업이익은 초기에는 견조하게 상승하다가 2020–2022년에는 이익률이 일시적으로 낮아졌으나, 2023년 이후에는 다시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순수익 역시 2017년 이후 변동성이 커졌지만 2023년과 2024년에 크게 증가하며 이익 창출의 효율성이 개선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다음 연도별 재무 지표의 흐름은 두 항목에 걸쳐 뚜렷한 변동성과 특정 시점의 비정상적 증가를 보여 준다. 모든 값은 백만 달러 단위이며, 누락된 데이터는 나타나지 않는다.
- 유동 자산
- 2013년~2015년 축에서 점진적인 증가를 보이며 12,228 → 13,984 → 14,890 백만 달러로 상승한다. 2016년에서 2018년까지는 14,217 → 8,281로 급격히 감소하는 흐름을 보이며, 2017년과 2018년에는 큰 하락이 지속된다. 2019년에는 다소 회복하여 9,305로 증가하였으나, 2020년에는 23,885로 급격히 증가하며 현금성 자산이나 단기 유동성 자산의 대폭 확대를 시사한다. 이후 2021년 20,891, 2022년 19,067, 2023년 19,015, 2024년 18,404로 연속 감소 또는 안정화되며, 2020년의 급증 이후 상대적으로 완만한 변동으로 마무리된다. 대략적으로는 초기의 점진적 증가 → 중기 하락 → 2020년의 비정상적 급증 → 이후 감소 및 안정화의 패턴이 관찰된다.
- 총 자산
- 2013년~2019년까지는 지속적인 증가 흐름을 보이며 49,953 → 56,653 → 62,436 → 65,891 → 70,563 → 72,468 → 86,921 백만 달러로 상승한다. 2020년에는 200,162로 대폭 증가하고, 이후 2021년 206,563, 2022년 211,338로 추가 상승을 보이다가 2023년 207,682로 소폭 감소하고 2024년에는 208,035로 다시 소폭 증가하는 흐름을 보인다. 즉, 2019년까지의 점진적 성장에 2020년 대폭 확장으로 이어진 뒤, 이후 높은 자산 수준을 유지하되 2023년~2024년에 소폭 축소 또는 정체가 나타난다. 전년 대비 큰 폭의 변화는 2019년~2020년 구간에서 집중된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 | 주주의 자본 |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본 분석 데이터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간 재무 항목들로 구성되며, 항목은 유동부채, 총 부채, 총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 주주의 자본으로 제시된다. 각 항목의 단위는 US$ 단위: 백만 달러이다. 아래 내용은 제시된 수치에서 관찰되는 연도별 변화와 패턴을 객관적으로 요약한다.
- 유동부채의 연도별 추세
- 유동부채는 2013년 5,808에서 2014년 8,776로 증가하고, 2015년 9,528, 2016년 9,022로 약간 변동을 보이다가 2017년 11,515로 증가했다. 2018년 10,267로 감소한 뒤 2019년 12,506으로 다시 상승했고, 2020년에는 21,703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후 2021년 23,499, 2022년 24,742로 상승하다가 2023년 20,928, 2024년 20,174로 감소해 연말 기준으로는 2만 달러대 초반대에 머무르는 흐름이다. 전 기간에 걸쳐 큰 폭의 변동성이 나타났으며, 2013년 대비 2024년 말 기준으로 유동부채는 약 3.5배 증가했다.
- 총 부채의 연도별 추세
- 총 부채는 2013년 35,708에서 2014년 40,990, 2015년 45,879, 2016년 47,655, 2017년 48,004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8년 47,750으로 소폭 감소했다. 2019년 58,132로 다시 증가했고, 2020년에는 134,818로 크게 급증했다. 이후 2021년 137,461, 2022년 141,682, 2023년 142,967, 2024년 146,294로 완만한 증가를 지속했다. 2019년 말에서 2020년 초 사이의 급격한 증가가 눈에 띄며, 그 이후에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안정적 증가가 이어졌다.
- 총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의 연도별 추세
- 총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는 2013년 20,189에서 2014년 21,960, 2015년 26,266, 2016년 27,786, 2017년 28,319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8년 27,547로 소폭 감소, 2019년 27,272로 다소 정체되었다. 그러나 2020년 73,632로 급격히 증가한 뒤 2021년 76,768, 2022년 74,491, 2023년 77,514, 2024년 80,591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소폭 증가하는 흐름을 보인다. 2020년 이후의 급격한 상승은 리스 부채의 급증 반영으로 해석되며, 이후에도 상당한 규모의 리스 관련 부채가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 주주의 자본의 연도별 추세
- 주주의 자본은 2013년 14,245에서 2014년 15,663, 2015년 16,557, 2016년 18,236, 2017년 22,559, 2018년 24,718, 2019년 28,789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20년 65,344로 급증한다. 이후 2021년 69,102, 2022년 69,656로 다소 안정되었다가 2023년 64,715, 2024년 61,741로 감소하는 흐름을 보인다. 2020년의 급증은 대규모 자본 조달이나 주식 발행 등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후 일부 기간 동안 자본이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2013년 대비 2024년 말에 이르는 기간 동안 주주의 자본이 크게 증가했다가 2023-2024년에 다소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 패턴 요약 및 시사점
- 전반적으로 2020년이 구조적 변화의 분기점으로 판단된다. 2019년 말에서 2020년 초 사이에 총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와 유동부채의 큰 상승이 나타났으며, 동시에 주주의 자본이 급증했다. 이러한 현상은 리스 회계 처리의 도입이나 대규모 자본 조달 활동의 동시 반영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20년 이후에는 총 부채 및 금융 리스 부채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유동부채도 연말 기준으로 증가폭은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높은 편이다. 주주의 자본은 2020년 이후 일시적으로 크게 증가한 후 2023-2024년에는 다소 축소되었는데, 이는 주식 발행 및 재매입 활동과 이익 잉여금의 변동 등에 기인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보유 자본의 증가는 재무 구조의 유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리스 부채의 규모가 증가한 점은 부채 구성의 변화와 관련된 위험 요소를 시사한다. 다만 본 분석 데이터만으로는 현금 흐름이나 이자 부담의 구체적 영향, 그리고 회계 처리의 구체적 주석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추가 자료를 통해 현금흐름, 이자비용, 배당 정책 등의 맥락을 함께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는 2013년부터 2024년까지의 현금흐름 구성을 세 가지 활동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각 항목은 미국 달러 단위의 백만 달러로 표기되며, 누락된 값은 데이터가 없는 연도를 의미한다. 내부 보고서에 맞춰 데이터에서 관찰되는 추세와 패턴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요약한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의 추이
- 2013년에서 2017년까지 순현금 제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8년에 일시적으로 감소했다. 2019년 재차 상승하며 2020년과 2021년에 급격히 증가했고, 2022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사상 최대치에 이르렀다. 전 기간에 걸쳐 양의 현금창출을 보였고, 특히 2020년대 초반 이후 증가폭이 뚜렷하게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운영활동의 현금흐름이 전반적으로 견고한 성장 궤도에 있음을 시사한다.
-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의 추이
- 모든 연도에서 음수 값을 나타내며,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을 의미한다. 연도별 규모의 변동성이 크며, 2013년에서 2017년에 걸쳐 큰 유출이 나타났고 2018년에는 큰 폭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2019년에는 다시 확대되었고 2020년과 2021년에 재차 큰 규모의 유출이 기록되었다가 2022년과 2024년에 다소 축소되었다가 다시 확대되는 등 변동성이 지속된다. 전반적으로 투자활동에서의 현금소요가 크고, 특정 해에 집중된 대규모 지출이 나타나는 특징이 지속된다. 이는 자본적 지출이나 전략적 투자 활동이 특정 시점에 집중되었음을 시사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의 추이
- 초반에는 양의 흐름으로 자금조달이 가능했으며, 2016년까지는 소폭의 양의 현금흐름이 지속되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는 음수로 전환되며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이 증가했다. 2020년에는 재무활동에서 큰 양의 현금흐름(+13010)이 나타났고, 2021년에는 소폭 증가(+1709)가 이어졌다. 이후 2022년에서 2024년까지는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다시 크게 음수로 전환되며 매년 sizable한 순유출이 발생했다. 이러한 패턴은 초기에는 자금조달 활동이 활발했으나, 이후 조달 규모가 축소되거나 상환 및 배당 등의 현금 사용으로 방향이 바뀌었음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전 기간에 걸쳐 긍정적이며 2020년대 들어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은 지속적으로 음수로 나타나며 변동성이 크고 특정 연도에 대규모 유출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재무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은 초기에는 양의 흐름을 보였으나 2017년 이후 음향으로 전환되었고 2020년에 큰 양의 현금을 조달했으나 이후 다시 대규모 음수로 돌아섰다. 이들 흐름의 조합은 운영에서의 강한 현금창출이 존재하는 한편, 투자와 재무활동 측면에서의 현금소요와 재무구조 관리가 연간 현금총계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12. 31.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기본 주당순이익
- 2013년 0.05에서 2016년 1.71까지 꾸준히 상승했고, 2017년에는 5.39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후 2018년 3.40으로 하락, 2019년 4.06로 소폭 반등했으나 2020년 2.68, 2021년 2.42, 2022년 2.07로 재차 감소했다. 2023년 7.02로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고 2024년 9.70으로 사상 최고치를 넘어섰다. 두 지표는 대체로 같은 흐름을 보여 왔으며, 연도 간 차이는 수치상으로 비교적 작게 나타난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전년대비 방향은 기본 EPS와 거의 일치하며, 2013년 0.05에서 2017년 5.20까지 상승했고 이후 2018년 3.36, 2019년 4.02, 2020년 2.65, 2021년 2.41, 2022년 2.06로 감소했다. 이후 2023년 6.93, 2024년 9.66으로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두 지표 간 차이는 연도별로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비슷한 추세를 형성한다.
- 주당 배당금
- 배당 정보는 2023년 0.65, 2024년 3.71로 확인된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에는 누락되어 있어 이전 기간의 배당 정책이나 지급 여부는 확인이 어렵다. 2024년의 배당은 2023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데이터의 누락으로 인해 해석에 제약이 있다.